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조건에서 서양민들레의 생육 및 생리활성물질 변이 연구
Change in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ly-Active Compounds Content of Taraxacum officinale under Plastic House Condi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4, 2012년, pp.449 - 455  

천상욱 (조선대학교 BI센터 (주)이파리넷) ,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대체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양민들레의 시설생산을 위해 배지조성 및 차광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에 대한 생육특성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 변이를 검토하고자 온실과 실험실 시험을 수행하였다. 서양민들레 시설생산을 위한 적정한 배지조합은 coco peat와 perlite를 각각 70 : 30과 50 : 50으로 혼합한 배지가 coco peat와 perlite 각각의 단독배지보다 생육 및 수량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차광정도에 따른 서양민들레의 초장, 근장, 엽수, 근직경, 엽면적, 엽록소 함량 및 생체중은 무차광이 50%와 70%차광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무차광에서 차광보다 높게 검출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차광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무차광과 70%차광 순으로 높았다. 한편, DPPH 라디컬 소거능아질산염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house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hade treatment and substrate components on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araxacum officinale. Substrates combined with coco peat and perlite (ratio 70 : 30 and 50 : 50, v/v) showed higher growth and yie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아직 민들레용 양액 시설재배를 위한 적절한 배지 및 시설 환경조건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어서 최적 양액재배를 위한 환경조건을 구명하고 이를 활용한 생산 시스템을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서양민들레를 공시하여 시설생산을 위한 차광정도와 배지조성을 달리한 환경조건하에서 생육특성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함량 변이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들레의 생약명은? 민들레는 생약명으로는 포공영(浦公英, Taraxacum coreanum)으로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에 2,000여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좀민들레(T. hallaisanense), 산민들레(T.
서양민들레를 차광 정도와 배지 조성을 달리한 환경 조건하에서 생육하여 특성을 살피고 그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함량 변이를 검토한 실험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한 방법은?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SAS(SAS Institute, 20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처리간의 평균치 차이는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서양민들레의 주요성분은? 서양민들레의 주요성분으로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지방함량과 칼로리가 낮아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적당하며, 고미성분인 taraxin과 inulin이 많고, carotenoid 성분인 taraxathin, triterpene인 taraxerol, taraxasterol, β-sitsterol, 그리고 caffeic acid, taraxacine등과 vitamin A, vitamin C, tocopherol, Ca, Fe, K 등이 풍부하다. 서양민들레 추출물에 대한 약리적 연구로서 Lee 등(1993)은 민들레의 물분획물을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항위염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Ho 등(1998)은 ethanol 분획층의 desacetylmatricarin 성분이 항알러지 활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Saadawi, I. S., M. B. Arif, and A. J. Al-Rubeaa. 1985. Allelopathic effects of Citrus aurantium L. II.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hytotoxins. J. Chem. Ecol. 11 : 1527-1534. 

  2. Balakumar, T., V. H. B. Vincent, and K. Paliwal. 1993. On the interaction of UV-B radiation (280-315 nm) with water stress in crop plants. Physiologia Plantarum. 87 : 217-222. 

  3. Bao, J. S., Y. Cai, M. Sun, G. Y. Wang, and H. Corke. 2005. Anthocyanins, flavonoid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hinese bayberry (Myrica rubra) extracts and their color properties and stability. J. Agric. Food Chem. 53 : 2327-2332. 

  4. Bell, A. B. 1981. Biochemical mechanisms of disease resistance. Annu. Rev. Plant Physiol. 32 : 21-81. 

  5. Blosi,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 1199-1200. 

  6. Brand, M. H. 1997. Shade influences plant growth, leaf color, and chlorophyll content of Kalmia latifolia L. cultivar. HortScience. 32 : 206-208. 

  7. Chon, S. U. 2006. Shade effect on growth and allelopathic potential of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rs. Kor. J. Weed Sci. 26(3) : 270-278. 

  8. Gray, J. I. and L. R. J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 981-984. 

  9. Ho, C., E. J. Choi, G. S. Yoo, K. M. Kim, and S. Y. Ryu.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a Med. 64 : 577-578. 

  10. Hong, C. K., S. B. Bang, and J. S. Han. 1996. Effects of shading net on growth and yield of Aster scaber Thunb. and Ligularia fischeri Turez. RDA J. Agri. Sci. 38 : 462-467. 

  11. Hu, C. and D. K. David. 2003. Antioxidant, pro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lvent-fractionate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flower extract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1 : 301-310. 

  12. Ikeda, H. 1986. Nutrient solution management in view of nutrient requirement of crops. Agr. Hort. 61 : 205-211. 

  13. Kotobuki, H., A. Akira, Y. Itaru, N. Shigehiko, H. Zen-ichi, and N. Ichiya. 1965. Antitumor avtivity of 4(or 5)- aminoimidazole-5(or 4)-carboxamide derivatives. GANN Japa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 56(4) : 417-420. 

  14. Lee, E. B., J. K. Kim, and O. K. Kim. 1993. The antigastritic effect of Taraxaci Herba. Kor. J. Pharmacogn. 24 : 313-318. 

  15. Lee, Y. B. 1994. Hydroponics-High tech agricultural techniques in 21th century. pp. 62-65. 

  16. Niemeyer, H. M. 1988. Hydroxamic acids (4-hydroxy-1,4- benzoxazin-3-ones), defence chemicals in the Gramineae. Phytochemistry. 27 : 3349-3358. 

  17.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200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7. Electronic Version. Cary, NC, USA. 

  18. Singleton, V. L. and J. A. Rossi. 1965. 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 144-158. 

  19. Son, H. Y. and S. C. Chae. 2003. Effects of shading, potting media and plant growth retardant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Spiranthes sinensis. Kor. J. Hort. Sci. Tech. 21 : 129-135. 

  20. Takasaki, M., T. Konoshima, H. Tokuda, K. Masuda, Y. Arai, K. Shiojima, and H. Ageta. 1999a.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 Biol. Pharm. Bull. 22: 602-605. 

  21. Takasaki, M., T. Konoshima, H. Tokuda, K. Masuda, Y. Arai, K. Shiojima, and H. Ageta. 1999b.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l. Pharm. Bull. 22 : 606-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