$\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on a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established by treating HepG2 cells with palmitate. Methods : We evaluated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 내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fatty acid synthesis와 β-oxidation 관련 유전자들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HepG2 cell에 palmitate를 처리하여 유도한 지방간 질환 세포 모델에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동과자의 anti-lipogenic effect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lipogenesis에 관여하는 LXRα, SREBP-1c, ACC, FAS, SCD-1 과 β-oxidation에 관여하는 CPT-1, PPAR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이러한 문헌기록과 현대연구들을 바탕으로 동과자가 지방간에도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HepG2 cell에 palmitate를 처리하여 유도한 지방간 질환 세포 모델에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동과자의 anti-lipogenic effect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lipogenesis에 관여하는 LXRα, SREBP-1c, ACC, FAS, SCD-1 과 β-oxidation에 관여하는 CPT-1, PPAR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내장지방증가, 당뇨, 고혈압 및 고지혈증 등을 포함하는 대사성 증후군의 일부로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미만성 침윤이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알코올성 간질환과 유사한 조직학적 손상 패턴을 나타낸다1. 최근 대사성 질환의 유병율 증가와 함께, 만성 간질환에서 그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2, 비교적 가벼운 경우에는 단순 지방간(steatosis) 소견 만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염증을 동반하는 지방간염(steatohepatitis)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염증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거나 반복될 경우에는 섬유화(fibrosis) 및 간경변증(cirrhosis)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3.
동과자는 전통한의학에서 어떤 효능이 있다고 하였는가? 동과자(冬瓜子)는 박과(Cucurbitaceae) 동과 Benincasa hispida Cogniaux의 씨를 말한다8. 전통한의학에서는 淸肺化痰, 利水消腫, 排膿 효능이 있어, 肺熱咳嗽, 水腫, 肺癰, 腸癰 등에 주로 사용해왔으며8, ≪東醫寶鑑≫에 “너무 비만하여 몸을 여위고 가볍게 하면서 건강하고 싶을 때는 동과를 장기간 복용할 수 있다”는 기록이 있어 비만을 치료하는데에도 사용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10. 최근 연구에서는 항산화 작용22, 항노화작용23, 소염진통 효과24 등이 밝혀졌으며, 위산저하증25, 위궤양26,27, 우울증28,29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고, 대사증후군에 포함되는 비만11, 고혈압12, 당뇨13, 고혈당에 의한 혈관 손상14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과자란? 동과자(冬瓜子)는 박과(Cucurbitaceae) 동과 Benincasa hispida Cogniaux의 씨를 말하며8, 동과는 한국을 비롯한 태국, 인도, 몽고, 일본 등의 주변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9. 전통한의학에서 동과는 ≪本經≫에서부터 그 기록이 나타나는데, ≪東醫寶鑑≫에는 “너무 비만하여 몸을 여위고 가볍게 하면서 건강하고 싶을 때는 동과를 장기간 복용할 수 있다”는 기록이 있으며10, 최근 연구에서도 비만11, 고혈압12, 당뇨13 및 고혈당에 의한 혈관 손상14 등에 효능이 밝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mith BW, Adams L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rit Rev Clin Lab Sci 2011;48(3) :97-113. 

  2.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et al.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107(5) :450-5. 

  3.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6):1221-31. 

  4. Sung TS, Son GM. Effect of Cnidi rhizoma boiling extract solution on enzyme and hormone of plasma, and liver in the fatted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ary. Korean J Food & Nutrition 1994;7(2):108-13. 

  5. Yun KS, Woo HJ, Lee JH, Kim YC. Effect of Injinchunggan-tang & Injinsaryung-san on NASH induced by MCD-diet in A/J mice. Korean J Orient Int Med 2009;30(2):410-21. 

  6. Choi MY, Woo HJ, Kim YC, Lee JH. Effects of gamisaenggan-tang on high fat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ean J Orient Int Med 2009;30(2):365-74. 

  7. Yoo JY, Lee JH. Effects of Saenggantanggami -bang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odel induced by fatty acids. Korean J Orient Int Med 2010;31(2):143-57. 

  8. Wu JN. An illustrated Chinese materia medic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 134. 

  9. Nakashima M, Shigekuni Y, Obi T, Shiraishi M, Miyamoto A, Yamasaki H, et al. Nitric oxide-dependent hypotensive effects of wax gourd juice. J Ethnopharmacol 2011;138(2):404-7. 

  10. Huh J. Donguibogam. Seoul: Beobin Press; 1999, p. 745. 

  11. Wang W, Wang WX, Sun BH, Zhao DZ, Gao P. Effect of haidonghua powder(HDHP) on hypothalamic obesity in rats. Zhongguo Zhong yao za zhi 2000;25(8):490-2. 

  12. Huang HY, Huang JJ, Tso TK, Tsai YC, Chang CK. Antioxidant and angiotension-converting enzyme inhibition capacities of various parts of Benincasa hispida (wax gourd). Die Nahrung 2004;48(3):230-3. 

  13. Patil RN, Patil RY, Ahirwar B, Ahirwar D.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d related actions of some Indian medicinal plants in diabetic rats. Asian Pac J Trop Med 2011;4(1):20-3. 

  14. Moon MK, Kang DG, Lee YJ, Kim JS, Lee HS. Effect of Benincasa hispida Cogniaux on high glucose-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Vascul Pharmacol 2009;50(3-4):116-22. 

  15.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006; 21(1 Pt 1):138-43. 

  16. Marra F, Gastaldelli A, Svegliati Baroni G, Tell G, Tiribelli C. Molecular basis and mechanisms of progression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rends Mol Med 2008;14(2):72-81. 

  17. Lewis GF, Carpentier A, Adeli K, Giacca A. Disordered fat storage and mobilization in the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Endocr Rev 2002;23(2):201-29. 

  18. Wahren J, Sato Y, Ostman J, Hagenfeldt L, Felig P. Turnover and splanchnic metabolism of free fatty acids and ketones in insulindependent diabetics at rest and in response to exercise. J Clin Invest 1984;73(5):1367-76. 

  19. Chen G, Liang G, Ou J, Goldstein JL, Brown MS. Central role for liver X receptor in insulinmediated activation of Srebp-1c transcription and stimulation of fatty acid synthesis in liver.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101(31):11245-50. 

  20. Browning JD, Horton JD. Molecular mediators of hepatic steatosis and liver injury. J Clin Invest 2004;114(2):147-52. 

  21. Pettinelli P, Obregon AM, Videla LA. Molecular mechanisms of steat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utr Hosp 2011;26(3):441-50. 

  22. Bimakr M, Rahman RA, Taip FS, Adzahan NM, Sarker MZ, Ganjloo A.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Crude Oil from Winter Melon(Benincasa hispida) Se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Evalua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Molecules 2012;17(10):11748-62. 

  23. Sabale V, Kunjwani H, Sabale P. Formul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of the topical antiageing preparation of the fruit of Benincasa hispida. J Ayurveda Integr Med 2011;2(3):124-8. 

  24. Qadrie ZL, Hawisa NT, Khan MW, Samuel M, Anandan R. Antinociceptive and anti-pyretic activity of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in Wistar albino rats. Pak J Pharm Sci 2009; 22(3):287-90. 

  25. Mandal U, De D, Ali KM, Biswas A, Ghosh D. Effect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Benincasa hispida T. on experimental hypochlorhydria in rat. J Adv Pharm Technol Res 2012;3(1):41-6. 

  26. Grover JK, Adiga G, Vats V, Rathi SS. Extracts of Benincasa hispida prevent development of experimental ulcers. J Ethnopharmacol 2001; 78(2-3):159-64. 

  27. Rachchh MA, Jain SM. Gastroprotective effect of Benincasa hispida fruit extract. Indian J Pharmacol 2008;40(6):271-5. 

  28. Chandre R, Upadhyay BN, Murthy KH. Clinical evaluation of Kushmanda Ghrita in the management of depressive illness. Ayu 2011; 32(2):230-3. 

  29. Dhingra D, Joshi P. Antidepressant-like activity of Benincasa hispida fruits in mice: Possible involvement of monoaminergic and GABAergic systems. J Pharmacol Pharmacother 2012;3(1) :60-2. 

  30. Laffitte BA, Chao LC, Li J, Walczak R, Hummasti S, Joseph SB, et al. Activation of liver X receptor improves glucose tolerance through coordinate regulation of glucose metabolism in liver and adipose tissue. Proc Natl Acad Sci U S A 2003;100(9):5419-24. 

  31. Repa JJ, Liang G, Ou J, Bashmakov Y, Lobaccaro JM, Shimomura I, et al. Regulation of mous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gene (SREBP-1c) by oxysterol receptors, LXRalpha and LXRbeta. Genes Dev 2000;14(22):2819-30. 

  32. Lee CH, Olson P, Evans RM. Minireview: lipid metabolism, metabolic diseases,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Endocrinology 2003;144(6):2201-7. 

  33. Kersten S, Seydoux J, Peters JM, Gonzalez FJ, Desvergne B, Wahli W.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 mediates the adaptive response to fasting. J Clin Invest 1999;103(11) :1489-98. 

  34. McGarry JD. Banting lecture 2001: dysregulation of fatty acid metabolism in the etiology of type 2 diabetes. Diabetes 2002;51(1):7-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