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9 no.1, 2012년, pp.36 - 42
김정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현홍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영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장기택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한세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아종은 유치나 영구치배의 지속적인 치배 형성이나 법랑기 세포들의 비정상적인 증식의 결과로 발생하는 방사선 불투과성 병소로, 비교적 흔한 치원성 종양이며 인접한 치아의 맹출을 방해 할 수 있다. 치아종은 영구치열기에서 주로 관찰되고, 유치열기에서는 매우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치아종에 의해 매복된 유치가 치아종의 외과적 발거 후 자연 맹출된 증례들을 보고하고자 한다. 매복유치는 계승 영구치의 발육과 맹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아종이 제거된 후에도 계승 영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장기적인 검사 및 관찰이 필요하다.
Odontomas generally appear as small, solitary, or multiple radio-opaque lesions found on routine radiographic examinations. It is a comparatively common odontogenic tumor, and may lead to interfere with the eruption of its associated tooth. In general, odontomas occur more often in permanent dentit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Neville BW, Damm DD, Allen CM, et al. :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nd edn. Saunders, Missouri, USA, 631-632, 2002.
Sheehy EC, Odell EW, Al-Jaddir G : Odontomas in the primary dentition. J Dent Child, 71:73-76, 2004.
Hisatomi M, Asaumi J-I, Konouchi H, et al. : A case of complex odontoma associated with an impacted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and analysis of the 107 odontomas. Oral Dis, 8:100-105, 2002.
Kramar IRH, Pindborg JJ, Shear M :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umors - Histological Typing of Odontogenic Tumours, 2nd edn.,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11-42, 1992.
Stajcic ZZ : Odontoma associated with a primary tooth. J Pedod, 12:415-420, 1988.
Owens BM, Schuman NJ, Mincer HH, et al. : Dental odont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104 cases. J Clin Pediatr Dent, 21:261-264, 1997.
Katz RW : An analysis of compound and complex odontomas. J Dent Child, 56:445-449, 1989.
Regezi JA, Kerr DA, Courtney R : Odontogenic tumors: analysis of 706 cases. J Oral Surg, 36:771- 778, 1978.
Kaugars GE, Miller ME, Abbey LM : Odontoma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7:172-176, 1989.
de Oliveira BH, Campos V, Marcal S : Compound odontoma-diagnosis and treatment: three case reports. Pediatr Dent, 23:151-157, 2001.
Noonan RG : A compound odontoma associated with a deciduous too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32:740-742, 1971.
Andreasen JO, Petersen JK, Laskin DM : Textbook and Color Atlas of Tooth Impactions. Mosby, Missouri, USA, 23-26, 1997.
Motokawa W, Braham RL, Morris ME, et al. :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alignment of an unerupted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and a dentigerous cyst: a case report. Quintessence Int, 21:159-162, 1990.
Brunetto AR, Turley PK, Brunetto AP, et al. : Impaction of primary maxillary canine by an odontoma: surgical and orthodontic management. Pediatr Dent, 13:301-302, 1991.
Haishima K, Haishima H, Yamada Y, et al. : Compound odontomes associated with impacted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report of two cases. Int J Paediatr Dent, 4:251-256, 1994.
Kilpatrick NM, Hardman PJ, Welbury RR : Dilaceration of a primary tooth. Int J Paediatr Dent, 1:151-153, 1991.
Yassin OM : Delayed eruption of maxillary primary cuspid associated with compound odontoma. J Clin Pediatr Dent, 23:147-149, 1999.
Tandon S, Radhika M : Compound composite odontoma in primary dentition - a case report.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16:111-114, 1998.
Otsuka Y, Mitomi T, Tomizawa M, et al. : A review of clinical features in 13 cases in impacted primary teeth. Int J Paediatr Dent, 11:57-63, 2001.
Teruhisa U, Murakami J, Hisatomi M, et al. : A case of unerupted lower primary second molar associated with compound odontoma. Open Dent J, 3: 173-176, 2009.
Yeung KH, Cheung RC, Tsang MM: Compound odontoma associated with an unerup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in a young patient. Int J Paediatr Dent, 13:208-212, 2003.
Han YB, Kim SO, Lee JH, et al. :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 84-88, 2009.
Ryu JR, Kim YJ, Kim HJ, et al. : Eruption disturbance associated with a developing odontom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505-511, 201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