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도서관계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서비스(CDRS): 문제점과 개선안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DRS in Korean Library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7 no.4, 2016년, pp.69 - 91  

김왕종 (부산대학교 도서관) ,  이제환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서관계에서 협력형 디지털참고서비스(CDRS)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밝혀내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논점에 집중하였다. 첫째, 한국 도서관계에서 시도해온 CDRS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한국 도서관계에서 CDRS가 부실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개발과정, 시스템기능, 그리고 운영체계의 문제점을 통해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도서관계에서 CDRS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실무적인 측면과 운영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KISTI의 Question포인트와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사례로 하여 논점을 전개하였으며,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조사와 통계조사 그리고 기존 CDRS 시스템에 대한 유용성 테스트 등을 통해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raise the quality issues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s(CDRS) in Korean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feasible solutions to resolve the quality problems of CDRS. To the end,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esent condition of ma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DRS와 CDRS의 이용실태는 어떤 상황인가? 그런데 CDRS에 가입한 도서관들이 늘어나고 거의 모든 도서관들의 홈페이지에서 DRS 배너를 볼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도서관계의 참고서비스 기능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좀처럼 찾아보기가 어렵다. DRS와 CDRS의 이용실태를 조사한 연구들에 의하면, 거의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DRS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채 장식품으로 전락해 있으며 CDRS또한 중단되거나 유명무실한 상태에 놓여 있다(장혜란 2004; 김달식 2005; 남태우 등 2008; 배순자 2011; 박희진·박성재 2013; 장혜란·이경숙 2014; 황면·정동렬 2016).
국내 CDRS의 비활성화 원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연구에서 우리가 밝혀낸 국내 CDRS의 비활성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CDRS의 개발과정에서 이용자집단의 정보행태에 관한 사전 조사가 부족하였으며, 협력대상기관들의 참고서비스 역량과 CDRS 참여의지에 대한 사전 점검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CDRS 시스템의 기능적 한계가 심각하였다. 참여도서관의 입장에서 볼 때 로컬 시스템과 통합 시스템 사이의 주요 기능의 연계와 데이터의 통합 및 공유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보니 로컬 시스템과 통합 시스템을 모두 운영해야 하는 불편함과 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용자의 입장에서도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이 복잡하다보니 사용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CDRS 운영주체와 참여도서관의 책무와 기능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는 등 운영체계의 부실이 심각하였다.
디지털 참고서비스는 무엇인가? 디지털 참고서비스(Digital Reference Services, 이하 DRS)는 도서관이용자, 특히 원거리이용자의 참고질의에 신속하게 대처하고자 1980년대 중반에 미국 도서관계에서 개발된 인터넷 기반 참고서비스이다. 국내에는 1990년대 후반에 대학도서관계에 의해 도입되어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2016년 현재 대부분의 도서관들이 DRS를 제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국립중앙도서관. 2009-2015.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김달식. 2005.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241-262.(Kim, Dar-Sig. 2005. The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2): 241-262.) 

  3.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Kim, Hwi-Chool. 2003.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169-196.) 

  4. 배순자. 2011. 국내 협력형디지털정보봉사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CDRS의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1-27.(Bae, Soon-Ja. 2011. A Case Study of the CD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11-27.) 

  5. 남태우 등. 2008. 국내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및 실시간서비스 운영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박희진, 박성재. 2013. 내용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전자게시판) 활성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75-193.(Park, Hee-Jin and Park Sung-Jae. 2013. A Study on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Academic Libra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175-193.) 

  7. 이선희. 2007.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디지틀도서관, 통권 48호: 30-44. 

  8. 이선희, 최희윤. 2004. 글로벌네트워크를 활용한 CDRS 협력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329-347.(Lee, Seon-Hee and Choi, Hee-Yoon. 2004. "Study on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 Global Network."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4): 329-347.) 

  9. 이제환. 2007. 한국 문헌정보학에서 참고봉사와 정보봉사의 의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299-323.(Lee, Jae-Whoan. 2007. Reference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s LIS Field.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299-323.) 

  10. 장혜란. 2004. 디지털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215-228.(Chang, Hye Rhan. 2004. Digital Reference Service : Directions for Promotion.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215-228.) 

  11. 장혜란, 이경숙. 2014.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질문 분석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4): 7-28.(Chang, Hye-Rhan and Yi, Kyung Suk. 2013. Question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7-18.) 

  12. 차미경, 김수정. 2006.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367-383.(Cha, Mi-Kyeong and Kim, Soo-Jeong. 2006.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367-383.) 

  13. 최은주, 이선희. 2004.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KISTI의 Question포인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1(2): 69-87.(Choi, Eun-Ju and Lee, Seon-Hee. 2004. "A Study on the Collabro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 Focused on the implement of Question포인트 at KISTI."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2): 69-87.) 

  14. 황면, 정동렬. 2016. 협력형 디지털 레퍼런스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요인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133-153.(Hwang, Myun and Jeong, Dong-Youl. 201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133-153.) 

  15. 조재인. 2012.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 비교 연구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119-139.(Cho, Jane. 2012. A Comparative Study on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 Centering o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119-139.) 

  16. 이서영, 이봉규. 2012. 리눅스와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분석한 소셜 저작 시스템의 성공요소에 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4): 73-82.(Lee, Seo-Young and Lee, Bong-Gyou. 2012. Research on Key Success Factors of Social Authoring system : Focused on Linux and Wikipedia.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46(1): 119-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