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 복분자인지능력 및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물추출물이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복분자 물추출물을 100 mg/kg body weight/day로 4주간 투여한 후 스코폴라민(1 mg/kg body weight)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한 후 수동회피시험수중미로시험을 실시하여 복분자물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수동회피실험에서 스코폴라민으로 기억력 감퇴를 유도한 경우 밝은 방에서의 체류시간이 현저히 짧아졌고 복분자 물추출물을 섭취한 군에서는 밝은 방에서의 체류 시간이 스코폴라민 투여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수중미로시험에서도 스코폴라민 투여군의 도피대를 찾아가는 탈출잠복기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고 복분자 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스코폴라민 군에 비해 탈출잠복기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뇌피질에서 기억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etylcholinesterase활성은 스코폴라민에 의해 증가하고, 복분자 물추출물에 의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복분자 물추출물이 항콜린제인 스코폴라민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감퇴를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보여주며, 이는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본 연구는 복분자 물추출물을 기억력 개선 또는 증강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RCM-Ex)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ale ICR mice. Mice were fed the diet containing 100 mg/kg body weight/day of RCM-Ex for 4 weeks. To induce amnesia, scopolamine (an antagonist of musc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의 기억력 감퇴 예방 및 개선제의 기능성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스코폴라민으로 기억력을 감퇴시킨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복분자 물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복분자의 열매인 복분자 딸기가 식용 및 한방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덜 익은 상태인 미숙과를 복분자로 부르며 혈액과 눈을 맑게 해주고 이뇨 및 강장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당뇨병, 성욕감퇴, 정액루, 유뇨증, 천식 및 알레르기 관련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9,10). 복분자의 잎과 줄기는 tannin 및 flavonoids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고(11-13) 미숙 복분자 딸기에는 gallic acid, 2,3-(S)-HHDP-D-glucopyranose, sanguin 등이 함유 되어 있음(14)이 보고되었다.
기억력 저하 개선 및 예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된 배경은 무엇인가? 급격한 발달에 따라 획득해야 할 정보의 양이 많은 현대사회에서는 학습량이 많은 청소년층 및 청장년층에서 기억력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노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고령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및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병에 의한 급격한 기억력 및 인지 능력 저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병에 이환된 환자에 있어 사회생활 가능 여부에 있어서 기억력 저하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지고 있다 (1). 이러한 이유로 기억력 저하 개선 및 예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였고,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억력이란 무엇인가? 기억력이란 주어진 정보를 받아들여 뇌 속에 저장했다가 필요한 때에 끄집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정보가 감각기관을 통하여 저장되는 감각기억, 현재의 정보들을 처리하는 짧은 기간 동안의 단기기억, 나중에 재생되도록 비교적 영구히 저장되는 장기기억으로 나눌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h SK. 2005. Neurotrasmetters and Brain Disease. Shinil Books company, Seoul, Korea. p 345-364. 

  2. Park CW. 1998. Brain: Structure of Learning and Mem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15-128. 

  3. Kasa P, Papp H, Kasa P Jr, Torok I. 2000. Donepezil dosedependently inhibits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various areas and in the presynaptic cholinergic and the post synaptic cholinoceptive enzyme-positive structures in the human and rat brain. Neuroscience 101: 89-100. 

  4. Kuhl DE, Koeppe RA, Minoshima S, Snyder SE, Ficaro EP, Foster NL, Frey KA, Kibourn MR. 1999. In vivo mapping od cerebral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2: 691-699. 

  5. Davies P, Maloney AJ. 1976.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ns in Alzhemer's disease. Lancet 2: 1457-1459. 

  6. Francis PT, Palmer AM, Snape M, Wilcock GK. 1999.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Alzhemer's disease: a review of progres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6: 137-147. 

  7. Bartus RT. 2000. 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models, and treatment strategies: lessons learned and lessons forgotten a generation following the cholinergic hypothesis. Exp Neurol 163: 495-529. 

  8. Ebert U, Kirch W. 1998. Scopolamine model of dementia: electroencephalogram findings and cognitive performance. Eur J Clin Invest 28: 944-949. 

  9. Cha HS, Lee MK, Hwang JB,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10. Dan B, Andrew G. 1993.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 medica. Eastland Press, Seattle, WA, USA. Vol 8, p 375-392. 

  11. Lee YA, Lee MW. 1995 Tannins from Rubus coreanum. Korean J Pharmacong 26: 27-30. 

  12. Lee MW. 1995. Pheno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Yakhak Hoeji 39: 200-204. 

  13. Kim MS, Pang GC, Lee MW. 1997.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Yakhak Hoiji 41: 1-6. 

  14. Pang GC, Kim MS, Lee MW.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Korean J Pharmacogn 27: 366-370. 

  15. Yoon I, Wee JH, Moon JH, Ahn TH, Park K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quercetin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9-502. 

  16. Choe M, Shin GJ, Choi GP, Do JH, Kim JD. 2003. Synergistic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red ginseng,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48-154. 

  17. Won KS, Lee TW, Eun JS, Song JM. 2003.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on the specific immune response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7: 656-661. 

  18. Yang HM, Lim YS, Lee TS, Shin HK, Oh YS, Kim JK. 2007.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42-347. 

  19. Kim EJ, Lee YJ, Shin HK, Park JH. 2005.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 aqueous extract of Rubus coreanum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Nutrition 21: 1141-1148. 

  20. Lee KK, Han JH, Oh CH. 2009.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on the apoptosis of U937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3: 1404-1408. 

  21. Jeon YH, Choi SW, Kim MR. 200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79-386. 

  22. Choi WH, Ahn JH, Kim S, Ha TY. 2009. Cherry tomatoes ameliorate scopolamine-induced amnesia in mice. J Food Sci Nutr 13: 281-285. 

  23. LeDoux JE. 1993. Emotional memory systems in the brain. Behav Brqain Res 58: 69-79. 

  24.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 

  25.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 Jr, Feather-stone R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26.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7. Kim JM, Kim DH, Park SJ, Jung JW, Ryu JH. 2010. Memory enhancing propertie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lack sesame and its ameliorating properties on memory impairments in mice. Kor J Pharmacogn 41: 196-203. 

  28. Park SJ, Park DS, Kim SS, He X, Ahn JH, Yoon WB, Lee HY. 2010. The effect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memory impairment of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1-1694. 

  29. Giacobini E. 1990. The cholinergic system in Alzhemer's disease. Prog Brain Res 84: 321-332. 

  30. Braida D, Paladini E, Griffini p, Lamperti M, Maggi A, Sala M. 1996. An invenrted U-sharped curve for heptylphysostigmine on radial maze performmance in rats: comparision with other cholinesterase inhibitors. Eur J Pharmacol 302: 13-20. 

  31. Dawson GR, Bentley G, Draper F, Rycroft W, Iveesen SD, Pagella PG. 1991. The behavioral effects of heptyl physostigmine: a new cholinesterase inhibitor, in tests of longterm and working memory in rodents. Pharmacol Biochem Behav 39: 865-8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