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학전환기 맞벌이 가정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문제와 집행기능 곤란 및 가정내 사회적 자본의 관계: 가정내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Problem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Domestic Social Capital in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in the Transition Period: Mediating Effects of Domestic Soci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6, 2021년, pp.109 - 132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ttention deficits/hyper activities problems(ADHD problem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especiall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in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05)

  1. 강문선 (2019). 집행기능의 교육신경학적 해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문정 (2017).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 상위권 자녀를 둔 서울 거주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옥려 (201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뇌 과학적 접근. 한국초등교육, 25(1), 315-333. doi:10.20972/kjee.25.1.201403.315 

  4. 고명정, 박은진, 이대환, 최영민, 김봉석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어머니의 대상관계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4), 219-227. doi:10.5765/jkacap.2011.22.4.219 

  5. 김민주, 하은혜 (2011). 청소년의 ADHD증상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4), 43-58. 

  6. 김민주, 하은혜 (2013). 청소년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13-330. doi:10.15842/kjcp.2013.32.2.003 

  7. 김민진 (2008).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9(1), 181-210. 

  8. 김세영 (2012).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가정배경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소라, 신나나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47-67. doi:10.14698/jkcce.2020.16.05.047 

  10. 김수정, 곽금주 (2010). 초등 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단기.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19-37. 

  11. 김은향 (2020).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1037-1059. doi:10.22251/jlcci.2020.20.7.1037 

  12. 김형숙 (2007).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 문화, 19(4), 193-222. doi:10.21478/family.19.4.200712.007 

  13. 김형연, 김민주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및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1), 105-121. doi:10.5723/kjcs.2020.41.1.105 

  14. 노보람, 박새롬, 박혜준, 최나야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교육지원 유형: 예측요인 및교육지원 유형에 따른 자녀의 학교 적응. 아동학회지, 41(1), 15-28. doi:10.5723/kjcs.2020.41.1.15 

  15.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8. 4). 청소년 ADHD 치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don.co.kr /mobile/article.html?no16052에서 2021년 9월 8일 인출 

  16. 문영경 (2021).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종단적영향: 유아기 어머니 수용감과 또래 수용감의 직렬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5), 43-61. doi:10.14698/jkcce.2021.17.05.043 

  17. 민미희 (2018).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91-121. doi:10.22590/ecee.2018.22.3.91 

  18. 민미희 (2020).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2(3), 149-166. doi:10.36431/JPE.12.3.7 

  19. 민운정 (2013). ADHD 성향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능력 및 집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보경, 노지운 (2020). 부모의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실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2), 163-179. doi:10.5723/kjcs.2020.41.2.163 

  21. 박완주, 박신정, 황성동 (2015).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5(2), 169-182. doi:10.4040/jkan.2015.45.2.169 

  22. 박원순 (2021).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을 통한 육아존중. 육아정책포럼, 68, 29-35. 

  23. 박은미, 정대영 (2012). 상위인지전략중심의 가정연계 게임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양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8(3), 487-521. 

  24. 박지현, 송현주 (2016). ADHD 성향 초등학교 고학년의 계획 및 조직화 중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 재활심리연구, 23(1), 159-171. 

  25. 송연주 (2015). 초등학생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돌봄과 교사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203-229. 

  26. 송진영 (2014).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4(4), 523-553. doi:10.15709/hswr.2014.34.4.523 

  27.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동과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송현주 (2014).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1), 121-137. doi:10.15842/kjcp.2014.33.1.008 

  29. 신연희, 정현희, 최성열 (2010).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19(3), 143-158. 

  30. 오경자, 김영아 (2010).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휴노컨설팅. 

  31. 유지영 (2017).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45-61. doi:10.14400/JDC.2017.15.10.45 

  32. 윤종빈, 김진주 (2019). 한국적 사회적 자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 정치, 6(2), 171-206. doi:10.22539/culpol.2019.6.2.171 

  33.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143-170. 

  34. 이동미, 장혜인, 김호정, 배진, 박주희 (2021). 머신러닝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1학년 ADHD 위험군아동 종단 예측모형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5), 83-103. doi:10.14698/jkcce.2021.17.05.083 

  35. 이미아 (2009).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95-111. doi:10.21075/kacsn.2009.11.2.95 

  36. 이아름 (2020). 취업모의 일-양육 양립 이점과 자녀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부모 공동양육의 조절된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2(2), 51-71. doi:10.36431/JPE.12.2.4 

  37. 이운경, 김민주, 윤기봉 (2018).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온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9(3), 141-156. doi:10.5723/kjcs.2018.39.3.141 

  38. 이재희, 김근진, 엄지원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연구보고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808/2/%ec%b4%88%eb%93%b1%ec%9e%90%eb%85%80%20%ec%96%91%ec%9c%a1%ec%a7%80%ec%9b%90%20%eb%b0%a9%ec%95%88.pdf에서 2021년 9월 20일 인출 

  39. 이종하, 유수현 (2011). 아동의 ADHD 경향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4(1), 1-16. doi:10.47801/KJIMH.04.1.1 

  40. 이주미 (2018). 자기조절과 실행기능: 교육적 접근을 위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6(2), 201-227. doi:10.18230/tjye.2018.26.2.201 

  41. 이지원, 최지은, 김현경 (2020). 부모 공동양육의 양과 질을 반영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집단 간사회인구학적 특성, 학령기 아동 정서조절능력의 차이. 아동학회지, 41(6), 95-110. doi:10.5723/kjcs.2020.41.6.95 

  42. 이현철, 천희영 (2021). 한국 영유아의 사회적 자본 의미에 대한 소고. 교육발전, 40(3), 741-763. doi;10.34245/jed.40.3.741 

  43. 이혜정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출현율과 교사-부모간의 평정 일치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임양미 (2020). 맞벌이 부모의 일. 가정 양립 갈등, 강압적 양육행동, 초등학교 자녀의 미디어기기의존 및 집행기능 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학부모연구, 7(4), 77-97. 

  45. 전숙영 (2018). 초등학교 1학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문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3(3), 41-54. doi:10.23931/kacp.2018.13.3.41 

  46. 전은아 (2019). 정서.행동문제가 있는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비교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전진원, 전자배 (2016). 부모의 교육적 지원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3(2), 5-31. doi:10.22804/jke.2016.43.2.001 

  48. 정승아, 이수진 (2016). 학령 초기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 인성과 부모양육의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499-518. doi:10.15842/kjcp.2016.35.2.009 

  49. 조광현, 배율미 (2018). 유아기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2(4), 245-269. doi:10.32349/ECERR.2018.08.22.4.245 

  50. 조규영, 이설아 (2019).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갈등과 다차원적 건강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4(3), 3-18. doi:10.21321/jfr.24.3.3 

  51.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52. 조정연, 윤주연, 신윤희, 송호준, 배민정, 구현진 (2010).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127-149. 

  53. 최고은, 권지성 (2013). ADHD성향 아동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평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5(3), 207-238. doi:10.20970/kasw.2013.65.3.009 

  54. 최옥희, 김용미, 김영호 (2009).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학업 성취에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2(4), 133-160. 

  55. 최진오 (2010). 초등학생들의 ADHD 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179-198. doi:10.21075/kacsn.2010.12.3.179 

  56. 통계청 (2021. 06. 22). 2020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90200 에서 2021년6월 22일 인출 

  57.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연구.지원센터 (2021). 위(Wee) 프로젝트, 우리가 희망이다. https://www.wee.go.kr에서 2021년 9월 10일 인출. 

  58. 한국아동패널 (2020. 1). 파일 다운로드. https://panel.kicce.re.kr/pskc/module/rawDataManage/index.do?menu_idx56에서 2021년 9월 30일 인출 

  59. 한국아동패널 (2021). 도구 프로파일. https://panel.kicce.re.kr/pskc/board/index.do?menu_idx42& manage_idx26에서 2021년 5월 31일 인출 

  60. 한선화, 현온강 (2008). ADHD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ADHD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26(2), 43-56. 

  61. 한영숙 (2019).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공격적.협동적 행동의 종단적 관계: 부모공동양육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2), 75-86. doi:10.5723/kjcs.2019.40.2.75 

  62. 한영숙 (2020).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종단적 관계: 아동의친사회적 행동과 또래관계의 역할. 아동학회지, 41(3), 13-23. doi:10.5723/kjcs.2020.41.3.13 

  63. 홍예지, 이강이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과결과요인 검증. 육아정책연구, 14(1), 97-120. doi:10.5718/kcep.2020.14.1.97 

  64. 황현주 (2011).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ADHD성향 유아와 관련 변인간의 관계: 성, 연령, 거주지역과 기질, 부모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5(2), 46-64. 

  6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5 Task Force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doi:10.1176/appi.books.9780890425596 

  66.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pa, C. (2001).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85-406. doi:10.1207/S15326942DN2001_5 

  67.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doi:10.1002/icd.385 

  68. Baggetta, P., & Alexander, P. (2016).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executive function. Mind Brain and Education, 10(1), 10-33. doi:10.1111/mbe.12100 

  69.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doi:10.1037/0033-2909.121.1.65 

  70. Barkley, R. A., & Cox, D. (2007). A review of driving risks and impairments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on driving performanc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8(1), 113-128. doi:10.1016/j.jsr.2006.09.004 

  71. Bronfenbrenner, U. (1979). Contexts of child rearing: Problems and prospects. American Psychologist, 34(10), 844-850. doi:10.1037/0003-066X.34.10.844 

  72. Carlson, S. M., Moses, L. J., & Claxton, L. J. (2004).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ory of mind: An investigation of inhibitory control and planning 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7(4), 299-319. doi:10.1016/j.jecp.2004.01.002 

  73. Chang, J. J., Halpern, C. T., & Kaufman, J. S. (2007).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ather' involvement, and the trajectories of child problem behaviors in a US national sampl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7), 697-703. doi:10.1001/archpedi.161.7.697 

  74. Cho, E., & Allen, T. D. (2012). Relationship betwee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and parent-child interactive behavior: Can guilt help?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76-287. doi:10.1016/j.jvb.2011.12.002 

  75. Cho, S. C., Kim, B. N., Kim, J. W., Rohde, L. A., Hwang, J. W., Chungh, D. S. et al. (2009). Full syndrome and subthreshol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Korean community sample: Comorbidity and temperament findings.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8(7), 447-457. doi:10.1007/s00787-009-0755-7 

  76. Cicerone, K. D., Dahlberg, C., Kalmar, K., Langenbahn, D. M., Malec, J. F., Bergquist, T. F. et al. (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2), 1596-1615. doi:10.1053/apmr.2000.19240 

  77.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S95-S120. doi:10.1086/228943 

  78. Collins, W. A., Madsen, S. D., & Susman-Stillman, A. (2002). Parenting during middle childhood.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Children and parenting (2nd ed., Vol. 1, pp. 73-10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doi:10.4324/9781410612137.ch3 

  79. Cooklin, A. R., Westrupp, E., Strazdins, L., Giallo, R., Martin, A., & Nicholson, J. M. (2014).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Associations with parenting quality and couple relationship.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1(2), 266-277. doi:10.1111/cch.12137 

  80. Davies, P. T., Harold, G. T., Goeke-Morey, M. C., Cummings, E. M., Shelton, K., & Rasi, J. A. et al. (2002). Child emotional security and interparental conflict: Comparing the relative roles of emotional security and social learning processe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3), 27-40. doi:10.1111/1540-5834.00207 

  81.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ist: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doi:10.1111/j.1468-2850.1998.tb00152.x 

  82. Deater-Deckard, K. (2005).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evelopmen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1-115. doi:10.1002/icd.383 

  83. Fabricius, W. V., Sokol, K. R., Diaz, P., & Braver, S. L. (2012). Parenting time, parent conflict,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 physical health. In K. Kuehnle & L. Drozd (Eds.), Parenting plan evaluations: Applied research for the family court (pp.188-213).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med:psych/9780199754021.003.0007 

  84. Feinberg, M. E. (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3(2), 95-131. doi:10.1207/s15327922par0302_01 

  85. Fenesy, M. C., & Lee, S. S. (2018). Executive functioning mediates predictions of youth academic and social development from parenting behavio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3(8), 729-750. doi:10.1080/87565641.2018.1525384 

  86.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87. Hayes, A. F. (2021, August). The PROCESS macro for SPSS, SAS, and R. Retrieved September 20, 2021 from https://www.processmacro.org/download.html 

  88. Hayes, A. F., & Rockwood, N. J. (2017). Regression-based statistical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in clinical research: Observations, recommendations, and implement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98, 39-57. doi:10.1016/j.brat.2016.11.001 

  89. Hoza, B. (2007). Peer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6), 655-663. doi:10.1093/jpepsy/jsm024 

  90. Kendall, P. C. (1993).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with youth: Guiding theory, current status, and emerging developm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2), 235-247. doi:10.1037/0022-006x.61.2.235 

  91. Knudsen, E. I., Heckman, J. J., Cameron, J. L., & Shonkoff, J. P. (2006). Economic, neurobiological, and behavioral perspectives on building America's future workfor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3(27), 10155-10162. doi:10.1073/pnas.0600888103 

  92.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10.1037/0012-1649.18.2.199 

  93. Lam, C. B., Chung, K. K. H., & Li, X. (2018). Parental warmth and hostility and child executive function problems: A longitudinal study of Chinese families. Frontiers in Psychology, 9, 1063. doi:10.3389/fpsyg.2018.01063 

  94. Margolin, G., Gordis, E. B., & John, R. S. (2001). Coparenting: A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in two-pare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1), 3-21. doi:10.1037/0893-3200.15.1.3 

  95. McHale, J. P. (1997). Overt and covert coparenting processes in the family. Family Process, 36(2), 183 -201. doi:10.1111/j.1545-5300.1997.00183.x 

  96. Meuwissen, A. S., & Englund, M. M. (2016). Executive function in at-risk children: Importance of father-figure support and mother parent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4, 72-80. doi:10.1016/j.appdev.2016.04.002 

  97. Rice, F., Frederickson, N., & Seymour, J. (2011). Assessing pupil concerns about transition to secondary school.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2), 244-263. doi:10.1348/000709910X519333 

  98. Ringer, N. (2020). Living with ADHD: A meta-synthesis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ADHD.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67(2), 208-224, doi:10.1080/1034912X.2019.1596226 

  99.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doi: 10.3758/BRM.40.3.879 

  100. Sergeant, J. A., Geurts, H., & Oosterlaan, J. (2002). How specific is a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ing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ehavioral Brain Research, 130(1-2), 3-28. doi:10.1016/s0166-4328(01)00430-2 

  101.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doi:10.1037/1082-989X.7.4.422 

  102. Valcan, D. S., Davis, H., & Pino-Pasternak, D. (2018). Parental behaviours predicting early childhood executive functions: A meta-analy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30(3), 607-649. doi:10.1007/s10648-017-9411-9 

  103. Van Egeren, L. A., & Hawkins, D. P. (2004). Coming to terms with coparent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1(3), 165-178. doi:10.1023/b:jade.0000035625.74672.0b 

  104. Wiener, J., & Mak, M. (2009). Peer victimiz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sychology in the Schools, 46(2), 116-131. doi:10.1002/pits.20358 

  105. Willcutt, E. G., Doyle, A. E., Nigg, J. T., Faraone, S. V., & Pennington, B. F.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ogical Psychiatry, 57(11), 1336-1346. doi:10.1016/j.biopsych.2005.0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