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의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One Year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urn-Taking and Vocabulary Development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2, 2012년, pp.75 - 84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의향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 ,  이유진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urn-taking and vocabulary development during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46 infants who participated in both of the 1st and the 2nd tests. The infants' turn-taking frequencies were ob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보조연구자인 대학원생 1명에게 검사의 특성,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 및 실시상의 유의점을 먼저 설명해준 후, 연구대상이 아닌 30개월된 영아 1명에게 언어발달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연구자는검사 전 과정을 일방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검사종료 후 보조연구자가 본 연구자에게 추가질문을 하고 답해줌으로써 검사 실시방법과 내용에 대해 확실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13~24개월 시기의 영아의 초기 대화적 기술인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단기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간 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를 알아보고, 차례 맡기 수준에 따른 어휘발달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영아기 차례 맡기와 언어발달 간 관계를 본 연구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언어발달 단계에서 나타난 차례 맡기와 언어발달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아에는 언어능력이 미분화된 상태이고, 어휘가 언어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정표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을 어휘발달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13~24개월 시기 영아의 차례 맡기 수준과 T1, T2의 어휘발달 간 관계를 단기 종단적 연구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별로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언어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영아의 차례 맡기 수준에 따른 어휘발달 간의 관계를 단기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과 화용론과 기타 영역 간 상호영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영아의 어휘발달에 있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영아의 대화적 차례 맡기의 상호 관련성의 변화 추이를 이해함으로써 영아의 언어 발달 변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조기 중재 시기를 유추하도록 돕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13~24개월 시기의 영아의 초기 대화적 기술인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단기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간 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를 알아보고, 차례 맡기 수준에 따른 어휘발달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 교사, 그리고 영아와 관련된 분야에서 종사하는 이들에게 영아의 초기 영아의 차례 맡기와 어휘발달 간 관계에 대한 이해하도록 돕고, 영아의 어휘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영아의 차례 맡기 특성을 이해할 뿐 아니라 언어지체여부를 조기 진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그러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언어발달 단계에서 나타난 차례 맡기와 언어발달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아에는 언어능력이 미분화된 상태이고, 어휘가 언어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정표라고 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을 어휘발달로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 영아의 차례 맡기 수준과 어휘발달은 월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3. 영아의 차례 맡기 수준에 따른 T1, T2의 어휘발달에는 차이는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기는 언어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영아기는 언어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Hoff, 2007)로 언어의 출현으로 인해 비언어적 의사소통자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자로서의 전환이 이루어지며(Lee, 2006), 어휘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어휘발달은 초기 구어발달뿐 아니라 문해발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지며, 이후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신뢰할만한 이정표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Lee, 2009).
만 2세 영아는 어떤 식의 대화 패턴을 보이는가? 그러나 이 시기가 끝날 무렵이 되면 영아는 한 번에 한 명씩 차례를 주고받는다는 규칙을 깨닫고 이를 따르게 된다(Bloom, Rocissano, & Hood, 1976). 만 2세 영아는 대화 상대방에게 음성적 언어로 어느정도 반응할 수 있으며 두 번 정도의 차례를 주고받을 수 있으나 그 이상 계속되는 대화에는 더 이상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다. 이 시기에는 대화 상대방을 이해시키기 위한 말을 하기보다 자신의 의사표현을 하는 정도이다(Lee, 1994).
영아기 때의 어휘발달은 왜 중요하게 여겨지는가? 영아기는 언어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Hoff, 2007)로 언어의 출현으로 인해 비언어적 의사소통자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자로서의 전환이 이루어지며(Lee, 2006), 어휘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어휘발달은 초기 구어발달뿐 아니라 문해발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지며, 이후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신뢰할만한 이정표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Lee, 2009). 이에 국내에서도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tes, E., Bretherton, I., & Snyder, L. (1988). From first words to gramma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Bloom, L., Margulis, C., Tinker, E., & Fujita, N. (1996). Early Conversations and word vocalizations. Journal of Child Language, 15, 469-480. 

  3. Bloom, L., Rocissano, L., & Hood, L. (1976). Adultchild discourse: Developmental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processing and linguistic knowledge. Cognitive Psychology, 8, 521-552. 

  4. Cappella, J. N. (1979). Talk and silence sequences in informal conversation I.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6, 3-17. 

  5. Cappella, J. N., & Planalp, S. (1981). Talk and silence sequences in informal conversation III: Interspeaker influ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7, 117-132. 

  6. Chang-Song, Y-K. (2004). Early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8-17 months. Korean Journal Psychology, 23(1), 77-99. 

  7. Chang-Song, Y-K., Lee, K-Y., Kwak, K-J., & Sung, H-R. (2003).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227-241. 

  8. Cherry, L., & Lewis, M. (1976). Mothers and twoyear-olds: A study of sex-differentiated aspects of verbal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2, 278-282. 

  9. Choi, Y-M. (2003). An analysis of turn-taking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10. Craig, H. K., & Evans, J. N. (1989). Tur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SLI children's simultaneous and nonsimultaneous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4, 334-347. 

  11. Fujiki, M., Brinton, B., & Todd, C. (1996).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7, 195-202. 

  12. Gogate, L. J., Bahrick, L. E., & Watson, J. D. (2000). A study of multimodal motherese: The role of temporal synchrony between verbal labels and gestures. Child Development, 71, 878-894. 

  13. Hadley, P. A., & Rice, M. L. (1991). Conversational responsiveness of speech and languageimpaired preschool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4, 1308-1317. 

  14. Hoff, E. (2007). Language development. (H-J. Lee, Y-S. Park, & H-R. Kim,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5.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 418-433. 

  16. Hoff-Ginsberg, E. (1998). The relation of birth order and socioeconomic status to children's language experi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Applied Psycholinguistics, 19, 603-630. 

  17. Im, Y-S. (2002). Korean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and mothers' verbal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Jeon, B-U. (1994). A study on the pragmatic competence by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9. Jo, S-S. (2002).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agmatic characteristics at the early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0. Kang, E-J., & Park, H-K. (2007). Analysis of research on infants and toddlers'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2), 139-161. 

  21. Kim, K-J. (2000). The toddler-mother interaction types and toddler language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Y-T., Sung, T-J., & Lee, Y-K. (2003). Preschool Per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3. Lee, H-J. (2001). Turn-taking characteristics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S-B. (1994).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for children. Seoul: Jungmin Publishing Co. 

  25. Lee, Y-J. (2006). The relationship among infants' communication aged 10 to 24 months, mothers' communication, and mother-infant interactive respons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Y-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ommunicative skills and vocabulary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early communicative skill on the vocabulary development for toddl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143-165. 

  27. Morales, M., Mundy, P., Delgado, C., Yale, M., Messinger, D., Neal, R., et al. (2000).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across the 6-through 24-month age period and early language acquisi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 283-198. 

  28. Nam, H-J. (2004). Turn-taking characteristics of down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9. Owens, R. E. (2005).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S-B. Lee, & H-R. Lee,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30. Prizant, B. M. (1983). Language acquisition and communicative behavior in autism: Toward and understanding of the "whole" of i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8, 296-307. 

  31. Rosental, M. K. (1982). Vocal dialogues in the neonatal period. Developmental Psychology, 18, 17-21. 

  32. Sacks, H., Schegloff, E., & Jefferson, G. (1974). A simplest systematics for the organization of turn-taking for conversation. Language, 50, 96-735. 

  33. Snow, C. E. (1999). Social perspectives on the emergence of language. In B. MacWhinney (Ed.), The emergence of language(pp. 257-276). Mahwah, NJ: Erlbaum. 

  34. Sung, J-H. (2000). The language and the play of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5.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01). Millennium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y. Seoul: Minjoong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