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본 서울시 도시녹지 현황 분석 및 고찰 -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한 식생분류 -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s in Seoul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urroundings - Remote Sensing Based Vegetation Classificatio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5, 2012년, pp.8 - 18  

김현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지구관측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자연은 물리적 환경개선 기능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 옥외공간을 비롯하여 인근에 조성된 녹지공간은 자연체험의 기회가 적은 도시 아이들이 가장 쉽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일차적인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도시의 녹지현황을 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시 185개 초등학교를 선정하고, 학교 옥외공간을 포함한 반경 300m 이내(본 연구에서 '학교존'으로 정의) 주변 녹지 현황을 RapidEye 다중분광 인공위성 영상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존 평균 녹지율은 약 21%이고, 최고 74%에서 최소 0.7%까지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반수 이상의 학교존 녹지율이 20% 미만이다. 학교존 녹지율이 높은 학교 대부분이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산림면적이 학교존 녹지율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며, 산림녹지의 경우 식생활력 또한 기타 도심지에 조성된 조경수목식재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학교들 대부분은 고밀 주택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녹지의 식생활력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시산림을 제외한 시가화지역에서 학교존 녹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파트단지내 조경녹지시설이며, 그 밖에 친환경적인 학교 옥외공간이나 가로공원 등 도시오픈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도시계획적인 맥락에서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을 지원하거나 주변지역의 옥상녹화를 장려하고, 학교주변 아파트단지내 녹지공간을 학교옥외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오픈스페이스로 개방하는 등의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n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 In particular, schoolyards as well as the green spaces near school surroundings function as a primary space for urban children to experi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도시산림이나 근린공원을 제외하면, 서울시 도시녹지의 상당 부분을 공동주택지의 조경시설이 차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동시에 고밀주택지에서의 열악한 녹지 현황을 반영하는 것이자 오픈스페이스 확보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학교존 녹지율이 특히 낮게 나타나는 초등학교들에 학교숲 조성사업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학교 옥외 공간을 도시녹지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해당학교의 학생들은 물론 인근 주민들에게 자연을 체험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 픽셀 이상 즉, 42m2(6.5m×6.5m)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녹지만을 분석에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녹지의 정서적,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도시의 바쁘고 복잡한 일과 속에서 쉽게 이용이 가능한 도시녹지의 조성 현황을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존 녹지율과 식생의 활력상태등 도시녹지의 물리적 현황만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지금까지 도시녹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미기후 조절이나 대기환경 개선, 동식물종의 서식지 등 도시녹지의 환경적 기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면, 본 연구는 도시녹지의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일상생활에서 도시민이 인지하고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도시녹지의 물리적 현황을 다루어 보고자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의 정서적, 사회적 기능 관점에서 우리나라 대도시의 녹지현황을 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도시녹지에 관한 많은 국내 연구들은 대기정화나 미기후 조절 등 도시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녹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도시녹지의 존재 가치 또는 양적 증대에 관심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조용현과 신수영, 2002; 성현찬과 민수현, 2003; 조현길과 안태원, 2006).
  • 따라서, 일상에서 쉽게 이용할 수 없는 산림지역이나 도시자연공원을 포함하는 통계적인 도시녹지가 아니라, 실제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생활권역내 도시녹지의 현황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 주변 도시녹지의 양적, 질적 현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도시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향후 도시환경계획이나 도시녹지 조성사업 등을 계획하고 수립하는데 있어 참조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렇게 분할된 식생 세그멘트를 NDVI를 기준값으로 하여 다시 세 단계의 상대적 식생활력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합성이 활발하고 생장이 왕성한 식생일수록 식생지수 값도 증가하는 특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식생지수 값의 범위를 개괄적으로 식생활력이 높음, 양호, 낮음으로 순서척도화하여 서울시 학교존 녹지지역의 식생활력 상태를 상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존 녹지로 추출된 전체 식생지역에서 나타나는 NDVI의 최대, 최소값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로 드러난 도시녹지의 양적, 질적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녹지 네트워크화 방안을 보다 심도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환경심리학적 관점에서 학교존 녹지공간이 실제로 아이들에게 어떻게 인지되고 있는지, 인지되는 녹지와 인지되지 않는 녹지가 규모나 조성상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도시자연공간으로서 정서적, 교육적 기능은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 등 학교 주변의 도시녹지 현황에 대한 분석의 폭을 확대하여, 도시녹지 신규조성 및 네트워크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녹지의 정서적,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도시의 바쁘고 복잡한 일과 속에서 쉽게 이용이 가능한 도시녹지의 조성 현황을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존 녹지율과 식생의 활력상태등 도시녹지의 물리적 현황만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지금까지 도시녹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미기후 조절이나 대기환경 개선, 동식물종의 서식지 등 도시녹지의 환경적 기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면, 본 연구는 도시녹지의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일상생활에서 도시민이 인지하고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도시녹지의 물리적 현황을 다루어 보고자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서울시 도시녹지는 산림형 자연공원이나 근린공원을 제외하면, 공동주택지 내 조경시설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의 주요유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 문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는 1990년대 초반 사회문제로 대두된 이래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대상층이 초등학생으로까지 옮아가면서 저연령화 및 폭력 행태의 다양화 등 심각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한진태, 2012). 많은 연구에서 학교폭력의 주요 발생원인을 개인적인 성향과 가족요인, 교우관계, 학교부적응 등 일부 계층의 문제로 지적하고 있으나(김준호, 1998; 김창군과 임계령, 2010; 박철우, 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당면하고 있는 치열한 입시경쟁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몇몇 개인의 문제를 넘어 공동체 차원에서도 이미 건전한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녹지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일류대학을 위한 무한경쟁과 상대평가에 의한 학교내 경쟁구도, 성적이 우선시 되는 학교문화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그 수위를 점점 높여가고 있으며, 매일 일상에서 접하는 외부환경 또한 도시개발로 인해 고층 고밀화 되는 등 자연성을 잃어가고 있다. 도시녹지는 복잡한 도시의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동식물이나 계절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사고의 전환을 꾀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도시민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한다. 인공적인 요소가 대부분인 도시 속에서 원시 자연이나 역사적 경관을 접함으로써 광활한 대자연과 인류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는 가치관 형성이나 자연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인간성의 형성 등 환경심리학적 측면이나 환경교육적 측면에서 기여하는 바도 크다(Kaplan, 1995; 이재영과 김아연, 2005).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학교폭력 문제의 주요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는 1990년대 초반 사회문제로 대두된 이래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대상층이 초등학생으로까지 옮아가면서 저연령화 및 폭력 행태의 다양화 등 심각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한진태, 2012). 많은 연구에서 학교폭력의 주요 발생원인을 개인적인 성향과 가족요인, 교우관계, 학교부적응 등 일부 계층의 문제로 지적하고 있으나(김준호, 1998; 김창군과 임계령, 2010; 박철우, 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당면하고 있는 치열한 입시경쟁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몇몇 개인의 문제를 넘어 공동체 차원에서도 이미 건전한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일류대학을 위한 무한경쟁과 상대평가에 의한 학교내 경쟁구도, 성적이 우선시 되는 학교문화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그 수위를 점점 높여가고 있으며, 매일 일상에서 접하는 외부환경 또한 도시개발로 인해 고층 고밀화 되는 등 자연성을 잃어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09)경기도학교폭력예방대책연구. 경기도보고서. 

  2. 국지하,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8)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조 경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3): 27-34. 

  3. 김인호(2002)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인호(2007) 친환경학교를 위한 학교숲 운동 개선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 121-129. 

  5. 김준호(1998) 한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 피해와 가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 109-131. 

  6. 김창군, 임계령(2010)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법학연구 38: 173-198. 

  7. 박철우(2007) 청소년범죄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조선대 법학논총 9: 197-214. 

  8.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도시가로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9. 신문수(2009) 자연체험의 중요성: 갈색 도시 환경과 청소년의 인성 발달. 문학과 환경 8(2): 111-139. 

  10. 이재영, 김아연(2005)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18(2): 90-100. 

  11. 장철규, 정성관, 장정선, 김경태, 오정학(2009) 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한국조경학회지 37(4): 42-51. 

  12. 정택상,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이지현(2010) 학교숲이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87-98. 

  13. 조용현, 신수영(2002) 도시림의 여름 대기온도 저감효과: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4): 28-36. 

  14. 조현길, 안태원(2006) 도시 수목식재와 미기후 개선의 상관성 규명. 한국조경학회지 34(5): 70-75. 

  15. 추장민 등(2009)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II.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6. 한진태(2012) 한국사회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소년 보호연구 18: 195-225. 

  17. Barnes, E. M., T. R. Clarke, S. E. Richards, P. D. Colaizzi, J. Haberland, M. Kostrzewski, P. Waller, C. Choi, E. Riley, T. Thompson, R. J. Lascano, H. Li and M. S. Moran(2000) Coincident detection of crop water stress, nitrogen status and canopy density using ground-based multispectral data.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cision Agriculture, Bloomington, MN, USA, 16-19 July 2000. 

  18. Blaschke, T.(2010) Object based image analysis for remote sensing.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5: 2-16. 

  19. Blaschke, T., S. Lang, E. Lorup, J. Strobl and P. Zeil(2000) Objectoriented image processing in an integrated GIS/remote sensing environment and perspective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In Cremers, A., and K. Greve, eds.,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Planning, Politics and the Public, vol.2. Marburg: Metropolis Verlag. pp. 555-570. 

  20. Eitel, J. U. H., L. A. Vierling, M. E. Livak, D. S. Long, U. Schulthess, A. Ager, D. J. Krofcheck and L. Stoscheck(2011) Broadband, red-edg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proves early stress detection in a New Mexico conifer woodlan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 3640- 3646. 

  21. Fiella, I. and J. Penuelas(1994) The red edge position and shape as indicators of plant chlorophyl content, biomass and hydric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5(7): 1459-1470. 

  22. Fuller, R. A., K. N. Irvine, P. Devine-Wright, P. H. Warren and K. Gaston (2007) Psychological benefits of green space increase with biodiversity. Biology Letters 3: 390-394. 

  23. Gebhard, U.(1993) Stadtnatur und psychische Entwicklung. In Sukopp, H. and R. Wittig, Hrsg., Stadtoekologie. Berlin: Gustav Fischer. pp. 105-124. 

  24. Gidloef-Gunnarsson, A. and E. Oehstroem(2007) Noise and well-being in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potential role of perceived availability to nearby green are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 115-126. 

  25. Gitelson, A. A., Y. J. Kaufman and M. N. Merzlyak(1996) Use of a green channel in remote sensing of global vegetation from EOS-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 289-298. 

  26. Jensen, J. R.(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Upper Saddle Rive: Prentice-Hall. pp. 333-365. 

  27.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169-182. 

  28. Kim, H. O.(2008) Remote sensing in urban areas. In Kinie, C. and Shahnawaz, eds.,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for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sia and Africa. Cologn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Cologne/Germany. pp. 35-41. 

  29. Kuo, F. E. and A. F. Taylor(2004) A potential natural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vidence from a n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9): 1580-1586. 

  30. Platt, R. V. and L. M. Rapoza(2008) An evaluation of an objectoriented paradigmfor land use/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Professional Geographer 60(1): 87-100. 

  31. Rivkin, M.(1997) The schoolyard habitat movement: What it is and why children need i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5(1): 61-66. 

  32. Rouse, J. W., R. H. Haas, J. A. Schell and D. W. Deering(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TRS. Proceedings of the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Greenbelt: NASA SP-351: 3010-3017. 

  33. Ulrich, R. S.(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20-421. 

  34. Van den Berg, A. E., S. L. Koole and N. Y. van der Wulp(2003)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restoration: (How) are they related?.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135-146. 

  35. Wells, N. and G. Evans(2003)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Environment and Behavior 35(3): 311-330. 

  36. Wittig, R.(1993) Flora und vegetation. In Sukopp, H. and R. Wittig, Hrsg., Stadtoekologie. Berlin: Gustav Fischer. pp. 219-265. [In German] 

  37. Yang, X.(2011) Urban Remote Sensing: Monitoring, Synthesis and Modeling in the urban Environment. Oxford: Wiley-Blackwell. 

  38. www.rapideye.com 

  39. www.schoolforest.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