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방 이후 한의학의 현대화 논쟁 - 195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논의를 바탕으로 -
The Dispute o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Medicine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Based on the 1950s and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6 no.3, 2012년, pp.53 - 73  

이태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정유옹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이덕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inclusion of Korean Medicine in th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led to the need of a serious discussion on its modernization. This paper looked at how these discussions were progressed. Especially, a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science' in the 1950s and the 1990s was observed. Me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이 국가의료체계 안으로 포함되었다는 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1951년 9월 25일, 한의사 제도가 포함된 이원제 국민의 료법이 국회에서 공포됨으로써 한의사들은 의사, 치과의사 등과 동등한 의료인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1) 그런데 한의학이 국가의료체계 안으로 포함되었다는 것은 한의학이 국가에 의해 인정되었음을 뜻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의학의 현대화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은 근대 국가로의 발돋움을 지향했기 때문에 국가의료체계 역시 근대성의 범주 안에서 논해져야만 했다.
한의사 제도가 포함된 이원제 국민의료법이 국회에 공포된 시기는 언제인가? 1945년 대한민국이 자주독립을 되찾으면서 한의학은 다시금 국가 의료체계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였다. 1951년 9월 25일, 한의사 제도가 포함된 이원제 국민의 료법이 국회에서 공포됨으로써 한의사들은 의사, 치과의사 등과 동등한 의료인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1) 그런데 한의학이 국가의료체계 안으로 포함되었다는 것은 한의학이 국가에 의해 인정되었음을 뜻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의학의 현대화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양방의학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의학이 전근대적이며 비과학적인 학문이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의 양방의학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의학은 전근대적인 것이었으며, 비과학적인 학문이었다. 소위 근대를 구성하는 핵심적 사고의 틀인 ‘과학’을 토대로 한 ‘근대의학’은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을 기초로 한의학을 의미하였기 때문에 실증적 방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의학의 음양 오행·오장육부·경락학설·본초의 기미론 등은 근대의학의 관점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 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맹웅재, 박경남, 박현국, 방정균, 신영일, 안상우, 엄석기, 은석민, 이병욱, 차웅석. 한의학 통사. 1판. 경기도: 대성의학사. 2006 :516. 

  2. 이태형, 김태우, 김남일. 醫林誌를 통해 살펴본 1950년대 동서의학 논쟁. 대한한의학원 전학회지. 2012 : 25(3) : 1-22. 

  3. 이은팔. 漢醫學에 對한 새로운 思考方式(上). 醫林. 1958 : 14 : 10-11. 

  4. 허송암. 漢方醫學의 歷史的由來(上). 醫林. 1958 : 16.17 : 19-22. 

  5. 강영희. 漢醫學體系樹立의 新學說(1). 醫林. 1958 : 18.19 : 41-42. 

  6. 배원식. 한방의학의 현대화. 醫林. 1956 : 13 : 9-11. 

  7. 김경열. 세계문화와 동방의학. 醫林. 1956 : 13 : 7-8. 

  8. 고태박. 鍼灸醫學에 對한 새로운 思考方式. 醫林. 1958 : 14 : 23-24. 

  9. 백태형. 漢醫學에 對한 考察. 醫林. 1954 : 1 : 3-4. 

  10. 유대형. 漢醫學에 대한 새로운 思考方式(下). 醫林. 1958 : 15 : 13-17. 

  11. 한세정. 漢方診斷法의 要綱. 醫林. 1958 : 16.17 : 6-7. 

  12. 장재남. 漢方醫의 根源이 되는 陰陽說(1). 醫林. 1958 : 22.23 : 34-35. 

  13. 배원식. 創刊辭. 醫林. 1954 : 1 :1. 

  14. 조현성. 今後漢醫學의 展望. 醫林. 1955 : 5 :4. 

  15. 김형익. 내가 본 漢方醫學. 醫林. 1958 : 15 :6. 

  16. 김수욱. 漢醫學에 대한 새로운 思考方式. 醫林. 1958 : 15 : 7-9. 

  17. Evidence-based medicine working group. Evidence-based medicine. A new approach to teaching the practice of medicine. JAMA. 1992 : 268(17) : 2420-2425. 

  18. 김수영. 근거중심의학. 의학교육논단. 2001 : 3 (1) : 1-19. 

  19. Sackett DL, Rosenberg WMC, Gray J,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1996 : 312(7023) : 71-72. 

  20. 김선. 근거중심의학의 의학교육 적용모형. 연세의학교육. 2001 : 3(1) : 27-30. 

  21. 최재걸. Evidence - Based Medicine에 대한 소개. 대한핵의학회지. 2001 : 35(4) : 224-130. 

  22. 안형식.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의 개요와 접근방법. 한국의료QA학회지. 2006 : 12(2) : 9-15. 

  23. 권상옥. 근거중심 의학의 사상-의학철학의 입장에서-. 의사학. 2004 : 13(2) : 335-346. 

  24. 차경렬, 김찬형. 근거 중심 정신 의학. 신경정신의학. 2007 : 46(2) : 103-109. 

  25. Andrew J Vickers. Message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vidence is a better friend than power. Complement Altern Med. 2001 : 1(1) :1. 

  26. 백용현, 박동석, 강성길. 침의 근거중심적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 Systematic review & Meta - analysis 를 중심으로 -.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3) : 138-155. 

  27. 이태형. 보완대체의학 및 통합의학의 정의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8. 윤영진, 이진무, 이창훈, 조정훈, 장준복, 이경섭.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收載 論文 分析.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 : 24(2) : 97-103. 

  29. 김대영. 한의학의 세계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김경철, 박상욱, 송경훈, 박주연, 홍상민, 이해웅. 근거중심의학에 기반한 한의치료기술 및 한방진단기기 개발을 위한 임상수요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0 : 14(2) : 121-133. 

  31. 이현주, 박수복, 김수진, 고승연. 한방진단명 의 질병분류체계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의료QA학회. 2006 : 12(2) : 86-87. 

  32. 한성수, 구창모, 홍권의, 박양춘, 최선미. 근거 중심 의학(EBM)에 바탕을 둔 임상시험 (Clinical Trial)에서 침 치료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6) : 1-8. 

  33. 이로민, 남상수, 이상훈, 김용석. 침 관련 근거중심의학의 연구 동향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2) : 147-158. 

  34. 고덕재. A Proposal for an Integrated Evaluation of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TKM.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2007 : 2007 : 227-254. 

  35. 김경석, 김세현, 어완규, 전성하, 엄석기, 조학준. 폐암(肺癌)의 한방치료 임상연구 방법론.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 : 23(4) : 39-62. 

  36. 장보형. 보완대체의학분야에서 뇌졸중 치료의 체계적 문헌고찰 분석.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7. 엄석기, 김세현, 최원철. 전통한의학 연구방법론의 현대화에 대한 소고(小考) - 역사적 근거 중심의학에 대한 제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 : 23(2) : 89-105. 

  38. 박유리. 침 임상연구방법론 연구-요통 임상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9. Gaudet TW. Integrative medicine : the evolution of a new approach to medicine and to medical education, Integrative Medicine. 1998 : 1(2) : 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