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추이의 유형 및 예측 요인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ypes and Predictors of Trajectories of Adaptation to Child Care Among Infants and Toddler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and Latent Classes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1, 2020년, pp.115 - 143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조우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derlying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aptation to child care among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their child care adaptation types in order to find predictors that account for individual dif...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84)

  1. 강정원 (2002). 치료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과정: 탐색에서 성장까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구수연 (200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숙, 김유환 (2011). 유아-교사 간 상호 인식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유아교육학논집, 15(4), 141-160. 

  4. 김기홍, 이주리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47-65. 

  5. 김명순, 김의향, 이삼범, 박초아, 이미화, 이한영 등 (2013).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이해. 서울: 보건복지부. 

  6. 김기영 (2000). 태교관점 임부교실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로 (2014). 만 1, 2세 영아의 기관유형별 초기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의 실시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연진 (200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3(1), 19-34. 

  9. 김영실, 손수민 (2014, 4).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자녀에 대한 애착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2014 한국육아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0. 김정민, 김지현 (2015).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4(2), 159-170. doi:10.5934/kjhe.2015.24.2.159 

  11. 김진아, 권민균 (2005).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과 보육시설 초기 적응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2(4), 177-189. 

  12. 김한나, 서소정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과 영아 발달간의 관계 연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07-329. 

  13. 김현주 (2011). 보육시설 적응프로그램의 개별실시에서 나타난 영아의 적응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현주, 고경필 (201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223-234. doi:10.5762/KAIS.2015.16.1.223 

  15. 노언경, 홍세희 (2012).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3), 51-76. 

  16. 문수재, 이민준, 윤관수, 신승철, 이호영, 김만권 등 (1991).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의 사용: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신경정신의학, 30(4), 752-767. 

  17. 문애현, 조안나 (2018).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231-252. doi:10.20437/KOAECE23-4-10 

  18. 박준혁, 김기웅 (2011). 한국의 우울증 역학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지, 54(4), 362-369. 

  19. 보건복지부 (2019).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0. 서미정, 김경연 (2010).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 유형과 예측 요인: 성장혼합모형의 적용. 아동학회지, 31(3), 83-97. 

  21. 서소정 (2009). 영아의 보육기관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22. 서정아, 안선희, 박정은 (2019).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어머니의 분리불안: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1), 99-110. doi:10.7466/JKHMA.2019.37.1.99 

  23. 송애란, 송승민, 이사라 (2015). 영아의 기질, 교사의 민감성 및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5(1), 37-53. doi:10.30528/jolss.2015.5.1.003 

  24. 신나리, 윤현정 (2016). 교사용 영아 어린이집 적응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37(6), 35-56. doi:10.5723/kjcs.2016.37.6.35 

  25. 신현정, 박영주, 강현철 (2004). 산욕기 어머니의 모아애착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34(3), 504-514. 

  26. 신희남, 조복희 (2012).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9-55. 

  27. 양숙경, 문혁준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1-146. 

  28. 우현경, 홍용희 (1998).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27(1), 29-50. 

  29. 유민아, 이주리 (2011).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양육태도가 영아의 보육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콘텐츠연구, 11, 333-356. 

  30. 유현숙, 고선옥 (2009).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양육행동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7(2), 17-34. 

  31. 윤서영, 임재형, 한창수 (2012).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를 위한 임상평가 도구.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3, 136-146. 

  32. 이경님, 유혜선 (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33. 이연실, 이용우 (2016). 유아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2(1), 109-131. 

  34. 이상순, 이완정 (2019).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 관계에서 교사-영아관계의 조절효과: 수직적 전이집단과 수평적 전이집단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2), 21-36. doi:10.14698/jkcce.2019.15.02.021 

  35. 이용주 (2004).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나타난 만1세 영아의 체험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3), 169-193. 

  36. 이찬숙, 현은자 (2008).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유아교육연구, 28(3), 51-70. doi:10.18023/kjece.2008.28.3.003 

  37. 장영숙, 조정애 (2000).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연령, 기질 및 교사 기질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 97-119. 

  38.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39.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40.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41. 차영숙 (2009). 영아들의 초기 사회적 삶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27-257. 

  42. 차효성, 고지현, 이경주, 최애리, 이건정 (2016).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격리불안 측정 도구 개발 및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 409-420. doi:10.5762/KAIS.2016.17.1.409 

  43. 천희영 (1997). 어머니가 지각하는 한국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18(2), 191-211. 

  44. 최정선, 정가윤 (2013). 12-14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관찰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79-101. 

  45. 최항준, 최선녀, 임현주 (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6, 49-72. 

  46. 최현자 (1994). 어린이집 개원과 운영에 관한 실천 연구: 새암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1, 62-84. 

  47. 한국아동패널 (n. d.). 한국아동패널연구 3차년도 도구프로파일. http://panel.kicce.re.kr/panel/board/view.do?menu_idx42&editModeADD%2CADD&board_idx33363&manage_idx26&old_menu_idx0&old_mana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Mo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rowCount10&viewPage7에서 2018년 2월 5일 인출 

  48. 황현주, 정옥분 (2006).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3(3), 57-78. 

  49. 황혜정 (2019). 유아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199-218. doi:10.22251/jlccj.2019.19.8.199 

  50. Ahnert, L., Gunnar, M. R., Lamb, M. E., & Barthel, M. (2004). Transition to child care: Associations with infant-mother attachment, negative emotion, and cortisol elevations. Child Development, 75(3), 639-650. doi:10.1111/j.1467-8624.2004.00698-X 

  51. Albers, E. M., Beijers, R., Riksen-Walraven, J. M., Sweep, F. C., & de Weerth, C. (2016). Cortisol levels of infants in center care across the first year of life: Links with quality of care and infant temperament. Stress, 19(1), 8-17. doi:10.3109/10253890.2015.1089230 

  52. Becker, G., & Becker, C. (1994). The Maternal Behavior Inventory: Measuring the behavioral side of mother-to-infant attachment.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22(2), 177-193. doi:10.2224/sbp.1994.22.2.177 

  53. Boer, F., & Westenberg, P. M. (1994). The factor structure of the Buss and Plomin EAS Temperament Survey (parental ratings) in a Dutch sampl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2(3), 537-551. doi:10.1207/s15327752jpa6203_13 

  54. Bould, H. E., Joinson, C., Sterne, J. A., & Ricardo, A. (2013). The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Temperament survey: Factor analysis and temporal stability in a longitudinal co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 628-633. doi:10.1016/j.paid.2012.11.010 

  55. Bretherton, I., & Waters, E. (Eds.). (1985).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1-2, Serial No. 09). 

  56. Bronfenbrenner, U. (1994). Human ecology: Concepts and perspectives.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움 기조강연 논문, 서울. 

  57.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58. Collins, L. M., & Lanza, S. T. (2010).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Hoboken, NJ: Wiley. 

  59. Campbell, S. B., Matestic, P., von Stauffenberg, C., Mohan, R., & Kirchner, T. (2007).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ternal sensitivity, and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Developmental Psychology, 43(5), 1202-1215. doi:10.1037/0012-1649.43.5.1202 

  60. Cho, M. J., & Kim, K. H. (1998).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6(5), 304-310. doi:10.1097/00005053-199805000-00007 

  61. Clark, S. L. (2010). Mixture modeling with behavioral 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SA. 

  62. Cryer, D., Wagner-Moore, L., Burchinal, M., Yazejian, N., Hurwitz, S., & Wolery, M. (2005). Effects of transitions to new child care classes on infant/toddler distress and behavio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1), 37-56. doi:10.1016/j.ecresq.2005.01.005 

  63. Cummings, E., & Davies, P. (1994).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1), 73-112. doi:10.1111/j.1469-7610.1994.tb01133.x 

  64. Datler, W., Ereky-Stevens, K., Hover-Reisner, N., & Malmberg, L. E. (2012). Toddlers' transition to out-of-home day care: Settling into a new care environmen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5(3), 439-451. doi:10.1016/j.infbeh.2012.02.007 

  65. Demirchyan, A., Petrosyan, V., & Thompson, M. E. (2011). Psychometric valu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for screening of depressive symptoms in Armenian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3(3), 489-498. doi:10.1016/j.jad.2011.04.042 

  66. Fein, G. G., Gariboldi, A., & Boni, R. (1993). The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o group care: The first 6 month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1-14. doi:10.1016/S0885-2006(05)80095-X 

  67. Fox, N. A., & Henderson, H. A. (1999). Does infancy matter? Predicting social behavior from infant temperament.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22(4), 445-455. doi:10.1016/S0163-6383(00)00018-7 

  68. Gordon, B. N. (1981). Child temperament and adult behavior: An exploration of "Goodness of fit".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11(3), 167-178. doi:10.1007/BF00709381 

  69. Hedeker, D. (2004). An introduction to growth modeling. In D. Kaplan (Ed.),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pp. 215-234).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0. Hock, E., McBride, S., & Gnezda, M. T. (1989).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other-infant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60(4), 793-802. doi:10.2307/1131019 

  71. Kaiser, B., & Rasminsky, J. S. (2012).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72. Kim, Y. H. (2017).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at four years of age: Evidence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hild Indicators Research, 10(4), 1061-1078. doi:10.1007/s12187-016-9417-8 

  73. Klein, H. A. (1991). Temperament and childhood group care adjustment: A cross-cultural comparis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2), 211-224. doi:10.1016/0885-2006(91)90008-9 

  74. Marcus, J., Chess, S., & Thomas, P. (1972). Temperamental individuality in group care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3), 313-330. doi:10.1080/0300443720010304 

  75. Mathiesen, K. S., & Tambs, K. (1999).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 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3), 431-439. doi:10.1111/1469-7610.00460 

  76. Mobley, C. E., & Pullis, M. E. (1991). Temperament and behavioral adjustment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4), 577-586. doi:10.1016/0885-2006(91)90038-M 

  77. Muthen, B., & Muthen, L. K. (2000).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4(6), 882-891. doi:10.1111/j.1530-0277.20000.tb02070.x 

  78. National Research Council,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Depression, Parenting Practices, &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2009).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in parents and parenting, child health, and child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M. J. England, & L. J. Sim (Eds). Depression in parents, parenting, and children: Opportunities to improve identific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pp.119-182).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79.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6).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Factors contributing to positive caregiv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3), 269-306. doi:10.1016/S0885-2006(96)90009-5 

  8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3). Early child car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from 36 months through first grade.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26(3), 345-370. doi:10.1016/ S0163-6383(03)00035-3 

  81.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2), 179-192. doi:10.1016/0885-2006(88)90021-X 

  8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y Measurement, 1(3), 385-401. doi:10.1177/014662167700100306 

  83. Thyssen, S. (2000). The child's start in day care cent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61(1), 33-46. doi:10.1080/0030443001610103 

  84. Wicks-Nelson, R., & Israel, A. C. (2001).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아동기행동장애(정명숙, 손영숙, 양혜영, 정현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