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환자 마약성 진통제 금단증상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on Iatrogenic Narcotic Analgesic Withdrawal Symptoms Managemen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35 - 44  

이가영 (서울아산병원) ,  박정윤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iatrogenic narcotic analgesic withdrawal symptoms management (INAWSM). Methods :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253 pediatric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struments were the inv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2), 과다 진정이나 마약성 진통제 금단증상관리와 관련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소아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마약성 진통제 금단증 상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금단증상관리 지침이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단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러나 장기적인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내성으로 인해 약효를 감소시키고 약에 대한 의존성을 높여 감량 혹은 중단 시에 금단증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금단증상은 총투여량이 많을수록, 투여 기간이 길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발생 위험이 높다 (Anand et al., 2010).
소아 환자에게 마약성 진통제는 무엇을 위해 투약되나? 마약성 진통제는 신생아 및 소아중환자실 환아의 진통 및 진정을 위해 흔히 투약되고 있다(Tobias, 2005). 인공호흡기를 적용 중인 소아에게 통증이나 과도한 흥분, 보채는 증상을 조절함으로써 인공호흡기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침습적 처지 시에는 환아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예방하여 이차적인 합병증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Jenkins, Playfor, Bevan, Davies, & Wolf, 2007).
마약성 진통제의 효과는? 마약성 진통제는 신생아 및 소아중환자실 환아의 진통 및 진정을 위해 흔히 투약되고 있다(Tobias, 2005). 인공호흡기를 적용 중인 소아에게 통증이나 과도한 흥분, 보채는 증상을 조절함으로써 인공호흡기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침습적 처지 시에는 환아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예방하여 이차적인 합병증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Jenkins, Playfor, Bevan, Davies, & Wolf, 2007). 그러나 장기적인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내성으로 인해 약효를 감소시키고 약에 대한 의존성을 높여 감량 혹은 중단 시에 금단증상이 야기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douni, R., Reyburn-Orne, T., Youssef, T. H., Haddad, I. Y., & Gerkin, R.D. (2016). Impact of a standardized treatment guideline for pediatric iatrogenic opioids dependence: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The Journal of Pediatric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1 (1), 54-65. 

  2. Anand, K. J., Willson, D. F., Berger, J., Harrison, R., Meert, K. L., Zimmerman, J., & Nicholson, C. (2010). Tolerance and withdrawal from prolonged opioid use in critically ill children. Pediatrics, 125 (5), e1208-1225. 

  3. Best, K. M., Boullata, J. I., & Curley, M. A. (2015).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atrogenic opioid and benzodiazepine withdrawal in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onceptual model.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16 (2), 175-183. 

  4. Best, K. M., Wypij, D., Asaro, L. A., & Curley, M. A. (2017). Patient, process, and system predictors of iatrogenic withdrawal syndrome in critically ill children. Critical Care Medicine, 45 (1), e7-e15. 

  5. Birchley, G. (2009). Opioid and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s in the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Nursing in Critical Care, 14 (1), 26-37. 

  6. Dreyfus, L., Javouhey, E., Denis, A., Touzet, S., & Bordet, F. (2017).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paediatric nurse-driven sedation protocol in a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nnals of Intensive Care, 7 (1), 36. 

  7. Franck, L. S., Harris, S. K., Soetenga, D. J., Amling, J. K., & Curley, M. A. (2008). The withdrawal assessment tool-1 (WAT-1):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monitoring opioid and benzodiazepine withdrawal symptoms in pediatric patients.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9 (6), 573-580. 

  8. Franck, L. S., Naughton, I., & Winter, I. (2004). Opioid and benzodiazepine withdrawal symptoms in paediatric intensive care patient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 (6), 344-351. 

  9. Franck, L. S., Vilardi, J., Durand, D., & Powers, R. (1998). Opioid withdrawal in neonates after continuous infusions of morphine or fentanyl du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7 (5), 364-369. 

  10. Galinkin, J., & Koh, J. L. (2014).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iatrogenically induced opioid dependence and withdrawal in children. Pediatrics, 133 (1), 152-155. 

  11. Harris, J., Ramelet, A. S., van Dijk, M., Pokorna, P., Wielenga, J., Tume, L., . . . Ista, E. (2016).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pain, sedation, withdrawal and delirium assessment in critically ill infants and children: An ESPNIC position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Intensive Care Medicine, 42 (6), 972-986. 

  12. Hudak, M. L., & Tan, R. C. (2012). Neonatal drug withdrawal. Pediatrics, 129 (2), e540-560. 

  13. Hwang, K. H., Ryoo, E. N., & Park, K. S. (2007). A Study of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 (1), 41-51. 

  14. Ista, E., van Dijk, M., Gamel, C., Tibboel, D., & de Hoog, M. (2007). Withdrawal symptoms in children after long-term administration of sedatives and/or analgesics: A literature review. "Assessment remains troublesome". Intensive Care Medicine, 33 (8), 1396-1406. 

  15. Ista, E., van Dijk, M., Gamel, C., Tibboel, D., & de Hoog, M. (2008). Withdrawal symptoms in critically ill children after long-term administration of sedatives and/or analgesics: A first evaluation. Critical Care Medicine, 36 (8), 2427-2432. 

  16. Jenkins, I. A., Playfor, S. D., Bevan, C., Davies, G., & Wolf, A. R. (2007). Current United Kingdom sedation practice in pediatric intensive care. Paediatric Anaesthesia, 17(7), 675-683. 

  17. Lee, K. A., Kim, S. H., Jo, J. H., Ahn, J. H., Son, E. S., Kim, S. E., . . . Seok, K. J. (2012). Tapering of opioid analgesics injected to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9 (4), 384-393. 

  18. Maguire, D., Cline, G. J., Parnell, L., & Tai, C. Y. (2013). Validation of the Finnegan neonatal abstinence syndrome tool-short form. Advances in Neo- natal Care, 13 (6), 430-437. 

  19. Marx, C. M., Rosenberg, D. I., Ambuel, B., Hamlett, K. W., & Blumer, J. L. (1993). Pediatric intensive care sedation: Survey of fellowship training programs. Pediatrics, 91 (2), 369-378. 

  20. Motta, E., Luglio, M., Delgado, A. F., & Carvalho, W. B. (2016). Importance of the use of protocols for the management of analgesia and seda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Brazilian Medical Association, 62 (6), 602-609. 

  21. Neunhoeffer, F., Kumpf, M., Renk, H., Hanelt, M., Berneck, N., Bosk, A., . . . Hofbeck, M. (2015). Nurse-driven pediatric analgesia and sedation protocol reduces withdrawal symptoms in critically ill medical pediatric patients. Pediatric Anesthesia, 25 (8), 786-794. 

  22. Park, J. S., & Lee, H. S. (2007). Actual condition, knowledge and attitude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PCA) in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1), 18-28. 

  23. Shin, E. S., & Lee, E. S. (2002). Stress of the open heart surgery patient’s family in the ICU.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7, 129-140. 

  24. Tobias, J. D. (2000). Tolerance, withdrawal, and physical dependency after long-term sedation and analgesia of children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8 (6), 2122-2132. 

  25. Tobias, J. D. (2005). Sedation and analgesia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Annals, 34 (8), 636-645. 

  26. Trope, R., Vaz, S., Zinger, M., & Sagy, M. (2015). An updated therapeutic intervention scoring system for critically ill children enables nursing workload assessment with insight into potential untoward events.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30 (6), 344-350. 

  27. Veldman, A., Trautschold, T., Weiss, K., Fischer, D., & Bauer, K. (2006).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unplanned extubation in ventilated preterm and term newborns o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ediatric Anaesthesia, 16 (9), 968-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