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대상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of Children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213 - 220  

김정미 (대구과학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 ,  이난희 (대구과학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구광역시 소재 4개의 교육청별 관할 46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 8,370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학년 3,932명, 5학년 4,438명으로 교육청별로는 A 교육청 3,268명, B 교육청 2,890명, C 교육청 1,672명, D 교육청 5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교육 장소는 방송실에서 교육한 학교가 31개교였고 교육 받은 학생 수는 6,925명(82.7%)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 장소 간에 교육 받은 학생 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교육시간도 1교시 전에 교육 받은 학생수가 2,586명(30.9%)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 시간에 따른 교육 받은 학생 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어린이들의 간식 섭취이유는 고열량 저영양 식품(p<0.01), 부정 불량식품(p<0.001), 어린이 정서저해식품(p<0.001) 모두 '맛있어서'가 가장 높았으며, 항목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내용 인지도에 대한 교육 전후 비교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과 관련된 6개의 항목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Green Food Zone),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표시, 고열량 저영양 식품, 부정 불량식품, 어린이 정서저해식품 등을 '알고 있느냐'의 질문으로 6개 항목 모두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 유의한 수준으로 인지도가 증가하였다(p<0.001). 고열량 저영양 식품, 부정 불량식품, 정서저해식품의 섭취이유에 대한 항목 중 '맛있어서'는 고열량 저영양 식품이 81.6%로 가장 높게 대답하였으며, '호기심에서'는 어린이 정서저해식품이 28.0%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가격이 저렴해서'는 부정 불량식품이 27.1%로 가장 많이 답하였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의 필요성'은 교육 전 '있다' 92.4%, 교육 후 93.6%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교육 전후 손씻기에 대한 비교는 '씻는다'가 교육 전 60.7%에서 교육 후 62.9%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현재 초등학교에 영양교사가 근무하고 있기는 하나, 학교 사정에 따라 영양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일부 학교에서는 정규 시간이 아닌 재량활동시간, 수업 전시간 등을 활용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번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이 비록 1회이지만 가능한 많은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대구지역의 일부 학교가 아닌 4개 교육청 관할 학교 4, 5학년 남녀 학생을 고른 분포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로 볼 때 1회 교육으로 인지도는 향상되었으나, 실천율 변화는 미흡하였으므로 향후 관련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이들이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Korea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th and proper dietary habits. A children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effects evaluated on 4th and 5th graders (3,932 students for 4th year, 4,438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사업은 성장발육이 왕성한 초등학교 4·5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영양성분표시,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부정·불량식품, 올바른 손씻기(식중독 예방)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을 실시하여 어린이들의 식생활 인지도 및 실천 수준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의 평가 지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59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국가 식생활 안전관리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식생활안전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함으로써 어린이 식생활 환경 개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킬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란 지자체별 어린이 식생활안전과 영양 수준 및 환경개선 정도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서 평가지표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 어린이 식생활 영양, 어린이 식생활 인지․실천 수준의 세 가지 정책 지표와 그 하위의 20가지 세부지표로 구성되어있다(10). 이미 여러 문헌에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관련 법적 문제점(11)이나 어린이 식품안전 보호구역 및 품질 인증제도 연구(12), 어린이의 식생활 인지․실천 수준 평가지표 구성타당도 평가 및 산정방법 연구(13)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교육 및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6~11세의 영양 섭취 양상은 어떠한가? 7%) 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또한 에너지, 칼슘, 칼륨 및 철의 섭취량이 영양섭취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반면, 나트륨, 단백질, 인 등 일부 영양소의 섭취에서는 영양섭취기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에너지의 필요추정량 125%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15.4%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부적절한 영양섭취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1).
어린이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은 무엇인가? 2008년 3월에 제정되었으며, 2009년 8월부터 시행된「어린이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은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이 유통․판매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식품과 단체급식의 안전과 영양 수준을 보다 철저히 관리하며,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갖도록 함으로써 건강저해 식품이나 식중독, 비만 등으로부터 어린이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 법안이다.「어린이식생활 안전 관리 특별법」에 의해 추진되는 사항으로는 어린이의 식품선택 시 영양보다는 맛에 좌우되는 콜라, 사이다 등 탄산음료 판매금지에 이어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구매를 차단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건강식품 제공으로 나쁜 식습관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Report 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 132, p 135, p 259. 

  2. Shin EK, Kim K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3.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 403-416. 

  4. Park J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9: 716-724. 

  5. Lee JE, Jung I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17: 79-93. 

  6. Hyu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2: 168-177. 

  7.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nunity Nutr 14: 266-276. 

  8. Kim YH. 2009. Americ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Prac Arts Educ 22: 213-234. 

  9. KFDA Press Release. 2011.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seq14608&cmdv 

  10. Kang MH. 2009.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safety index for children's dietary life. KFDA report. 

  11. Yi SJ. 2009. A study on the contents and legal problems of the children food preference management system under the 'Special Act on Children Eating habit Safety Management '. Korean Comparative Public Law Assoc 10: 327-350. 

  12. Cho SD, Kim SY, Lee EJ, Park HK, Kim MC, Kim GH. 2008. Green food zone for children and suggesting a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Safe Food 3: 5-12. 

  13. Kwon S, Kim HYP, Lee JS, Kwak TK, Chung HR, Choi YS, Kang MH. 2011. Statistical approach to test construct validity and obtain weights for the children's dietary life recognition and practice index. Korean J Nutr 44: 41-48. 

  14. Belfry MJ, Winne PH. 1998.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nursing education. Comput Nurs 6: 77-85. 

  15. Panter J, Kee YK. 2002.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written diagrams to multi-media computer videos in hospitality education. J Hospit Tour Educ 14: 20-22. 

  16.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 50-60. 

  17. Lee YM, Kee MJ, Kim SY. 2005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 331-340.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The Seoul food safety news-The survey about children's favorite food consumption behavior. p 18-19. 

  19.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 86-96. 

  20. Chin JH, Lee KJ, Lee YH. 2002.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on food behavior of unbalanced diet children-An investigation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12: 7-14. 

  21. Chang SO, Lee OH,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4: 166-175. 

  22. Lee OK,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27-1434. 

  23.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 513-521. 

  24. Gim YA.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 with educated group and non-educated group as the center -.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