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 민들레의 종류별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Different Taraxacum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1, 2012년, pp.51 - 59  

천상욱 (조선대학교 BI센터 (주)이파리넷)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들레의 종류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민들레 종류별 $1000mg\;kg^{-1}$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 추출물이 $50.2{\sim}76.8mg\;kg^{-1}$범위로 지하부 추출물 $24.9{\sim}40.0mg\;kg^{-1}$범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별로는 민들레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지상부 및 지하부 추출물에서 각각 76.8과 $40.0mg\;kg^{-1}$를 보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보다 낮은 함량 범위($6.5{\sim}36.4mg\;kg^{-1}$)를 보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 $1,000mg\;kg^{-1}$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89.6와 83.4%의 소거능을 보여 다른 두 종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법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민들레 종류별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민들레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_{50}$값 = 83.4과 $66.4mg\;kg^{-1}$),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여 민들레가 다른 두 종에 비해 높은 세포독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위암세포주(SNU-601)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폐암세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으로 이는 추출물이 더 낮은 항암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냈다. 각 성분과 생리활성 항목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의 상관관계($r^2$=0.0097~0.6213)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 상관관계($r^2$=0.0027~0.4627)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그 함량과 활성은 민들레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investigate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three different $Taraxacum$ species, $Taraxacum$ $coreanum$, $Taraxacum$ $mongolicum$, and $Taraxacum$ $o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민들레 3종인, 흰민들레, 민들레, 서양민들레를 대상으로 종간에 영양생장기의 지상부(잎)와 뿌리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각각 조사하고 그 조사항목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실험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민들레 3종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민들레 3종인, 흰민들레, 민들레, 서양민들레를 대상으로 종간에 영양생장기의 지상부(잎)와 뿌리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각각 조사하고 그 조사항목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고에서 영양생장기의 지상부(잎)와 뿌리의 성분 및 생리 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한 민들레 종류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민들레 3종인, 흰민들레, 민들레, 서양민들레를 대상으로 종간에 영양생장기의 지상부(잎)와 뿌리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각각 조사하고 그 조사항목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민들레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암은 무엇인가? 민들레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생체 내 여러 병인으로 작용되는 ROS를 소거 및 차단하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현대인이 높은 발병률을 나타내는 결장암 및 위암에 대해 항암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유럽을 비롯한 서양에서는 예전부터 식품 및 약용으로 민들레를 이용하여 왔으나, 국내에서는 민들레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이용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ba, K., S. Abe and D. Mizuno. 1981. Antitumor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correlation between antitumor activity and timing of administration. Yakugaku Zasshi. 101 : 538-543. 

  2. Banwart, W. L., P. M. Porter, T. C. Granato and J. J. Hassett. 1985. HPLC separation and wavelength area ratios of more than 50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J. Chem. Ecol. 11 : 383-395. 

  3. Blosi,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 1199-1200. 

  4. Cho, Y. S., J. Y. Park, Y. J. Oh and J. Y. Jang. 2000.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i. 29 : 676-682. 

  5. Choi, J. S., S. H. Park and I. S. Kim. 1989. Studies on the active principles of wild vegetables on biotransformation of drug. Kor. J. Pharmacogn. 20 : 117-122. 

  6. Gray, J. I. and L. R. J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 981-984. 

  7. Han, S. H., J. K. Hwang, S. N. Park, K. H. Lee, K. I. Ko, K. S. Kim and K. H. Kim. 2005.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 : 84-89. 

  8. Ho, C., E. J. Choi, G. S. Yoo, K. M. Kim and S. Y. Ryu.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a Med. 64 : 577-578. 

  9. Hu, C. and D. K. David. 2003. Antioxidant, pro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lvent-fractionate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flower extract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1 : 301-310. 

  10. Kang, M J., S. R. Shin and K. S. Kim.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2) : 253-259. 

  11. Kang, M. J.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dandelion extract.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ungsan, Korea. 

  12. Kang, M. J., Y. H. Seo, J. B. Kim, S. R. Shin and K. S. Kim.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 : 182-187. 

  13. Kim, D. H. 1995. Antitumor activity of fractions of Taraxaci Herba synergistic effect with anticancer drugs. M.S. thesis, Taejon Univ. 

  14. Kim, S. D., M. H. Kim and D. H. Kim. 2000. Effect of dandelion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gas formation from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 321-325. 

  15. Kim, S. K. 1991. Effect of Herba Taraxaci extract on the antialgesia and antiinflammatory. M.S. thesis, Wonkang University. 

  16. Koh, Y. J., D. S. Cha, H. D. Choi, Y. K. Park, and I. W. Choi.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 : 283-289. 

  17. Kotobuki, H., A. Akira, Y. Itaru, N. Shigehiko, H. Zen-ichi and N. Ichiya. 1965. Antitumor avtivity of 4(or 5)-aminoimidazole-5(or 4)-carboxamide derivatives. GANN Japa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 56(4) : 417-420. 

  18. Krygier, K., F. Sosulski and H. Lawrence. 1982.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 1. Extraction and purificition procedure. J. Agric. Food Chem. 30 : 330-334. 

  19. Lee, B. W. and D. H. Shin.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 200-204. 

  20. Lee, C. B. 1980. Plant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Korea. pp. 783-784. 

  21. Lee, E. B., J. K. Kim and O. K. Kim. 1993. The antigastritic effect of Taraxaci Herba. Kor. J. Pharmacogn. 24 : 313-318. 

  22. Lister, C. E., J. E. Lancaster, K. H. Sutton and J. R. L. Walker. 1994.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ence Food and Agric. 64 : 155-161. 

  23. Mascolo, N., G. Autore, F. Capasso, A. Menghini and M. P. Fasulo. 1987. Biological screening of Italian medicinal plant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Phytother. Res. 1 : 28-31. 

  24.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 55-63. 

  25. Park, S. H. 1995. Naturalized Plant Flora in Korea. Iljogak. Seoul, Korea. pp. 346-349. 

  26. Racz-Kotilla, E., G. Racz and A. Solomon. 1974. The action of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body weight and diuresis of laboratory animal. Planta Media. 26 : 212-217. 

  27.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200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7. Electronic Version. Cary, NC, USA. 

  28. Shahidi, F., P. K. Janitha and P. D. Wanasundara.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ical Review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 : 67-103. 

  29. Singleton, V. L. and J. A. Rossi. 1965. 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 144-158. 

  30. Sun, J., Y. F. Chu, X. Z. Wu and R. H. Liu. 2002. Antioxidant and anti proliferative activities of common fruits. J. Agric. Food Chem. 50 : 7449-7454. 

  31. Takasaki, M., T. Konoshima, H. Tokuda, K. Masuda, Y. Arai, K. Shiojima and H. Ageta. 1999a.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 Biol. Pharm. Bull. 22 : 602-605. 

  32. Takasaki, M., T. Konoshima, H. Tokuda, K. Masuda, Y. Arai, K. Shiojima and H. Ageta. 1999b.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l. Pharm. Bull. 22 : 606-610. 

  33. Williams, C. A., F. Goldstone and J. Greenham.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 121-127. 

  34. Zhou, K. and L. Yu. 2006.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grown in Colorado. LWT. 39 : 1155-11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