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 Knowledg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of Negative Emotionality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4, 2012년, pp.705 - 714  

성미영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 knowledge, negative emotionality, and autobiographical memory in a sample of 13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정서지식 수준이 높은 유아가 부정적 정서성 수준은 낮을 것이고 궁극적으로 자전적 기억력은 높아질 것이다. 유아의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발달과 관련되어 있다는 선행연구결과(Wang et al., 2006; Wang, 2008)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식과 자전적 기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성이 매개역할을 담당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정서지식이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으로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자전적 기억에 대한 정서지식의 영향력이 부정적 정서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Baron and Kenny(1986)의 매개변인 탐색을 위한 전략 즉, 첫째,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며, 둘째,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며, 셋째, 독립변인 통제 시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며,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매개변인 통제 시 사라지거나 감소해야 한다는 조건에 근거하여 먼저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정서지식이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으로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정적 정서성이 자전적 기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전적 기억에 대한 정서지식의 영향력이 부정적 정서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정서지식이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으로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자전적 기억에 대한 정서지식의 영향력이 부정적 정서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1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서지식은 특정 문화권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유아의 자전적 기억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서와 인지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사건이나 상황에서 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표현하고 타인의 정서 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유아의 정서지식은 과거 자신이 경험한 사건에 대한 기억 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의 정서지식과 부정적 정서성, 자전적 기억의 관계 등에 관한 선행연구에 근거해 볼 때,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유아의 정서지식과 자전적 기억발달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즉, 유아의 정서지식은 자전적 기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슬픔, 분노 등의 부정적 정서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 , 2008)을 통해 볼 때,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발생한 사건에 적합한 정서를 판단하는 정서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슬픔, 두려움, 분노의 정서 상태인 부정적 정서성에 부적 영향력을 미침과 동시에 유아의 과거 사건에 대한 회상 능력인 자전적 기억발달에도 부적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다른 유아에 비해 부정적 정서성 수준이 높은 유아는 자전적 기억 능력도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즉, 정서지식 수준이 높은 유아가 부정적 정서성 수준은 낮을 것이고 궁극적으로 자전적 기억력은 높아질 것이다. 유아의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발달과 관련되어 있다는 선행연구결과(W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의 경우 어떻게 행동하는 경향을 보였는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관한 연구들은 정서성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의 경우 공격성이나 죄의식 등과 정적인 관련을 보이고, 부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는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더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였다(Rothbart, Ahadi & Hershey, 1994). 또한 부정적 정서성의 경험이 일상적 또래 관계의 질적 수준을 저하시킨다는 결과도 제시되었다(Fabes, Eigenberg, Jones, Smith, Guthrie, Poulin, Shepard, & Friedman, 1999).
자전적 기억이란 무엇인가? 유아가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사건을 주제로 대화를 하는 상황의 경우 대화 상대방과 이야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의 과거 경험에 관한 이야기를 언급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과거를 회상함으로써 자전적 기억을 발달시킨다.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이란 자신의 생활에 관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사건들에 대한 기억을 의미한다(Nelson & Fivush, 2004). 개별 유아는 자신의 자전적 기억을 개인적인 과거 사건과 관련지어 인식한다.
어떠한 이유에서 유아의 과거 회상이나 기억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상황에서 어머니가 대화를 이끌어가는 방식이 유아의 과거 회상을 얼마나 잘 유도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실시되었는가? 과거 사건에 관한 대화에 참여하는 나이 어린 유아의 경우 자신의 개인적 이야기 중 대부분의 내용은 부모와 같은 성인에 의해 제공되므로 유아의 자전적 기억은 기본적으로 주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유아의 자전적 기억 발달은 본질적으로 어머니와의 공유된 기억을 정교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협력적 과정이며, 이는 유아의 회상 능력 발달에 기여한다(Farrant & Reese, 2000). 이러한 이유에서 유아의 과거 회상이나 기억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상황에서 어머니가 대화를 이끌어가는 방식이 유아의 과거 회상을 얼마나 잘 유도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 Bennett, D. S., Bendersky, M., & Lewis, M. (2005). Antecedents of emotion knowledge: Predi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Cognition and Emotion, 19(3), 375-396. 

  3. Cain, W. J. (2004). Telling stories: Examining the effects of elaborative style, reporting condition, and social class in preschoolers' narratives. Merrill-Palmer Quarterly, 50(2), 139-158. 

  4. Christianson, S. A., & Safer, M. A. (1996). Emotional events and emotions in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D. C. Rubin (Ed.), Remembering our past: Studies in autobiographical memory (pp. 218-243).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Cleveland, E. S., & Reese, E. (2005). Maternal structure and autonomy support in conversations about the past: contributions to children's autobiographical memory. Developmental Psychology, 41(2), 376-388. 

  6. Doh, S. K., & Chey, J. Y. (2003).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in depressed and abused individual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2), 321-341. 

  7.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8. Fabes, R. A., Eigenberg, N., Jones, S., Smith, M., Guthrie, I., Poulin, R., Shepard, S., & Friedman, J. (1999). Regulation, emotionality, and preschoolers' socially competent peer interactions. Child Development, 70(2), 432-442. 

  9. Farrant, K., & Reese, E. (2000). Maternal style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reminiscing: Stepping stones in children's autobiographical memory development.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1(2), 193-225. 

  10. Fivush, R. & Fromhoff, F. A. (1988). Style and structure in mother-child conversations about the past. Discourse Processes, 11, 337-355. 

  11. Fivush, R., & Vasudeva, A. (2002). Remembering to relate: Socioemotional correlates of mother-child reminiscing.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3(1), 73-90. 

  12. Fivush, R., Haden, C. A., & Reese, E. (2006). Elaborating on elaborations: Role of maternal reminiscing style in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7(6), 1568-1588. 

  13. Garner, P. W., Jones, D. C., & Miner, J. L. (1994). Social competence among low-income preschoolers: Emotion socialization practices and social cognitive correlates. Child Development, 65, 622-637. 

  14. Haden, C. A. (1998). Reminiscing with different children: Relating maternal stylistic consistency and sibling similarity in talk about the past.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99-114. 

  15. Hoffner, C., & Badzinski, D. M. (1989). Children's integration of facial and situational cues to emotion. Child Development, 60(2), 411-22. 

  16. Kim, S. Y. (1993). Autobiographical memory: New questions for the study of mem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2(1), 1-18. 

  17. Kwon, H. I., Kwon, J. H., Ham, B. J., & Back, J. W. (2008). Biased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following from depression. Program Book of Annual Meeting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2-283. 

  18. Kwon, Y. H., & Park, K. J. (2003). Effects of emotionality,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ernal behavior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3), 27-44. 

  19. Lange, G., & Carroll, D. E. (2003). Mother-child conversation styles and children's laboratory memory for narrative and nonnarrative material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4(4), 435-457. 

  20. Lee, J. E., & Sohn, Y. W. (2008). Subjective well-being and memory of valenced life ev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ratio and memory reconstruction of positive event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1(3), 397-418. 

  21. Lee, J. H., & Moon, H. J. (2008).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4), 1-14. 

  22. Lee, K. Y., & Sung, M. Y. (2003). Preschoolers' emotional knowledg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y: Comparison of institutionalized and home-reared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1), 33-45. 

  23. McGaugh, J. L. (2003). Memory and emotion: The making of lasting memories.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Nelson, K. & Fivush, R. (2004). The emergence of autobiographical memory: A social cultural developmental theory. Psychological Review, 111(2), 486-511. 

  25. Park, M. S., & Park, C. H. (2011). Comparison of Korean older and younger adults concerning positivity effect in the recall of emotional picture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1), 171-194. 

  26. Reese, E., Haden, C. A., & Fivush, R. (1993). Mother-child participation about the past: Relationship of style and memory over time. Cognitive Development, 8, 403-430. 

  27. Reisberg, D., & Hertel, P. (2004). Memory and emo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8. Rothbart, M. K., & Posner, M. I. (2006). Temperament, atten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2. Developmental Neuroscience (pp. 465-501). New York, NY: Wiley. 

  29. Rothbart, M. 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ar Quarterly, 40, 21-39. 

  30. Schultz, D., Izard, C. E., Ackerman, B. P., & Youngstrom, E. A. (2001). Emotion knowledge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Self-regulatory antecedents and relations to social difficulties and withdrawa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3, 53-67. 

  31. Sung, M. Y. (2006a). Children's emotionality and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their institutionaliz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1), 17-29. 

  32. Sung, M. Y. (2006b).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3), 285-300. 

  33. Sung, M. Y. (2006c).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emotionality, emotional knowledge, and event knowledg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5), 59-68. 

  34. Wang, Q., Hutt, R. Kulkofsky, S., McDermott, M., Wei, R. (2006). Emotion situation knowledge and autobiographical memory in Chinese, immigrant Chinese, and European American 3-year-old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7(1), 95- 118. 

  35. Wang, Q. (2008). Emotion knowledge and autobiographical memory across the preschool years: A cross-cultural longitudinal investigation. Cognition, 108(1), 117-135. 

  36. Welch-Ross, M. K. (1997). Mother-child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about the past: Relationships to preschoolers' theory of mind. Developmental Psychology, 33(4), 618-629. 

  37. Williams, J. M., & Broadbent, K. (1986). Autobiographical memory in suicide attemp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2), 14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