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섭취가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해 노화촉진마우스 (SAM)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8주령 SAMP8 마우스에 복분자 시료를 100 mg/kg body weight/day로 8주간 투여한 후 수동회피시험수중미로시험을 실시하여 기억력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수동회피시험에서 노화 촉진 동물(SAMP8)은 대조동물(SAMR1)에 비해 밝은 방에서 체류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복분자를 섭취한 노화 촉진 동물의 밝은 방에서의 체류 시간은 복분자를 섭취하지 않은 동물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수중미로실험에서 대조 동물에 비해 노화 촉진 동물의 평균 탈출잠복기는 길었고, 복분자를 섭취한 경우 평균 탈출잠복기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뇌의 대뇌피질과 해마 조직에서 대조군에 비해 노화 촉진 동물의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이 증가하였다. 복분자를 섭취한 노화 촉진 동물의 해마 조직 내 acetylcholinesterase는 복분자를 섭취하지 않은 동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은 복분자가 노화촉진마우스에서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콜린성 신경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etylcholinesterase 활성 감소를 통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하나, 본 연구는 복분자가 노인의 기억력 개선제 개발에 좋은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uel (RCM) on memory ability of senescence-accelerated mice (SAM). Prone 8 strains of SAM mice (SAMP8), which is a useful animal for investigating the mechanism of brain aging and senile dementia, were fed a diet containing 100 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AMP8 마우스에서 알로에(34), 영지 메탄올추출물(35), 토마토의 라이코펜(36) 및 이소플라본 아글리콘(37)이 기억력이 증진됨을 관찰하여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복분자를 섭취한 SAMP8 마우스의 기억력이 유의적으로 증진되었음을 관찰하였고 이는 복분자가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Choi 등(22)은 스코폴라민으로 유도한 단기기억력 감퇴 동물모델에서 복분자 물추출물이 기억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이 결과들은 복분자가 기억력 개선제 개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노화촉진마우스모델을 이용하여 복분자가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섭취가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에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해 노화촉진마우스 (SAM)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8주령 SAMP8 마우스에 복분자 시료를 100mg/kg body weight/day로 8주간 투여한 후 수동회피시험과 수중미로시험을 실시하여 기억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세틸콜린이란? 또한 신경말단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을 유리하는 콜린성 기능(cholinergic function)이 노화에 따라 감소하여 기억력 감퇴를 초래한다(6,7). 아세틸콜린은 뇌세포의 시냅스와 시냅스 사이의 신경전달을 하는 신경전달 물질로, choline acetyltransferase에 의해서 acetylCoA와 choline으로부터 합성되고, acetylcholinesterase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그 농도가 적정 수준으로 조절된다. Choline acetyltransferase의 활성 저하되거나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이 증가하면 아세틸콜린의 농도가 감소하여 기억력이 감퇴된다.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기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까지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기전에 대해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으나 다양한 과정을 통해 노화에 의해 기억력이 감퇴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뇌는 산소의 소비가 많으므로 노화됨에 따라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축적되어 뇌세 포에 산화적 손상을 야기하여 기억력 감퇴를 초래한다(2,3). 노화에 따라 신경세포 수상돌기(dendrite)의 수와 밀도가 감소하여 신경망이 소실되어 기억력이 감퇴하거나 신경세포의 지속적인 사멸로 기억력 감퇴를 초래하게 된다(4,5). 또한 신경말단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을 유리하는 콜린성 기능(cholinergic function)이 노화에 따라 감소하여 기억력 감퇴를 초래한다(6,7). 아세틸콜린은 뇌세포의 시냅스와 시냅스 사이의 신경전달을 하는 신경전달 물질로, choline acetyltransferase에 의해서 acetylCoA와 choline으로부터 합성되고, acetylcholinesterase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그 농도가 적정 수준으로 조절된다. Choline acetyltransferase의 활성 저하되거나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이 증가하면 아세틸콜린의 농도가 감소하여 기억력이 감퇴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특히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이 증가하여 아세틸콜린의 분해가 촉진되어 농도가 감소하여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를 초래한다(8,9). 
복분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은? 복분자는 예로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한방에서는 덜 익은 상태인 미숙과를 건조하여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13). 복분자는 탄닌, 페놀성분, 안토시아닌, 트리터펜 배당체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14-16), 항산화 활성(17), 면역 활성(18), 항염증 활성(19) 및 항암효과(20,21)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최근 Choi 등(22)은 스코폴라민으로 기억력을 감퇴한 동물에서 미숙 복분자물추출물 이 동물의 기억력을 개선함을 보고하였고, 현재까지 노화촉진마우스를 이용하여 복분자가 인지능력 및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h SK. 2005. Neurotransmetters and Brain Disease. Shinil Books company, Seoul, Korea. p 345-364. 

  2. Coyle JT, Puttfarcken P. 1993. 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689-695. 

  3. Mecocci P, MacGarvery U, Kaufman AE, Koontz D, Shoffner JM, Wallace DC, Beal MF. 1993. Oxidative damage to mitochondrial DNA shows marked age-dependent increases in human brain. Ann Neurol 34: 609-616. 

  4. Hof PR, Morrison JH. 2004. The aging brain: morphomolecular senescence of cortical circuits. Trends Neurosci 27: 607-613. 

  5. Tang Y, Janssen WG, Hao J, Rpberts JA, McKay H, Lasley B, Allen PB, Greenard P, Rapp PR, Kordower JH, Hof PR, Morrison JH. 2004. Estrogen replacement increases spinophilin- immunoreactive spine numbers in the prefrontal cortex of female rhesus monkeys. Cereb Cortex 14: 215-223. 

  6. Gorini A, Ghingini B, Villa RF. 1996.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synaptic plasma membranes during aging: effect of L-acetylcarnitine. Dementia 7: 147-154. 

  7. Terry AV Jr, Buccafusco JJ. 2003.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age and Alzheimer's disease-related cognitive deficits: recent challeng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novel drug development. J Pharmacol Exp Ther 306: 821-827. 

  8. Kuhl DE, Koeppe RA, Minoshima S, Snyder SE, Ficaro EP, Foster NL, Frey KA, Kibourn MR. 1999. In vivo mapping of cerebral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2: 691-699. 

  9. Kasa P, Papp H, Kasa P Jr, Torok I. 2000. Donepezil dosedependently inhibits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various areas and in the presynaptic cholinergic and the postsynaptic cholinoceptive enzyme-positive structures in the human and rat brain. Neuroscience 101: 89-100. 

  10. Dawson GR, Iversen SD. 1993. The effects of novel cholinesterase inhibitors and selective muscarinic receptor agonists in tests of reference and working memory. Behav Brain Res 57: 143-153. 

  11. Dennes RP, Barnes JC. 1993. Attenuation of scopolamineinduced spatial memory deficits in the rat by cholinomimetic and non-cholinomimetic drugs using a novel task in the 12-arm radial maze. Psychopharmacology (Berl) 111: 435-441. 

  12. Perry E, Howes MJ. 2011. Medicinal plants and dementia therapy: herbal hopes for brain aging? CNS Neurosci Ther 17: 683-698. 

  13.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14. Kim KH, Lee YA, Kim JS, Lee DI, Choi YW, Kim HH, Lee MW.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m. Yakhak Hoeji 44: 354-357. 

  15. Lee JW, Do YH.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of Rubus coreanum and antioxidan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3-947. 

  16. Kim E, Kim YC. 1987. A triterpene glycoside in berries of Rubus coreanus. Kor J Pharmacogn 18: 188-190. 

  17. Choe M, Shin GJ, Choi GP, Do JH, Kim JD. 2003. Synergistic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red ginseng,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48-154. 

  18. Won KS, Lee TW, Eun JS, Song JM. 2003.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on the specific immune response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7: 656-661. 

  19. Yang HM, Lim YS, Lee YS, Shin HK, Oh YS, Kim JK. 2007. Comparisi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42-347. 

  20. Kim EJ, Lee YJ, Shin HK, Park JH. 2005.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 aqueous extract of Rubus coreanum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Nutrition 21: 1141-1148. 

  21. Jeon YH, Choi SW, Kim MR. 200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79-386. 

  22. Choi MR, Lee MY, Hong JE, Lee JY, Chun JW, Kim TH, Shin HK, Kim EJ. 2012. The aqueous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improves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ICR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92-196. 

  23. Takeda T, Hosokawa M, Takeshita S, Irino M, Higuchi K, Matsushita T, Tomite Y, Yasuhira K, Hamamoto H, Shimizu K, Ishii M, Yamamuro T. 1981. A new murine model of accelerated senescence. Mech Ageing Dev 17: 183-194. 

  24. Takeshita S, Hosokawa M, Irino M, Higuchi K, Shimizu K, Yasuhira K, Takeda T. 1982. Spontaneous age-associated amyloidosis in senescence-accelerated mouse (SAM). Mech Ageing Dev 20: 13-23. 

  25. Ohta A, Hirano T, Yagi H, Tanaka S, Hosokawa M, Takeda T. 1989.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8 strain in Sidman active avoidance task. Brain Res 498: 195-198. 

  26. Yagi H, Katoh S, Akiguchi I, Takeda T. 1988. Age-related deterioration of ability of acquisition in memory and learning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SAM-P/8 as an animal model of disturbances in recent memory. Brain Res 474: 86-93. 

  27.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 

  28.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 Jr, Feather-stone R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29.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30. Kim JM, Kim DH, Park SJ, Jung JW, Ryu JH. 2010. Memory enhancing propertie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lack sesame and its ameliorating properties on memory impairments in mice. Kor J Pharmacogn 41: 196-203. 

  31. Park SJ, Park DS, Kim SS, He X, Ahn JH, Yoon WB, Lee HY. 2010. The effect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memory impairment of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1-1694. 

  32. Lee HM, Park EJ, Jeon IS, Kang YS, Jin DI, Chung HJ. 2010. Effect of maca supplementation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of mice. Korean J Food & Nutr 23: 485-491. 

  33. Um MY, Choi WH, An JY, Kim SR, Ha TY. 2004. Effect of defatted sesame and perilla methanol extracts on congnitive fun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AMP8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37-642. 

  34. Choi JH, Kim DW, Kim JI, Han SS, Shim CS. 1996. Effect of aloe on lea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dementia animal model SAMP8 strain III. Feeding effect of aloe on neurotransmitters and their metabolites in SAMP8. Korean J Life Sci 6: 142-148. 

  35. Yoo JK, Choi SJ, Kang JK, Han SS. 1999.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on memory and oxidative stress of senescence-accelerated mouse. Korean J Life Sci 9: 548-555. 

  36. Suganuma H, Hirano T, Kaburagi S, Hayakawa K, Inakuma T. 2004. Ameliorative effects of dietary carotenoids on memory deficits in senescence-accelerated mice (SAMP8). Int Congr Series 1260: 129-135. 

  37. Yang H, Jin G, Ren D, Luo S, Zhou T. 2011. Mechanism of isoflavone aglycone's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of senescence-accelerated mice. Brain Cogn 76: 206-210. 

  38. Kang SY, Lee KY, Koo KA, Yoon JS, Lim SW, Kim YC, Sung SH. 2005. EPS-102, a standardized combined extract of Angelica gigas, Saururus chinensis and Schizandra chinensis, significantly improved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Life Sci 76: 1691-1705. 

  39. Wang R, Yan H, Tang XC. 2006. Progress in studies of huperzine A, a natural 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Acta Pharmacol Sin 27: 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