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연령에 따른 혈압변화 양상과 고혈압 유병률
The Age-Related Trend in Blood Pressure a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2 = no.142, 2012년, pp.148 - 155  

이대택 (국민대학교 체육대학 운동생리학실험실) ,  이용수 (국민대학교 체육대학 운동생리학실험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의 연령에 따른 혈압변화와 고혈압 유병률 그리고 수축기(SBP)와 이완기(DBP)혈압 및 맥압(PP)의 변화양상을 횡단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역보건소 건강검진 및 건강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진료된 대상자 6,570명(남2,809, 여 3,761)을 5 연령군(30, 40, 50, 60대 그리고 70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BP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60대 중반에서 역전되었다. DBP는 남자 30대부터 증가하여 40대에서 최고점을 이르렀다가 하강하였다. 여자는 4-50대까지 증가하다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PP는 50대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남자의 경우 특히 50대 이후의 연령과 관계한 혈압의 증가는 큰동맥의 굳어짐 현상이 가장 큰 공헌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여성의 경우는 큰동맥굳어짐, 일회심박출량 또는 심실박출율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PP의 증가는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며 특히 50대 이후 남녀 모두에서 가파른 위험성이 예견된다. 이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고혈압 발병률이 이전의 연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높은정상혈압을 고혈압 위험군에 포함시킨다면 고혈압 관리를 위한 대상자의 범위는 상당히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blood pressure (BP) changes and the current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hypertension among age groups in Korea were conducted. Systolic (SBP), diastolic (DBP), and pulse (PP) pressures were evaluated. Residents visiting a local Community Health Center for a health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인종에 따라 다른 양상의 발병률과 변화추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6,19], 우리나라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변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횡단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한 지역사회의 연령대별 혈압변화 현상과 유병률 그리고 이 변화과정에서 성별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와 외국 사례와 어떠한 동일성 또는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한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연령에 따른 혈압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를 평가하는데 우선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혈압은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성별, 인종과 무관하게 나타나며, 혈압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모든 영역에서의 혈압 소유자에게 동등하게 나타난다[4]. 본연구에서는 서양인들에서 나타난 DBP의 변화양상과는 다른 변화추세와 절대적 수치가 관찰되었다. 남자의 경우 30대 평균 79 mmHg에서 40대에 85 mmHg를 보였다가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70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80 mmHg를 보였다.

가설 설정

  • 특히 큰동맥에서 말초동맥으로 이동할수록 SBP는 증가하고 DBP 는 소폭 감소하여 결국 말초혈관에서의 PP는 현저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인다. 만약 일정한 일회박출량과 심실박출속도가 유지된다고 가정한다면 PP는 혈액이 지나는 도관, 즉 혈관의 상태에 따라 결정지어진다. 여기서 혈관의 상태란 혈관벽의 점탄성질을 의미하며, 노화와 동반되는 혈관성질의 변형은 SBP의 증가와 DBP의 감소를 유발하여 결국 PP를 증가시킨다 [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의 심혈 관질환과의 연관성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고혈압의 심혈 관질환과의 연관성은 성별, 연령, 인종을 불문하고 지속적이고 강력하게 나타나며 혈압의 증가와 동반되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은 가중된다[13,25].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 20 mmHg 또는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DBP)이 10 mmHg 증가할 때마다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두 배 증가한다고 보고된다[7]. 청년기 이후 나이가 들면서 혈압은 점차로 증가하는데 60대에 이르면 인구의 약 과반수가 고혈압을 갖게 되고 70세 이후에는 4명중 1명이 그 영향을 받게 된다[5].
혈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혈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보면 혈압은 원리적 으로 정적요인과 박동성 요인을 모두 가진다. 전자는 평균동 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을 일컬으며, 후자는 PP를 가리킨다.
고혈압이 의학적, 공중보건적 주요관심의 대상인 까닭은 무엇인가? 고혈압은 의학적으로나 공중보건의 입장에서 주요관심 대상이다. 고혈압이 사망률, 뇌졸중, 관상심장질환, 심부전, 말초 혈관질환, 신부전과 같은 많은 질환들과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1,27]. 고혈압의 심혈 관질환과의 연관성은 성별, 연령, 인종을 불문하고 지속적이고 강력하게 나타나며 혈압의 증가와 동반되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은 가중된다[13,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K. M., P. W. F. Wilson, P. M. Odell, and W. B. Kannel. 1991. An updated coronary risk profile. A state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Circulation 83, 356-362. 

  2. Benetos, A., A. Rudnichi, M. Safar, and L. Guize. 1998. Pulse pressur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subjects. Hypertension 32, 560-564. 

  3. Berne, R. M. and M. N. Levy. 1992. Cardiovascular Physiology. pp. 113-144, CV Mosby Company. St Louis, Missouri. 

  4. Black, H. R. 2004. The paradigm has shifted to systolic blood pressure. J. Hum. Hypertension 18, S3-S7. 

  5. Burt, V. L., P. Whelton, E. J. Roccella, C. Brown, J. A. Cutler, M. Higgins, M. J. Horan, and D. Labarthe. 1995.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the US adult populat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1. Hypertension 25, 305-313. 

  6. Carson, A. P., G. Howard, G. L. Burke, S. Shea, E. B. Levitan, and P. Muntner. 2011. Ethnic differences in hypertension incidence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57, 1101-1107. 

  7. Chobanian, A. V., G. L. Bakris, H. R. Black, W. C. Cushman, L. A. Green, J. L. Izzo Jr., D. W. Jones, B. J. Materson, S. Oparil, J. T. Wright Jr., and E. J. Roccella.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89, 2560-2572. 

  8. Conen, D., P. M. Ridker, J. E. Buring, and R. J. Glynn. 2007.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among women with high normal blood pressure or blood pressure prog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Br. Med. J. 335, 432-440. 

  9. Fang, J., S. Madhavan, H. Cohen, and M. H. Alderman. 1995. Measures of blood pressure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treated hypertensive patients. J. Hypertens 13, 413-419. 

  10. Franklin, S. S., W. G. Gustin, N. D. Wong, M. G. Larson, M. A. Weber, W. B. Kannel, and D. Levy. 1997. Hemodynamic patterns of age-related changes in blood pressur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96, 308-315. 

  11. Franklin, S. S., S. A. Khan, N. D. Wong, M. G. Larson, and D. Levy. 1999. Is pulse pressure useful in predicting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00, 354-360. 

  12. Gasowski, J. R. H. Fagard, J. A. Staessen, T. Grodzicki, S. Pocock, F. Boutitie, F. Gueyffier, and J. P. Boissel. 2002. Pulsatile blood pressure component as predictor of mortality in hypertension: a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 control groups. J. Hypertens 20, 145-151. 

  13. Kannel, W. B. 1996. Blood pressure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 prevention and treatment. JAMA 275, 1571-1576. 

  14. Kannel, W. B., P. A. Wolf, D. L. McGee, T. R. Dawber, P. McNamara, and W. P. Castelli. 1981. Systolic blood pressure, arterial rigidity, and risk of stroke. JAMA 245, 1225-1229. 

  15. Kelly, R., R. Tunin, and D. Kass. 1992. Effect of reduced aortic compliance on left ventricular contractile function and energetics in vivo. Circ. Res. 71, 490-502. 

  16. Kim, S. J., J. Lee, C. M. Nam, S. H. Jee, I. S. Park, K. J. Lee, and S. Y. Lee. 2010. Progression rate from new-onset pre-hypertension to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Circ. J. 75, 135-140. 

  17. Kobalava, A. D., Y. V. Kotovskaya, L. A. Babaeva, and V. S. Moiseev. 2006. Validation of TM-2655 oscillometric device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Blood Press. Monit. 11, 87-90. 

  18.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09, 2010. pp. 5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19. Kramer, H., C. Han, W. Post, D. Goff, A. Diez-Roux, R. Cooper, S. Jinagouda, and S. Shea. 2004. Racial/ethnic differences in 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treatment and control in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MESA). Am. J. Hypertens 17, 963-970. 

  20. Lewington, S., R. Clarke, N. Qizilbash, R. Peto, and R. Collins. 2002.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Lancet 360, 1903-1913. 

  21. Madhavan, S., W. L. Ooi, H. Cohen, and M. H. Alderman. 1994. Relation of pulse pressure and blood pressure reduction to the incid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Hypertension 23, 395-401. 

  22. Nichols, W. W., F. A. Nicolini, and C. J. Pepine. 1992. Determinants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J. Hypertens 10, S73-S77. 

  23. Pannier, B., P. Brunel, W. El Aroussy, P. Lacolley, and M. E. Safar. 1989. Pulse pressure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in essential hypertension. J. Hypertens 7, 127-129. 

  24. Safar, M. E. 1989. Pulse pressure in essential hypertension: clinical and therapeutical implications. J. Hypertens 7, 769-776. 

  25. Sagie, A., M. G. Larson, and D. Levy. 1993. The natural history of borderlin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N. Engl. J. Med. 329, 1912-1917. 

  26. Vasan, R. S., M. G. Larson, E. P. Leip, J. C. Evans, C. J. O'Donnell, W. B. Kannel, and D. Levy. 2001. Impact of high-normal blood pressure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345, 1291-1297. 

  27. Vasan, R. S., A. Beiser, S. Seshadri, M. G. Larson, W. B. Kannel, R. B. D'Agostino, and D. Levy. 2002. Residual lifetime risk for developing hyperten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en: The Framingham Heart Study. JAMA 287, 1003-1010. 

  28. Watanabe, H., S. Ohtsuka, M. Kakihana, and Y. Sugishita. 1993. Coronary circulation in dogs with experimental decrease in aortic compliance. J. Am. Coll. Cardiol. 21, 1497-1506. 

  29. Zhang, H., L. Thijs, T. Kuznetsova, R. H. Fagard, X. Li, and J. A. Staessen. 2006. Progression to hypertension in the non-hypertensive participants in the Flemish Study on Environment, Genes and Health Outcomes. J. Hypertens 24, 1719-1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