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Coping Styl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1, 2012년, pp.79 - 88  

양연숙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권정임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test their anxiety coping style in terms of their test anxie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193 sixth-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의 특성을 살펴보고, 시험불안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증진시켜야 하며,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밝혔다.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시험불안 대처방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을 경감시키고, 시험불안 대처방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되는 두 개의 주요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이 상호작용을 했을 때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선행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는 성차를 고려하여 남녀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이해하고, 시험불안에 미치는 시험불안 대처방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성별로 분석함으로써 남녀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에 이에 대한 교육적 중재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시험불안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에 따라 학업 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나타나거나(Lee & Lee, 2002), 자율성이 높은 학생이라도 소극적인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시험불안이 높아진다는 연구(Ahn, 2006)등으로 매우 제한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되는 두 개의 주요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대처방식이 상호작용을 했을 때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선행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는 성차를 고려하여 남녀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이해하고, 시험불안에 미치는 시험불안 대처방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성별로 분석함으로써 남녀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에 이에 대한 교육적 중재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험상황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시험불안의 두 가지 요인은 무엇인가? 시험불안이란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평가 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 경향성으로, 시험을 앞둔 학생들을 괴롭히는 불쾌한 감정 상태를 말하며(Spielberger, 1966), 시험불안은 평가가 이루어지는 바로 그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험이 예상되는 순간부터 시험이 끝난 후까지도 계속되는 심리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Yum & Park, 2005). 시험불안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는데(Sarason, 1988), 개인의 수행에 관한 인지적 고민과 관련된 걱정(worry)요인과, 시험 장면에 임할 때마다 압박감에 대한 자동적인 신체적 반응으로 규정되는 정서성(emotionality)요인이 그것이다(Choe & Park, 1991). 이 두 요인은 시험상황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나며, 시험결과에도 다른 영향을 미친다(Liebert & Morris, 1967).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와 입시 위주의 교육현실에서는 시험이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가? 학벌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와 입시 위주의 교육현실에서는 시험이 평가 본래의 목적보다는 점수에 따라 학생들을 서열화하고 장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잣대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시험에서의 실패를 인생의 실패로 받아들이며, 시험에 대해 지나친 걱정과 두려움, 학업에 대한 부담감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Bae, 2005; Kim, 2009; Kim & Lee, 2000; Park & Im, 2010).
시험불안이란 무엇인가? 시험은 다양한 학업 평가 중에서도 학생 능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Lee, 2008), 시험으로부터 야기되는 시험불안은 교육적, 사회적,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Kim, 2009). 시험불안이란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평가 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 경향성으로, 시험을 앞둔 학생들을 괴롭히는 불쾌한 감정 상태를 말하며(Spielberger, 1966), 시험불안은 평가가 이루어지는 바로 그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험이 예상되는 순간부터 시험이 끝난 후까지도 계속되는 심리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Yum & Park, 2005). 시험불안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는데(Sarason, 1988), 개인의 수행에 관한 인지적 고민과 관련된 걱정(worry)요인과, 시험 장면에 임할 때마다 압박감에 대한 자동적인 신체적 반응으로 규정되는 정서성(emotionality)요인이 그것이다(Choe & Park,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H-J. (2006). Interaction effects on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by the academic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2. Bae, J-H. (2005). The Relationships among Attributional Styl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Levels of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Korea. 

  3. Bandura, A., Cioffi, D., Taylor, C., & Brouillard, M. D. (1988). Psychiatric correlations of behavioral inhibition in young children of parents with and without psychiatric disorders. Arch Gen Psychiatry, 47, 21-26. 

  4.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5. Choe, J-S., & Park, Y-H. (1991). The nature and reduction theories of test anxiety. Research Review, 19, 5-28, Student Guidance Center Dong-A University. 

  6. Choe, M-H. (2004).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cademic selfconcept, and test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7. Chu, G-H. (2007).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how coping with test anxiety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Technology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buk, Korea. 

  8. Government Youth Commission. (2006). Youth hundreds paper 2006. Seoul: Government Youth Commission. 

  9. Hembree, R. (1988). Correlates, causes, effects, and treatment of test anxiet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 47-77. 

  10. Im, Y-W. (1994). Study on anxiety, coping and school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examination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1. Jang, H-J., & Ha, E-H. (2008).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of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3), 251-267. 

  12. Jeong, J-H., Chung, H-H., & Lee, G-S. (2009). Effect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est anxiety: Perfectionism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77-393. 

  13. Jo, S-C., Jeong, Y., Hong, K-E., Shin, M-S., & Sung, Y-H. (2001).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depression,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2(2), 225-236. 

  14. Jo, Y-E. (2006). Research related to test anxiety,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cademic self-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nam, Korea. 

  15. Jo, Y-M. (2003). An effect of teenagers' perfectionistic tendency and self-efficacy on the test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16. Kang, B-S. (2000). The difference of control and coping in test on trait test-anxiety and test-te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A-Y., & Park, I-Y.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8. Kim, E-J., & Yang, Y-S.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est anxiet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fficacy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Journal of gifted and gifted education, 10(1), 123-142. 

  19. Kim, H-H.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by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Korea. 

  20. Kim, H-J. (2011). A study on the property of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influencing the test anxie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2), 47-65. 

  21. Kim, H-S. (2004).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est anxiety, cop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22. Kim, I-R. (2003).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self-concept, and the test anxie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3. Kim, J-H., & Lee, K-S. (2000). The effects of stud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on the reduction of study stres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43-59. 

  24. Kim, M-J. (1990). The test anxiety and effects on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4(1), 91-110. 

  25. Korea Statistics. (2008). Youth statistical 2008. Seoul: Statistics. 

  2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27. Lee, C-H., Kim, J-G., & Lee, H-W. (2008). Future social change prospects on school students conscious structure comparison.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8. Lee, E-Y. (2008). The Effects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BSR and the REBT on the reduction of test-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9. Lee, H-R. (2011).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30. Lee, J-C. (2007). Relationships of types of learning Ssyle,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 analysis based on school level. Unpublished docto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Kangju, Korea. 

  31. Lee, J-H., & Lee, S-M. (2002). Test anxiety relates and depres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16(3), 181-196. 

  32. Lee, Y-J. (1994). Testing main effects in interactive multiple regression. Korean management review, 23(4), 183-210. 

  33. Liebert, R. M., & Morris, L. W. (1967).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est anxiety : Adistinction Some initial data. Psychological Bulletin. 29. 975-978. 

  34. Noh, J-E. (1994).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larly self-concept on examination uneasiness to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35. Noh, J-L. (2006). Relationship of parent the achievement pressure and test anxiety: the parameters of perfectionis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erfectionis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erfectionist and academic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Korea. 

  36. Noh, W-K. (200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7. Park, B-G., & Im, S-I. (2010). A meta-Analysis of test anxiety with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24(4), 875-894. 

  38. Park, H-J. (2005). How perfectionism relates to test anxiety: Testing a mediation model of academic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Chonnam, Korea. 

  39.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40. Sarason, I. G. (1988). Anxiety, self-preoccupation, and attention. Anxiety Research, 1, 3-7. 

  41. Seipp, B., & Spielberger, C. (1996). Cross-cultural anxiety research: Areview, In C. Schwarzer & M. Zeidner(Eds.), Stress, anxiety, and coping in academic setting, Tubingen, Germany: Francke-Verlag. 

  42. Shin, M-S., Jo, S-T., & Yu, T-I. (2001).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st anxiety, psychopathology, temperament & family environment.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0(1), 50-63. 

  43. Spielberger, C. D. (1966). Anxiety and behavior. N.Y.:New York Academic Press. 

  44. Spielberger, C. D. (1980). Test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Palo Alto: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5. Spielberger, C. D., Gonzalez, H. P., Taylor, C. L., Algaze, B., & Anton, W. D. (1978). Examination stress and test anxiety. In C. D. Spielberger & I. G. Sarason (Eds.), Stress and anxiety, 5, 167-191. 

  46. Yum, S-C., & Park, H-J. (2005). How perfectionism relates to test anxiety: Testing a mediation model of academic self-efficacy in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Psychology, 2(1), 19-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