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4, 2012년, pp.375 - 387  

이성득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영기 (단국대학교) ,  김무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박석기 (단국대학교) ,  김연선 (한양여자대학)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서 유통 중인 환제 31종 93건을 수집하여 유해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고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비소는 Microwave dirgestion system를 이용하여 질산 분해 후 ICP-MS를 사용하였고, 수은은 시료를 수은분석기에 직접 주입하여 측정하였다.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하여 %PTWI를 산출하였고 또한 참고섭취량(RfD)과 발암잠재력(SF)을 이용하여 비발암위해도와 발암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전체 시료의 중금속의 평균 함량(mg/kg)은 납 0.87, 카드뮴 0.08, 비소 2.87 및 수은 0.16이었고, 재료별 평균 함량(mg/kg)은 표피 0.63, 열매 3.94, 잎 1.42, 뿌리 1.05, 종자 0.16, 해조류 22.31 및 기타 10.17이었다. 납은 전체 시료인 31개 중 28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으며 카드뮴은 31개 중 24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고, 비소는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수은은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시료 중 석류환과 칡환은 납의 함량이 높았고, 톳환은 수은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시마와 톳환은 비소의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위해지수 (비발암위해도)는 표피 0.09, 열매 0.51, 잎 0.33, 뿌리 0.21, 종자 0.02, 해조류 4.84, 기타 0.05이었다. 납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77로, 국제식품 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의 3.1% 수준이었으며, 납의 초과발암위해도는 표피 $1.95{\times}10^{-7}$, 열매 $1.45{\times}10^{-6}$, 잎 $2.14{\times}10^{-7}$, 뿌리 $6.27{\times}10^{-7}$, 종자 $1.99{\times}10^{-8}$, 해조 $3.61{\times}10^{-7}$, 기타 $9.64{\times}10^{-8}$이었으며, 전체 시료에서는 $4.24{\times}10^{-7}$로 산출되어 평생 동안 섭취할 경우 천만명당 4명의 비율로 암이 발생하는 수준이었다. 카드뮴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0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7과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001 mg/kg/day의 0.9%이었다. 비소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2.14이었으나, 비소의 %PTWI는 2010년 비소 독성에 대한 기존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값의 유지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140)의 판단 하에 폐지되어 비교할 수 없었고,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3 ${\mu}g$/kg/day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참고섭취량(RfD)의 98.3%이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발암 잠재력(SF)값을 적용하여 시료 중의 비소종이 모두 무기비소일 경우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한 결과 표피 $1.54{\times}10^{-5}$, 열매 $7.24{\times}10^{-5}$, 잎 $1.23{\times}10^{-4}$, 뿌리 $2.02{\times}10^{-5}$, 종자 $3.25{\times}10^{-6}$, 해조 $2.18{\times}10^{-3}$, 기타 $5.67{\times}10^{-6}$이었고, 전체 시료에서는 $3.38{\times}10^{-4}$이었으나, 농산물 중의 무기비소 비율 약 23%를 감안하면 $7.78{\times}10^{-5}$이었으며, 비소 함량이 높게 나타난 해조류를 제외한 다른 시료들의 초과발암위해도는 $9.20{\times}10^{-6}$이었다. 수은의 주간 평균섭취량(${\mu}g$/kg/week)은 0.02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 섭취허용량(PTWI) 5의 0.5%의 수준이었다. 유통 환제에서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중금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contamination levels and assessment of health risk effects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31 Items and 93 samples were obtained for this investigation from major herbal medicine producing areas, herbal markets and on-line supermarkets from Jan to J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에서는 최근 식품 중 기타가공품으로 분류된 환제의 주원료인 한약재 사용과 관련하여 유해 중금속인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고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의 치료방법에 따른 한약재의 형태에는 어떤 형태가 있는가? 이들 한약재는 질병의 치료방법에 따라 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환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약의 제형 중 환제란 가루로 만든 약재에 꿀·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둥근 모양으로 빚은 약으로서,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호환, 수환, 약즙환, 엑스환 등이 있으며, 이들 환제는 약재의 방향성이 커서가열시 유효성분이 증발하는 경우 많이 제조되며, 약리성분의 흡수가 완만하여 만성질병의 치료에 많이 사용하고, 탕제에 비하여 복용이 편하고 이동과 저장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1).
한약재의 안전성과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었고, 최근 의료기술의 동향은 치료의 사회적 비용을 감안하여 발생된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과 건강증진의 목적에 치중하고 있어 한약재의 안전성과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토양 중 중금속에 오염될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에 따른 매연, 폐수 등의 유출로 환경이 오염되었고, 토양이 산성화되면서 중금속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토양 중 중금속의 오염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들 지역에서 재배된 약용식물들은 중금속을 흡착하고 다시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유입되어, 장기간 섭취되는 경우 만성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이상인: 새로운 한약제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연구보고서 (199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ood and agricultural organiazation. Report of the joint FAO/WHO consultation of food consump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Report of a FAO/WHO consultation (WHO/FSF/FOS/97.5) Geneva, Switzerland, 10-14, February (1997).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for assessing quality of herbal medicines with reference to contaminants and residues. 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7/ 9789241594448_ eng.pdf (2007). 

  4.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0-75호 생약 등의 잔류오염 물질 기준 및 시험방법 (2010). 

  5.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CERCLA Priority list of hazardous substances. http://www.atsdr.cdc.gov/ cercla/07list.html (2007). 

  6. 정진영: 한약재의 품질기준 확립 및 유해물질 등 안전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2006). 

  7.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http://www.epa.gov/risk/health-risk.htm. 

  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Lead and compounds (inorganic). (CASRN 7439-92-1). http://www.epa.gov/iris/subst/0277.htm. 

  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Cadmium. (CASRN 7440-43-9). http://www.epa .gov/iris/subst/0141.htm 

  1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Arsenic, inorganic.(CASRN 7440-38-2). http:// www.epa.gov/iris/subst/0278.htm. 

  1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Mercury elemental. (CASRN 7439-97-6). http:// www.epa.gov/iris/subst/0370.htm. 

  12.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한국인의 인체치수조사사업의 학술용역연구결과보고서 (2004). 

  13. 통계청 생명표 (2009). 

  14. 환경부 예규 283호.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지침 (2006). 

  15. Lim, H.S., Lee, J.S., Chon, H.K. and Sager, M.: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in Korea. J. Geochem. Explor, 96, 223-230 (2008). 

  16. JECFA. Lead.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http:// www.inchem.org/documents/jecfa/jeceval/jec_1260.htm. 

  17. JECFA. Cadium.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http:// www.inchem.org/documents/jecfa/jeceval/jec_297.htm. 

  18. JECFA. Mercury.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http:// www.inchem.org/documents/jecfa/jeceval/jec_1373.htm. 

  19. 김동규, 김복순, 한은정, 한창호, 김욱희, 최병현, 황인숙, 채영주, 김민영, 박승국: 유통 한약재의 약용부위에 따른 유해중금속 분포. 한국분석과학회지, 22, 504-513 (2009). 

  20. 식품의약품안전청식품공전. 식품일반에 대한 공통기준 및 규격 2-1-9 (2011). 

  21. FAO/WHO Food standards, CODEX alimentarius. CODEX STAN 193.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nts and toxins in food and feed (1995). http://www. codexalimentarius.net/web/ standard_list.do?langen. 

  22. 최순남, 이상업, 정근희, 고원배: 지역별 해조류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4, 25-32 (1998). 

  23. 이미경: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 조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5, 253-260 (2008). 

  24. 신영, 곽재은, 한창호, 황영숙, 박애숙, 김동규, 한은정, 정삼주, 김복순, 최병현: ICP-MS를 이용한 서울지역 유통 한약재 중 잔류 중금속 모니터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보, 43, 226-246 (2007). 

  25. 박종우: 식품원료용 수입생약재 중금속 모니터링.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2005). 

  26. 곽재은, 신영, 한창호, 황영숙, 박애숙, 김동규, 한은정, 정삼주, 김복순, 최병현, 김민영: 서울 지역 유통 식품원료 한약재 중 중금속 함량.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보, 43, 129-140 (2007). 

  27. 김경희: 식약공용 원재료(한약재 과학화 연구). 식품의약품 안전청 연구보고서 (2009). 

  28. 강문규: 생약(한약)제제의 개별중금속 기준개정 연구(I).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2006). 

  29. 배종섭, 박종필, 김용웅, 박문기: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한국생물공학회지, 25, 91-96 (2010). 

  30. 윤정기, 김동호, 김태승, 박종겸, 정일록, 김종하, 김혁: 우리나라 토양이 중금속 자연 배경 농도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4, 32-39 (2009). 

  31. 박희운: 국내재배 10대 약용작물 안전생산 재배기준(GAP) 설정연구. 농촌진흥청 연구 보고서 (2006). 

  32. Basgel, S. and Erdemoglu, S.B.: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trace elements in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infusions consumed in Turkey. Sci. Total Environ, 359, 82-89 (2006). 

  33. Barthwal, J., Nair, S. and Kakkar, P.: Heavy metal accumulation in medicinal plants collected from environmentally different sites. Biomed. Environ. Sci, 21, 319-324 (2008). 

  34. Sheded, M.G., Pulford, I.D. and Hamed A.I.: Presence of major and trace elements in seven medicinal plants growing in the south-eastern desert, Egypt. J. Arid. Environ, 66, 210-217 (2006). 

  35. Sawidis, T., Chettri, M.K., Papaionnou, A., Zachariadis G. and Stratis J.: A study of metal distribution from lignite fuels using trees as biological monitors. Ecotox. Environ. Safe. 48, 27-35 (2001). 

  36. Farooq, M., Farooq, A. and Rashid, U.: Appraisal of heavy metal contents in different vegetables grown in the vincinity of in industrial area. Pak. J. Bot, 40, 2099-2106 (2008). 

  37. Basgel, S. and Erdemoglu, S.B.: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trace elements in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infusions consumed in Turkey. Sci. Total Environ. 359, 82-89 (2006). 

  38. Caldas, E.D. and Machado, L.L.: Cadmium, mercury and lead in medicinal herbs in Brazil. Food Chem. Toxicol, 42, 599-603 (2004). 

  39. De Pasquale, A., Paino, E., De Pasquale, R. and Germano, M.P.: Contamination by heavy metals in drugs from different commercial sources. Pharmacol. Res. 27, 9-10 (1993). 

  40. Arpadjan, S., Celik, G., Taskesen, S. and Gucer, S.: Arsenic, cadimium and lead in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ion. Food Chem. Toxicol, 46, 2871-2875 (2008). 

  41. 조도순, 김준호: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 147-156 (1995). 

  42. 최훈, 박성국, 김동술, 김미혜: 농산물 중 비소 위해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9, 266-272 (2010). 

  43. 김선태: 식품 중 무기비소에 관한 연구. 국립독성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44. 류근영, 심성례, 황인민, 정민석, 전삼녀, 서혜영, 박종석, 김희연, 엄애선, 박경수, 김경수: HPLC-ICP-MS를 이용한 톳의 비소 화학종 분석 및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41, 1-6 (2009). 

  45. JECFA. Short information documents for decision makers (2010). http://www.who.int/ipcs/assessment/public_health/arsenic/en/. 

  46. 백민경, 김원일, 류지혁, 김진경, 김미진, 임건재, 홍무기, 엄애선: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 중 비소 허용기준에 관한 국내외 동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5, 16-23 (2010). 

  47. Rosemary, C.R. and Tracey, J. Woodruff, T.J.: Assessment of potential risk levels associated wit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ference values. Environ. Health Perspect, 111, 1318-132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