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리보솜 DNA 분석 결과 BCNU 9041, 9042는 Lactobacillus brevi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안전성 실험을 시행한 결과, 이들 균주는 용혈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및 urease와 같은 유해한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 안전한 생물자 원임이 확인되었다. BCNU 9041 및 9042은 pH 2.5의 산성 조건 및 담즙에서(0.3, 0.6, 1%의 oxgall이 포함된 MRS broth)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Shigella sonnei 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났다. 또한 BCNU 9041, BCNU 9042은 92-95%의 높은 소수성과 BSH (bile salt hydrolytic) 활성 및 cholesterol 흡수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바이오틱로서의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BCNU 9041와 BCNU 9042의 기능성 식품 및 건강관련 제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animal feces. BCNU 9041 and BCNU 9042 isolates were assigned to Lactobacillus brevis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ibosomal DNA sequences analysis. The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산균을 분리할 목적으로 건강한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유산균을 순수분리하여 선별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유해대사산물, 유해효소 생성 확인 등 기초적인 안전성을 검토한 토대위에 기능적 측면인 내산성, 내담즙성,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세포표면 소수성 및 콜레스테롤 흡수 활성 등의 기능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산균을 분리할 목적으로 건강한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유산균을 순수분리하여 선별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유해대사산물, 유해효소 생성 확인 등 기초적인 안전성을 검토한 토대위에 기능적 측면인 내산성, 내담즙성,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세포표면 소수성 및 콜레스테롤 흡수 활성 등의 기능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ctobacilli group은 숙주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특히 돼지, 닭 및 설치류의 상부 위장관에는 비교적 많은 수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상부 위장관의 비분비형 상피내벽 표면에는 Lactobacilli group이 주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Lactobacilli group 은 유산, 초산 등의 유기산과 nisin과 같은 단백질성 항균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함으로써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균총의 안정화,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유당 불내증(lactose intolerance) 및 비특이적 면역증강의 완화, 나아가 항암 및 항종양 등의 유익한 기능을 숙주에 대해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30,35]. 이러한 이유로 Lactobacillus 속 균주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프로바 이오틱스는 적정량을 섭취하였을 때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고 있다.
돼지, 닭의 상부 GIT에는 주로 어떤 미생물이 부착되어있는가? 사람과 동물의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 GIT)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복합적으로 균총(microflora)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균총은 동물의 종이나, 서식하고 있는 위장관의 위치에 따라 우점종(dominant species)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특히 돼지, 닭 및 설치류의 상부 위장관에는 비교적 많은 수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상부 위장관의 비분비형 상피내벽 표면에는 Lactobacilli group이 주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Lactobacilli group 은 유산, 초산 등의 유기산과 nisin과 같은 단백질성 항균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함으로써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세균총의 안정화,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유당 불내증(lactose intolerance) 및 비특이적 면역증강의 완화, 나아가 항암 및 항종양 등의 유익한 기능을 숙주에 대해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30,35].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되기 위한 미생물의 조건은 무엇이 있는가? 미생물이 프로바이오틱로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안전성, 기능성 및 기술적인 요소에서 검증을 거쳐야 하는데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규제 및 검증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9,10,18]. 프로바이오틱스는 인돌(indole), 암모니아, 아민, 페놀과 같은 유해대사산물이나 대장암 원인효소인 β -glucoronidase, tryptophanase 등의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아야 하며, 장내 점질성 glycoprotein 분해능 및 급성 독성 (acute toxicity)이 없는 안전한 균이어야 한다[4,19,20,31]. 또한 인간과 동물의 장내 극한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위산에 대한 내성과 췌장효소 및 쓸개에서 분비되는 담즙에 대한 내성을 지녀야 한다[7,14]. 숙주에 대하여 유익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내 세포 표면의 부착능이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점막세포와 강한 비특이적 상호작용을 하는 세포 표면의 높은 소수성과 연관성이 높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11,27,29]. 최종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제화를 위한 공정과정에서 안정성 및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들을 살펴보았을 때, 유산균은 장내의 낮은 pH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을 지니며 안전성이 확보된 GRAS (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로 분류되고 있는 바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이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15,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ander, M., Satokari, R., Korpela, R., Saxelin, M., Vilpponen-Salmela, T. and von Wright. A. 1999. Persistence of colonization of human colonic mucosa by a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rhamnosus GG, after oral consumption. Appl. Environ. Microbiol. 65, 351-354. 

  2. Anderson, J. W. and Gilliland, S. E. 1999. Effect of fermented milk (yogurt)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L1 on serum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humans. J. Am. Coll. Nutr. 18, 43-50. 

  3. Axelsson, L. T., Chung, T. C., Dobrogosz, W. G. and Lindgren, S. E. 1989. Production of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substance by Lactobacillus reuteri. Microb. Ecol. Health Dis. 2, 131-136. 

  4. Lee, D. Y., Seo, Y. S., Rayamajhi, N., Kang, M. L., Lee, S. I. and Yoo, H. S. 2009.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wild isolates of Lactobacillus reuteri from pig feces. J. Microbiol. 47, 663-672. 

  5. Coconnier, M. H., Levien, V., Hemery, E. and Servin, A. L. 1998.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infection in vitro and in vivo by the human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 LB. Appl. Environ. Microbiol. 64, 4573-4580. 

  6. Doyle, R. J. and Rosenberg, M. 1995. Measurement of microbial adhesion to hydrophobic substrates. Methods Enzymol. 253, 542-550. 

  7. Dunne, C., Murphy, L., Morrissey, D., Thornton, G., O'Halloran, S., Feeney, M., Flynn, S., Fitzgerald, G., Daly, C., Kiely, B., O'Sullivan, G. C., Shanahan, F. and Collins, J. K. 2001. In vitro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 bacteria of human origin: correlation with in vivo findings. Am. J. Clin. Nutr. 73, 386S-392S. 

  8. Donohue, D. C. and Salminen, S. 1996. Safety of probiotic bacteria. Asia Pac. J. Clin. Nutr. 5, 25-28. 

  9. Fukushima, Y., Kawata, Y., Hara, H., Terada, A. and Mitsuoka. T. 1998. Effect of a probiotic formula on intestinal immunoglobulin a production in healthy children. Int. J. Food Microbiol. 30, 39-44. 

  10. Fuller, R. and Gibson, G. R. 1997. Modifica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us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Scand. J. Gastroenterol. Suppl. 32, 28-31. 

  11. Granato, D., Perotti, F., Masserey, I., Rouvet, M., Golliard, M., Servin, A. and Brassart, D. 1999. Cell surface-associated lipoteichoic acid acts as an adhesion factor for attachment of Lactobacillus johnsonii La1 to human enterocyte-like Caco-2 cells. Appl. Environ. Microbiol. 65, 1071-1077. 

  12. Gilliland, S. E., Nelson, C. R. and Maxwell, C. 1985.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9, 377-381. 

  13. Gilliland, S. E. and Walker, D. K. 1990.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culture to produ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dierary adjunct to produce a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humans. J. Dairy Sci. 73, 905-911. 

  14. Henriksson, A., Khaled, A. K. D. and Conway, P. L. 1999. Lactobacillus coloniz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mice after removal of the non-secreting stomach region. Microb. Ecol. Health Dis. 11, 96-99. 

  15. Holzapfel, W. H., Geisen, R. and Schillinger, U. 1993. Biological preservation of foods with reference to protective cultures, bacteriocins and food-grade enzymes. Int. J. Food Microbiol. 24, 343-362. 

  16. Ishibashi, N. and Yamazaki, S. 2001. Probiotics and safety. Am. J. Clin. Nutr. 73, 465S-470S. 

  17. Isolauri, E., Salminen, S. and Ouwehand, A. C. 2004. Microbial-gut interactions in health and disease. Probiotics. Best Prac. Res. Cl. Em. 18, 299-313. 

  18. Isolauri, E., Sutas, Y., Kankaanpaa, P., Arvilommi, H. and Salminen, S. 2001. Probiotics: effects on immunity. Am. J. Clin. Nutr. 73, 444S-450S. 

  19. Maragkoudakisa, P. A., Zoumpopouloua, G., Miarisa, C., Kalantzopoulosa, G., Potb, B. and Tsakalidou, E. 2006.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dairy products. Int. Dairy J. 16, 189-199. 

  20. Cole, C. B., Fuller, R. and Carter, S. M. 1989. Effect of probiotic supplemen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rn adolescentis 2204 on ${\beta}$ -glucosidase and ${\beta}$ -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lower gut of rats associated with a human faecal flora. Microb. Ecol. Health D. 2, 223-225. 

  21. Knadler, O. and Weiss, N. 1986. Regular, nonsporing gram-positive rods. pp. 1208-1234. In Sneath, P. H. A., Mair, N. S., Sharpe, M. E. and Holt, J. G. (ed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Williams & Wilkins, Baltimore. 

  22. Mathara, J. M., Schillinger, U., Guigas, C., Franz, C. M. A. P., Kutima, P. M., Mbugua, S., Shin, H. K. and Holzapfel, W. H. 2008.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pp. Form traditional Maaasai fermented milk products in Kenya, Int. J. Food Microbiol. 126, 57-64. 

  23. Mishra, V. and Prasad, D. N. 2005. Application of in vitro methods for selection of Lactobacillus casei strains as potential probiotics. Int. J. Food Microbiol. 103, 109-115. 

  24. Perez, C., Pauli, M. and Bazerque, P. 1990. An antibiotics assay by agar well diffusion method. ActaBiol. Med. Exp. 15, 113-115. 

  25. Perez, P. F., Minnard, Y., Disalvo, E. A. and Antoni, G. L. 1998. Surface properties of bifidobacteria strains of human origin. Appl. Environ. Microbiol. 64, 21-26. 

  26. Ramasamy, K., Abdullah, N., Wong M. C., Karuthan, C. and Ho, Y. W. 2010. Bile salt deconjugation and cholesterol removal from media by Lactobacillus strains used as probiotics in chickens. J. Sci. Food Agric. 15, 65-69. 

  27. Ross, S. and Jonsson, H. 2002. A high-molecular mass cell surface protein from Lactobacillus reuteri 1063 adheres to mucus components. Microbiology 148, 433-442. 

  28.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9. Schar-Zammaretti, P. and Ubbink, J. 2003. The cell wall of lactic acid bacteria: surface constituents and macromolecular conformations. Biophys. J. 85, 4076-4092. 

  30. Seo J. G., Lee, G. S., Kim, J. E. and Chung, M. J. 2010.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rs. KSBB J. 25, 303-310. 

  31. Sorokulova, I. B., Pinchuk, I. V., Denayrolles, M., Osipova, I. G., Huang, J. M., Cutting, S. M. and Urdaci, M. C. 2008. The safety of two Bacillus probiotic strains for Human Use. Digest. Dis. Sci. 53, 954-963. 

  32. Tannock, G. W. 1995. Normal microflora: an introduction to microbes inhabiting the human body. Chapman and Hall London, United Kingdom. 

  33. Thirabunyanon, M., Boonprasom, P. and Niamsup, P. 2009.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dairy milks on antiproliferation of colon cancer cells. Biotechnol. Lett. 31, 571-576. 

  34. Toit, M., Franz, C. M., Dicks, L. M., Schillinger, U., Haberer, P., Warlies, B., Ahrens, F. and Holzapfel, W. H. 1998. Characterisation and selection of probiotic lactobacilli for a preliminary minipig feeding trial and their effect on serum cholesterol levels, faeces pH and faeces moisture content. Int. J. Food Microbiol. 40, 93-104. 

  35. Vrese, M., Stegelmann, A., Ritcher, B., Fenselau, S., Laue, C. and Schrezenmeir, J. 2001. Probiotics: compensation for lactase insufficiency. Am. J. Clin. Nutr. 73, S421-S429. 

  36. Walter, J. 2008. Ecological role of lactobacilli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mplications for fundamental and biomedical research. Appl. Environ. Microbiol. 74, 4985-4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