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182 - 191  

주신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0, 1,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1.81{\pm}0.03$ mg GAE/g이며, 이를 쿠키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흑미 미강 분말과 쿠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흑미 미강에는 섬유소와 지방의 성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분석에서 흑미 미강은 약 80%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성분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의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7% 첨가 쿠키가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밀도는 흑미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손실율과 팽창률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5%와 7% 흑미 미강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강도 검사(흑미 미강 향, 고소한 맛, 부드러운 정도, 삼킨 후의 느낌)에서는 흑미 미강을 첨가한 쿠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느끼한 향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흑미 미강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7%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ack rice bran powder has potential medical uses and functionalit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 3, 5, 7, and 9%) of black rice bran powder.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흑미 미강 분말을 쿠키에 첨가하여 흑미 미강 쿠키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맛과 품질이 우수한 기능성 쿠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강이란 무엇인가? 미강은 우리나라 주요 식량자원인 벼를 도정하여 얻어지는 부산물로 배아, 호분층 및 과피를 포함하고 있다(1). 쌀에는 tocopherol, tocotrienol, γ-oryzanol, 피틴산 등의 항산화성분(2,3)과 식이섬유, γ-aminobutyric acid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미강층에 분포되어 있다(4,5).
쿠키 반죽의 밀도는 상품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반죽의 밀도 및 pH: 흑미 미강 쿠키 반죽의 밀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반죽의 밀도는 팽창 정도를 나타내고 완성된 쿠키의 향과 색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37,38), 밀도가 낮으면 쿠키가 딱딱하여 기호도가 감소하게 되며, 높을 경우 쉽게 부서지는 성질을 나타내어 상품성이 저하된다(24).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밀도가 1.
쌀에 들어있는 생리활성 성분은 무엇인가? 미강은 우리나라 주요 식량자원인 벼를 도정하여 얻어지는 부산물로 배아, 호분층 및 과피를 포함하고 있다(1). 쌀에는 tocopherol, tocotrienol, γ-oryzanol, 피틴산 등의 항산화성분(2,3)과 식이섬유, γ-aminobutyric acid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미강층에 분포되어 있다(4,5). 특수미라고 불리는 유색미 중 하나인 흑미는 본초강목에 음을 자양하고 신장을 보호하며 허리를 튼튼히 하고 간을 따뜻하게 하고 눈을 맑게 하며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Kim JH. 2006. The application of a pigmented rice-bran extract as a plan for maximizing the development of riceprocessed food.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3-6. 

  2. Muramoto G, Kawamura S. 1991. Rice protein and antihypertensive peptide from rice. Nippon Shokuhin Kougyo 34: 18-26. 

  3. Park KY, Kang CS, Cho YC, Lee YS, Lee YH, Lee YS. 2003. Genotypic difference in tocotrienol contents of rice bran. Korean J Crop Sci 48: 469-472. 

  4.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5. Nam SH, Cho SP, Kang MY, Koh HJ, Kozukue N, Friedman M.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bran extracts from twenty one black rice cultivars. Food Chem 94: 613-620. 

  6. Cho JA, Cho HJ. 2000. Quality properties of injulmi made with black rice. Korean J Soc Food Sci 16: 226-131. 

  7. Jung DS, Eun JB. 2003.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43. 

  8. Nam SH, Kang M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Agric Chem Biotechnol 40: 307-312. 

  9. Nam SH, Kang MY. 1998. Comparison of effect of rice bran 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Agric Chem Biotechnol 41: 78-83. 

  10. Kahkonen MP, Heinonen M.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antocyanins and their aglycons. J Agric Food Chem 51: 628-633. 

  11. Satue-Gracia MT, Heinonen M, Frankel EN. 1997. Anthocyanins as antioxidants 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and lecithin-liposome systems. J Agric Food Chem 45: 3362-3367. 

  12. Wang H, Cao G, Prior RL.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45: 304-309. 

  13. Cho MH, Paik YS, Yoon HH, Hahn TR. 1996. Chemical structure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gric Chem Biotechnol 39: 304-308. 

  14. Rye SN, Park SZ, Ho CT. 199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some varieties of black rice. J Food Drug Anal 6: 729-736. 

  15. Moon BK, Kim EA, Park MS, Lee DK, Lee MS, Choi B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J Hum Ecol 26: 21-28. 

  16. Mo EK, Kim SM, Yang SA, Jegal SA, Choi YS, Ly SY, Sung CK. 2010. Properties of baechu kimchi treated with black rice water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7: 50-57. 

  17. Cho MK, Kim MH, Kang MY. 2008. Effects of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with black rice bran pigmen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00-206. 

  18. Cho MK, Kim SH, Kang MY. 2008. Application of rice polishing by-products to processed rice food (1): antioxidative effect of black rice bran pigment fraction on rice embryo lipid oxid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361-367. 

  19. Bang BH, Kim KP, Kim MJ, Jeong E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 210-216. 

  20. Lee JA, Park GS, Ahn SH. 2002. Comparativ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arleys and oatmeal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38-246. 

  21.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Nutr 23: 446-452. 

  22.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23. Yang SM, Kim SH, Shin JH, Kang MJ,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paragus powder.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 67-74. 

  24. Moon YJ, Jang S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owder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 Nutr 24: 173-179. 

  25. Lee HJ, Pak HO, Jang JS, Kim SS, Han CK, Oh JB, Do WY.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ookies prepared with job's tears (Coix lachryma- jobi L.) chungkukjang powder and wheat bran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 85-93. 

  26.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1-7. 

  27.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10-50D. 

  28.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1993. Operator's manual, Manual number 154-02TP REV O June. Milford, MA, USA. 

  29.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30.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Food Sci Technol 40: 823-833. 

  31. Kim EO,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SW.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 118-124. 

  32. Choi HC, Hong HC, Nahm BH. 1997.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rain assdciated with palatability in japonica rice. Korean J Beed 29: 15-27. 

  33. Chung YA, Lee JK.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48-951. 

  34. Adom KK, Sorrells ME, Liu RH. 2005.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lled fractions of different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3: 2297-2306. 

  35. Seo SJ, Choi YM, Lee SM, Kim KJ, Son JB, Lee JS. 2007. Determination of selected antioxidant compounds in specialty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99-502. 

  36. Kang MY, Nam YJ, Nam SH. 2005.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33-239. 

  37. Park BH, Cho HS, Park SH.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92-102. 

  38.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er. J Korean Food Culture 21: 541-549. 

  39. Kim HY, Jeong SJ, Heo MY, Kim K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varied level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Technol 34: 637-641. 

  40. Kim HY, Kong HJ.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using citro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12-719. 

  41.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42. Jang KH, Kwak EJ, Kang WW. 2010.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Korean J Food Preserv 17: 631-636. 

  43. Finney KF, Morris VH, Yamazaki WT. 1950. Micro versus macro cookies baking procedures for evaluation the cookies quality of wheat varieties. Cereal Chem 27: 42-49. 

  44. Doescecher LC, Hoseney RC, Millken GA, Rubenthaler GI. 1987. Effect of sugar and flours on cookies spread evaluated by time-lapse photography. Cereal Chem 64: 163-167. 

  45. Chang KH, Byun GI, Park SH, Kang WW. 2008.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Preserv 15: 209-213. 

  46. Kim HY, Lee IS, Kang JY, Kim GY.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ous levels of functional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42-646. 

  47. Lee JH, Ko JC.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ies incorporated with strawberry powder. Food Eng Prog 13: 79-84. 

  48. Shin IY, Kim HI, Kim CS, Whang K. 1999.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with replacement of sucrose with sugar alcohols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ugar alcohol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50-857. 

  49. Lee SJ, Shin JH,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s with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48-10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