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우울증 : 한방 치료에 대한 국내외 최신 문헌 고찰
Poststroke Depression : A Review of the Latest Oriental Medicine Article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3 no.4, 2012년, pp.448 - 464  

이제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이보매나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  장우석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황하연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백경민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reviews the latest articl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at studie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n poststroke depression. Methods : Korean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the 9 major Korean web article search engines. Foreign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PubMed. Article pu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PSD와 관련된 국내의 기존 한의학 논문들과 PubMed를 통해 검색된 국외의 한의학 또는 중의학 논문들을 고찰하여 향후 PSD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SD와 관련된 국내외 한의학 또는 중의학 논문들을 고찰하여 향후 PSD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00년 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PSD의 한방 치료(침, 뜸, 한약, 한방 변증 등)와 관련된 연구를 전자 검색 또는 수기 검색하여 2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연구 방법에 따라 RCT 연구 9편, NRS 연구 1편, 기타 연구 12편으로 분류하여, RCT 연구 및 NRS 연구에 대해서는 질 평가를 수행 및 일반적인 서지 사항과 치료군과 대조군의 중재방법, 뇌졸중 발병일로부터 경과 시간, PSD 진단 척도, 치료기간, 치료 효과에 대한 평가 척도, 치료 결과 등의 내용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기타 연구들에 대해서는 각 논문들의 연구 방법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 하지만 본 연구의 의의는 2000년 이후 출판된 PSD에 대한 국내 한의학적 논문과 PubMed에서 검색되는 국외 한의학 또는 중의학 논문들에 대해 고찰하여 RCT 연구 및 NRS 연구에 대해 질 평가를 시도하고, 국내외 RCT 연구 및 NRS 연구에서 PSD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를 서양의학적 약물 치료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외 연구들의 임상 시험 연구 방법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진행될 PSD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에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병소와 우울증 관련성이 없다고 연구한 인물들은 누구인가? 이러한 PSD에 대해서 국외에서는 1924년 Bleuler10가 뇌졸중 후 몇 달간 지속되는 우울증의 존재에 대해 밝힌 것을 시작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1980년대에는 뇌졸중의 병소와 우울증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Robinson 등11,12은 뇌졸중 병소가 우측보다는 좌측 대뇌반구에 위치하는 환자에게서 PSD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특히 병소가 좌측 전두엽에 위치할 때 가장 빈도가 높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Sinyor 등13, Primeau14와 Johnson15의 연구에서 뇌졸중 병소의 위치와 우울증의 정도는 서로 관련이 없다고 보고되어, Burvill 등16은 PSD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경해부학적 원인 외에 다른 위험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Whyte 등17은 대부분의 PSD가 생물학적(biological) 기전 또는 사회심리학적인(psycosocial) 기전 단독으로만 발생한다는 근거가 없으므로, 생물-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으로 다면적(multi-factorial) 접근을 해야 하는 정신질환이라고 주장하고, 약물치료로는 Nortriptyline이나 fluoxetine과 같은 항우울제가 PSD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뇌졸중 후 우울증은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뇌졸중 후 행동변화나 기분변화는 급성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증상은 우울(overt sadness), 수동성(passivity), 공격성(aggression), 무관심(indifference), 탈억제(disinhibition), 부인(denial), 적응(adaptation), 그리고 수면장애(abnormal sleep)나 식이행동변화(abnormal feeding) 등 매우 다양하다1,2. 이 중에서 뇌졸중 후 우울증(poststroke depression, PSD)은 환자의 재활 치료, 회복, 삶의 질, 그리고 보호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증상이다3-6. 특히 PSD는 뇌졸중 환자의 생존율을 감소시키고, 재발률을 높일 수도 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7,8.
뇌졸중 후 나타나는 증상은? 뇌졸중 후 행동변화나 기분변화는 급성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증상은 우울(overt sadness), 수동성(passivity), 공격성(aggression), 무관심(indifference), 탈억제(disinhibition), 부인(denial), 적응(adaptation), 그리고 수면장애(abnormal sleep)나 식이행동변화(abnormal feeding) 등 매우 다양하다1,2. 이 중에서 뇌졸중 후 우울증(poststroke depression, PSD)은 환자의 재활 치료, 회복, 삶의 질, 그리고 보호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증상이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gousslavsky J, Caplan LR, eds. Stroke syndromes.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p. 285-301. 

  2.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 1판. 서울: 이퍼블릭; 2009, p. 417-20. 

  3. Parikh RM, Robinson RG, Lipsey JR, Starkstein SE, Fedoroff JP, Price TR. The impact of poststroke depression on recover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ver a 2-year follow-up. Arch Neurol 1990;47:785-9. 

  4. Sinyor D, Amato P, Kaloupek DG, Becker R, Goldenberg M, Coopersmith H. Post-stroke depression: relationships to functional impairment, coping strategies, and rehabilitation outcome. Stroke 1986;17:1102-7. 

  5. Robinson RG, Bolla-Wilson K, Kaplan E, Lipsey JR, Price TR. Depression influences intellectual impairment in stroke patients. Br J Psychiatry 1986;148:541-7. 

  6. Anderson CS, Linto J, Stewart-Wynne EG. A population-based assessment of the impact and burden of caregiving for long-term stroke survivors. Stroke 1995;26:843-9. 

  7. House A, Knapp P, Bamford J, Vail A. Mortality at 12 and 24 months after stroke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t 1 month. Stroke 2001;32:696-701. 

  8. Morris PL, Robinson RG, Andrzejewski P, Samuels J, Price TR.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10-year poststroke mortality. Am J Psychiatry 1993;150:124-9. 

  9. Robinson RG.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Diagnosis, Treatment, and disease progression. Biol Psychiatry 2003;54:376-87. 

  10. Bleuler EP. Textbook of psychiatry. New york: Macmillan; 1924, p. 27-30. 

  11. Robinson RG, Kubos KG, Starr LB, Krishna R, Price TR. Mood disorders in stroke patients: Importance of location of lesion. Brain 1984; 107:81-93. 

  12. Robinson RG, Starkstein SE. Current research in affective disorders following stroke.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990;2:1-14. 

  13. Sinyor D, Jacques P, Kaloupek DG, Becker R, Goldenberg M, Coopersmith H. Poststroke depression and lesion location: an attempted replication. Brain 1986;109:537-46. 

  14. Primeau F. Post-stroke depress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an J Psychiatry 1988;33:757-65. 

  15. Johnson GA. Research into psychiatric disorder after stroke: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Aust N Z J Psychiatry 1991;25:358-70. 

  16. Burvill P, Johnson G, Jamrozik K, Anderson C, Stewart-wynne E. Risk factors for post-stroke depression. Int J Geriatr Psychiatry 1997;12 :219-26. 

  17. Whyte EM, Mulsant BH. Post stroke depress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 Psychiatry 2002;52:253-64. 

  18. 박동희, 연병길, 석재호. 뇌졸중후 우울증에서 병변 부위에 따른 우울증의 정도와 Dexamethasone 억제의 차이. 신경정신의학회지 1995;34(1):139-47. 

  19. 이승환, 정한용. 노인에서의 뇌신경계 질환과 우울증. 노인정신의학회지 2003;7(2):131-42. 

  20. 김세주, 김도훈, 최낙경, 김현철, 문유선, 김흥철 등. 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 및 불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노인병학회지 2003; 7(30):230-42. 

  21. 구정희, 이정우, 김성윤, 여진영, 유승돈, 전민호. 뇌졸중 입원 환자의 우울증과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 대한노인병학회지 2004;8(1):14-9. 

  22.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찬위원회. 증보판 한의신경정신과학. 1판. 경기도: 집문당; 2010, p. 264-73, 366-78. 

  23. 임선미, 신인순, 이선희, 서경화, 정유민, 장지은. 근거수준별 문헌의 질평가도구. 대한의사협회지 2011;54(4):419-29. 

  24. Higgins JP, Greens S, ed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2011[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cochrane -handbook.org. 

  25. Wells GA, Shea B, O'Connell D, Peterson J, Welch V, Losos M, et al. The Newcastle-Ottawa Scale (NO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nonrandomised studies in meta-analyses [internet]. Ottawa: Ottawa Hospital Research Institude. c1996-2010 [cited 2012 Sep 27]. Available at: http://www. ohri.ca/programs/clinical_epidemiology/oxford.asp. 

  26. 이정아, 이재혁, 임승만, 박상동. 뇌졸중 후 우울증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149-54. 

  27. 최정은, 김용석, 이경섭. 폐경 후 발병한 뇌졸중에 의한 2차성 우울증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433-42. 

  28. 김형도, 여인영, 서알안, 양태규, 박정미. 뇌졸중 아급성기에 발생한 우울증에 대한 한방치료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002:177-81. 

  29. 이정훈, 박세진, 박상동. 뇌졸중후 우울증의 정도와 운동기능의 회복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01-6. 

  30. 나병조, 정재한, 최창민, 홍진우, 김태훈, 이준우, 등. 중풍후우울증에 대한 반하후박탕의 유효성 및 적응증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 26(3):563-74. 

  31. 장하정, 서주희, 김자영, 성우용, 임호제, 김진원, 등.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수용간의 관계.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167-77. 

  32. 선종주, 정세연, 황재웅, 김석민, 정재한, 최창민, 등. 중풍후우울증 환자에 대한 향기침요법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 :480-7. 

  33. 권소연, 허래경, 성기문, 제준태, 김동웅. 뇌교 경색 후 치매를 동반한 우울증 환자의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010:241-9. 

  34. 최지혜, 장석오, 이동엽, 방창호, 나란희, 김래희, 등. 뇌졸중후 우울증 환자에 대한 한방치료 호전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010: 167-73. 

  35. 제준태, 이상관. 뇌졸중 후 우울증에 대한 황련 해독탕 약침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대한약침학회지 2010;13(2):67-73. 

  36. 김진이, 이진환, 김수정, 서주희, 윤인애, 박은 영, 등. 한방치료와 Rogers의 인간중심적 상담 요법으로 호전된 뇌졸중 후 우울증 치험 2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21(4):187-206. 

  37. Zhang C. The brain-resuscitation acupuncture method for treatment of post wind-stroke mental depression-a report of 45 cases. J Tradit Chin Med 2005;25(4):243-6. 

  38. Liu SK, Zhao XM, Xi ZM. Incidence rate and acupuncture-moxibustion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6;26(7):472-4. 

  39. He J, Shen PF. Clinical 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Acupuncture Research 2007; 32(1):58-61. 

  40. Tang QS. Progress and commentary on research of integrated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post-stroke depression.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07;27(9) :776-7. 

  41. Fu JL, Zhao YW, Sun XJ. Efficacy and safety of Deanxit combined with Wuling Capsule in treating post-stroke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2008;6(3):258-61. 

  42. Li LT, Wang SH, Ge HY, Chen J, Yue SW, Yu M.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Free and Easy Wanderer Plus (FEWP) and fluoxetine on post-stroke depress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08;14(7):841-6. 

  43. Guo RY, Su L, Liu LA, Wang CX. Effects of Linggui Bafa on the therapeutic effec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f post-stroke depression.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9;29(10) :785-90. 

  44. Han H, Wu LM, Yang WM, Wang MX, Tang JJ, Wang H et 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s in post-stroke depression.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2010;8(5):427-31. 

  45. Wu JP. Clinical observation on acupuncture treatment of 150 cases of post-stroke depression according to syndrome differentiation. Acupuncture Research 2010;35(4):303-6. 

  46. Li HJ, Zhong BL, Fan YP, Hu HT. Acupuncture for post-stroke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11; 31(1):3-6. 

  47. Nie RR, Huang CH, Fu WB. Observation of therapeutic effect on post stroke depression treated by differentiation of spleen and stomach.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11;31(4) :325-8. 

  48. Zhang GC, Fu WB, Xu NG, Liu JH, Zhu XP, Liang ZH, et al. Meta analysis of the curative effect of acupuncture on post-stroke depression. J Tradit Chin Med 2012;32(1):6-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