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어머니 양육행동 및 사회적 지원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6 = no.120, 2012년, pp.1 - 11  

김지현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한준아 (수원과학대학교 아동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are 148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teacher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긍정적인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어떤 측면이 문제 행동을 줄이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도와 줄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양육행동의 하위 요인으로 대표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 온정과 함께 자녀의 행동을 일관성 있게 관리감독하는 측면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분류에 기초하여 국내에서도 문제행동을 불안 행동, 수줍음, 사회적 위축이나 미성숙한 행동과 같은 내면화 문제와 공격성이나 과잉행동과 같은 외현화 문제로 분류하고 있다(Kim & Kim,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의 분류에 기초하여 문제행동을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면화 문제행동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행동, 사회적 지원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 (1997)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부터 학령기까지 지속된 7년간의 종단 연구에서 부모의 지지적인 양육행동이 학령초기는 물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학업수행에 영향을 주고 또래관계에서도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Aunola and Nurmi(2005)는 어머니가 애정적이면서 행동의 통제를 많이 할 때 외현화 문제가 적게 일어난다고 보고하고 있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이고 긍정적인 사회정서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돕기 위해서 본 연구는 양육행동 중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초점을 두고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긍정적인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어떤 측면이 문제 행동을 줄이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도와 줄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행동, 사회적 지원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하위 요인을 온정적 양육행동과 관리감독적 양육행동으로 나누고, 사회적 지원을 친구지원과 교사지원으로 나누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의 하나는 무엇인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의 하나는 부모관련 변인이다. 부모는 일상생활에서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교사지원과 친구지원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원이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Chung(1998)은 가족지원보다는 친구와 교사지원이 아동의 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하면서 이는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확대됨에 따라 가족의 영향력보다는 친구 및 교사의 영향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고려하여 보면, 사회적 지원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뿐, 사회적 지원을 교사지원과 친구지원으로 구분하여 각각이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따라서 교사지원과 친구지원으로 구성된 사회적 지원이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제행동에는 어떠한 것들이 포함되는가? 문제행동에는 아동이 일정기간동안 지능, 감각 또는 건강 요인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학습문제, 또래나 교사와의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 정상적 조건 하에서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 우울하거나 불행한 기분에 젖어 있는 경우 그리고 개인적 혹은 학교 관련 문제로 인한 신체적 증상, 통증 및 두려움 등의 행동들이 포함된다(Bower, 1969). Achenbach(1991)은 이러한 여러 유형의 문제행동들을 크게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chenbac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 Archenbach, T. M., McConoughy, S. H., & Howell, C. T.(1987). Child/adolesce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mplications of cross-informant correlations for situational specificity. Psychological Bulletin, 101, 213-232. 

  3. Armentrout, J. A., Burger, G. K.(1972). Children's report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at five grade levels. Developmental Psychology, 7(1), 44-48. 

  4. Aunola, K., & Nurmi, J. E.(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5.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 4, 1-103. 

  6. Bower, E. M.(1969). Early identification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2nd ed.).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7. Cho, B. H., Lee, J. S., & Han, S. Y.(2005). The relationships among home environment,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Korean- Chinese children in Yanbia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43(3), 91-104. 

  8.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as buffers of lif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01(3), 393-403. 

  9. Cohen, F., & Wills, T. A.(1983).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10. Chung, H. H.(200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child rati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73-88. 

  11. Chung, S. I.(1998). A study on daily stress and adjustment depending on children's social support. Unpublished thesis. Ewah Womans University, Seoul. 

  12. Chung, S. M.(2005).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self concept perceived by children on the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3. Chung, M. J., & Chun, Y. J.(2005). Effects of the father's experiences from his family of origi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behaviors on his child's behavioral problems as a function of the child's sex.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2), 41-55. 

  14. Chung, M. J., & Kim, M, J.(2004).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5), 11-27. 

  15. Dadds, M. R., Perrin, S., & Yule, W.(1997). Social desirability and self-reported anxiety in children: An analysis of the RCMAS lie scal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4), 311-317. 

  16. de Anda, D., Baroni, S., Buchwald, L., Morgan, J., Ow, J., Gold, J. S., & Weiss, R.(2000). Stress, stressors and cop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2, 441-464. 

  17. DeRosier, M. E., & Kupersmidt, J. B.(1991). Costa Rican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656-662. 

  18. Doh, H. S., Kim, M. J., Park, B. K., & Hwang, Y. E. (2005). The relations of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to children'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85-195. 

  19.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20. Dubow, E. F., & Ullman, D. G.(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21. Eisenberg, N., Zhou, Q., Spinrad, T. L., Valient, C., Fabes, R. A., Liew, J.(2005). Relations among positive parenti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ternalizing problems: A three wave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6(5), 1055-1171. 

  22. Feiring, C., & Lewis, M.(1989). The social networks of girls and boys from early through middle childhood. In D. Belle(Eds.), Children's social networks on social supports (pp. 119-150). N.Y.: Wiley. 

  23. Furman, W., & Buhrmester, D.(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24. Han, J. A.(2008).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divorced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Han, J. A., & Kim J. H.(2011).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on genderspecific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3), 11-21. 

  26. Han, M. H., & Yoo, A. J.(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7(1), 173-188. 

  27. Harter, S.(1985). Manual for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children. Denver: University of Denver. 

  28. Hightower, A. D., Work, W., Cowen, E., Lotyczewski, B., Spinell, A., Guare, J., & Rohrbeck, C.(1986). The teacher-child rating scale: A brief objective measure of elementary children's school problem behaviors and competencies. School Psychology Review, 15, 339-409. 

  29. Jung, J. Y., & Han, E, G.(2007).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low-income divorced family's children on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3), 491-504. 

  30. Kang, S. H., & Lee, J. Y.(1992). Stress-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in the adjustment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2), 175-188. 

  31. Koh, Y. J., Kim, Y. S., & Noh, J. S.(2000). Contribution of Behavioral Disturbance,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to the self-perceived social competence in Korean elementary-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Development, 13(2), 65-78. 

  32. Kim, M. S.(1994).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ladjustment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3. Kim, M. J., & Doh, H. S.(2001).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149-166. 

  34. Kim, S. H., & Kim, K. Y(1999). The causal relationship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the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1), 155-166. 

  35. Kim, J. H., & Kwon, Y. H.(2010).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gender-specific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3), 1-13. 

  36. Kim, W. K., Kwon, H. K., & Jeon, J. A.(2006).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depression, self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3), 67-79. 

  37. Kim, E. Y., & Yoo, G. H.(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fathers' attitudes of child rearing.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5(1), 33-43. 

  38. Kwon, Y. O., & Lee, J. D.(1999).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2), 115-133. 

  39. Lahey, B. B., Goodman, S. H., Schwab-Stone, M., Walman, I. D., & Bird, H.(2000).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oppositional behavior and conduct problems: A cross-sectional household study of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488-503. 

  40. Lee, G. S., & Chung, H. H.(2006).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in early school age: Mediated by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erceived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1), 1-17. 

  41. Lee, J. M., & Lee, Y. H.(2007).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conflict, maternal behavior, and social suppor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4), 33-58. 

  42. Min, M. H., Yi, S. H., & Lee, O. K.(2005).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nalizing problems of children from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1), 109-125. 

  43. Mitchell, R. E.(1983).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coupl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2, 433-448. 

  44. Moon, M. Y.(2001).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rising attitude on children's behavior of maladjustment. Unpublishe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5. Moon, K. J., & Oh, K. J.(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and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1), 29-43. 

  46. Morita, H., Suzuki, M., & Kamoshita, S.(1990). Screening measures for detecting psychiatric disorders in Japanese second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31(4), 603-617. 

  47. Murray, C., Kelly, M., & Gregory, A. W.(2007). Child and teacher repor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oncordance of perspectives and associ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in urban kindergarten classroom.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49-61. 

  48. Park, S. Y.(2002). Fathering. son's aggression, and the transmission of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5), 35-50. 

  49. Park, Y. M.(1996). The relation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the mother whose children late for school and child'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5(1), 49-64. 

  50.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1997). Supportive parenting, ecological context, and children's adjustment: A seven-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8(5), 908-923. 

  51. Pianta, R. C., La Paro, K. M., Payne, C., Cox, M. J., & Bradley, R.(2002). The relationship of kindergarten classroom environment to teacher,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child outcome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2, 225-238. 

  52. Sim, H. O.(2003). Children's bullying, victimization and teacher's report of problem behaviors and competenc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2), 79-82. 

  53. Tannen, D.(1990). You just don't understand. N.Y.: Ballantine Books. 

  54. Turner, R. J.(1981). Social support as a contingency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Social Behavior, 22, 357-367. 

  55. Yang, D. K., & Lim, Y. S.(1998).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er on th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es, 4(1), 55-74. 

  56. Yi, S. H., Lee, O. K., Min, M. H.(2006). The effects of children's gender,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181-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