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Centering on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1, 2012년, pp.119 - 139  

조재인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용자의 무관심, 대체할 수 있는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으로 국내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는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특히 이용자가 스스로 탐색하여 획득 가능한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은 전통적 질의-응답 방식의 참고봉사 서비스의 기능과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신뢰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의 구축이라는 참고봉사의 간접서비스 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접서비스 위주의 협력을 추구하는 있는 일본 도서관들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를 심층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의 새로운 도약 가능성을 조망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inferior condition of local library reference service, an air of indifference about users, and the increase in Internet resources,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in domestic libraries tend to be stagnant. The increase in Internet resources was reconsidered, aside from traditional librar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시점에 도약 가능한 새로운 협력 모델을 재구성해 보는 것은 큰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질의-응답 형식의 협력과 달리 간접서비스 중심의 협력 모델에 대하여 논의해 보도록 한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전국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를 심층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가 어떤 지평을 향해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측면의 담론을 제시한다.
  • 다만, 미해결 질의로 표시되면 타 도서관에게 통지되어, 해결 가능한 도서관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코멘트 기능을 통해 답변이 완료된 질의라도 의미 있는 정보가 계속적으로 추가․보완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또한 참고봉사 사례 이외에도 도서관의 특수 장서 정보를 교환하고 특수 주제의 질문에 대한 조사방법 설명서를 작성하여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간접서비스의 공동화를 지향한다고 분석할 수 있겠다.
  • 이 사업은 참고봉사 서비스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개별 도서관의 참고봉사 결과물들과 각종 도구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2년에 국립국회도서관의 실험사업으로 시작되어, 2011년 12월까지 557개관(공공 346이상, 대학 150이상, 전문도서관 50 및 기타 도서관 11)이 참가하게 되었다(国立国会図書館関西館図書館協力課 2011).
  •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질의-응답 형식의 협력과 달리 간접서비스 중심의 협력 모델에 대하여 논의해 보도록 한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전국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를 심층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가 어떤 지평을 향해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측면의 담론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네 번째, 참고봉사의 질에 대한 자성과 성찰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담보하기 위한 내부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체계적인 연수와 표준화된 조사 프로세스의 보급․정착을 통해 도서관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 주제 전문가의 활용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가 정체 상태에 빠져 있는 이유는? 이용자의 무관심, 대체할 수 있는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으로 국내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는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특히 이용자가 스스로 탐색하여 획득 가능한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은 전통적 질의-응답 방식의 참고봉사 서비스의 기능과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신뢰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의 구축이라는 참고봉사의 간접서비스 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인터넷 컨텐츠의 증가로 인한 변화는? 인터넷 컨텐츠의 증가로 누구나 쉽게 스스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참고질의 건수가 급감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도서관이 전통적으로 수행해 오던 참고봉사 서비스의 기능과 본질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참고봉사의 중개 기능을 다음과 같이 5개의 레벨로 구분하면? Kuhlthau(1993)는 참고봉사의 중개 기능을 다음과 같이 5개의 레벨로 구분한 바 있다. 첫 번째 레벨은 정보원의 조직을 통하여 이용자가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며, 두 번째 레벨은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원의 소재처를 파악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레벨은 이용자와의 면담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주제를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정보원을 제시해 주는 역할이다. 한편,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레벨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탐색 과정을 지원하거나, 최적의 정보원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문제 해결 과정 전반에 거친 정보 분석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립중앙도서관. 2011. 협력형 온라인지식정보서비스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운영 활성화. 2011 전국도서관대회 워크숍 3, 2011년 10월 19일.(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1. "Hyeoblyeokhyeong Online Jisik Jeongbo Service 'Saseo ege Mul-eo Boseyo' Unyeong Hwalseonghwa." 48th KLA General Conference Workshop 3, October 19, 2011.) 

  2. 남영준. 2011. 협력형 온라인지식정보서비스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전국 도서관대회 워크숍 3, 2011년 10월 19일.(Nam, Young-Joon. 2011. "Hyeoblyeokhyeong Online Jisik Jeongbo Service 'Saseo ege Mul-eo Boseyo' Hwalseonghwa Bangan Yeongu." 48th KLA General Conference Workshop 3, October 19, 2011.) 

  3. 박준식. 2005. 대학도서관 가상참고서가의 구축과 운영. 대교협 2005 대학도서관 사서직 워크샵.(Park, Joon-Shik. 2005. "Daehak Doseogwan Gasang Chamgo Seoga-ui Guchuk-gwa Unyeong." Daegyohyeop 2005 Daehak Doseogwan Saseo-jik Workshop.) 

  4. 배순자. 2011. 국내 협력형디지털정보봉사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CDRS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1-27.(Bae, Soon-Ja. 2011. "A case study of the CD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11-27.) 

  5. 차미경, 김수정. 2006.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367-383.(Cha, Mikyeong, & Kim, Soo-Jeong. 2006.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367-383.) 

  6. 國立國會?書館a. 2010. "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事業 デ?タ作成.公開に?する ガイドライン." [online]. [cited 2011.6.5]. . 

  7. 國立國會?書館b. 2010. "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事業累積統計(平成22年12月末 現在." [online]. [cited 2011.12.1]. . 

  8. 國立國會?書館?西館?書館協力課. 2011. "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事業 平成22年 度事業報告." [online]. [cited 2011.12.1]. . 

  9. 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事業 home page. [online]. [cited 2011.12.1]. . 

  10. 埼玉縣立久喜?書館. 2011. これまでの5年これからの5年 ?レファ協とともに?. 第6回レファレンス協同DB事業フォ?ラム, 平成22年 2月 17日. [online]. [cited 2011.6.5]. . 

  11. 愛知學院大學?書館. 2011. 現場における情報共有への取り組み -レファ協は一石三鳥-. 第6回レファレンス協同DB事業フォ?ラム, 平成22年. 

  12. 依田 紀久. 2006. "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事業に見るデジタルレファレンスサ? ビス." Th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56(3): 90-95. 

  13. 香川縣立?書. 2010. 香川縣立?書館におけるレファレンス協同デ?タベ?スの活用. 第5回レファレンス協同DB事業フォ?ラム, 平成21年. [online]. [cited 2011.6.15]. . 

  14. ARL Statistics. 2011. ARL Statistics 2008-2009.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online]. [cited 2011.6.1]. . 

  15. Collaborative Reference System. [online]. [cited 2011.12.1]. . 

  16. Kuhlthau, C. C. 1993.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Norwood, NJ: Ablex Publishing. 

  17. Nardi, B. A., & O'Day, V. L. 1999. Information Ecologies: Using Technology with Heart. Cambridge, Mass.: MIT Press. 

  18. Reference and User Services Association(RUSA). 2008. "Definitions of Reference." [online]. [cited 2011.5.20]. . 

  19. Saito, Yasunori. 2007. Digital contents and libraries in future. Transformation of a relation between a library and a user by digital environmental development: Consideration around the intermediary function of reference service. 情報の科學と技術, 57(9): 429-433. 

  20. Zheng, Songhui. 2006. "Virtual reference services in China: Helping the information-poor." Electronic Library, 24(6): 763-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