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Preference for Korean Popular Culture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Focus on the Dalian Areas of China-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2, 2012년, pp.206 - 217  

양유동 (에스티) ,  김순아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이영선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Korean talent, K-pop songs, TV dramas, and movies),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s national brand image and Chinese fashion le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국가적 · 경제적 차원에서 한국패션상품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효율화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한국 TV드라마, 음반, 영화 등 한국문화상품들이 현지인으로부터 뜨거운 사랑을 받으면서 일차적으로는 한국 TV드라마, 음반, 영화와 같은 순수문화상품들의 더 많은 수출증가를 가져오는 유 · 무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다음으로는 TV드라마와 영화의 내용 중에 등장한 유형문화상품인 패션과 음식 등 다양한 문화상품들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한국의 순수문화상품이 아닌 한국상품 전체에 대한 구매욕구와 상품의 품질에 대한 만족감을 상승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가수나 연예인이 착용한 각종 액세서리 · 화장품 · 헤어스타일 · 패션스타일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켜 그와 관련된 산업 상품들의 매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한류상품의 다양한 특성들에 따른 관계구조에 대한 파악이 미진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상품 유형에 따른 선호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문화상품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상호간 선호도와 상품에 대한 구매의도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유행선도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국가 간의 교류 증대에 따른 영향과 결과를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즉, 한국문화상품 유형에 따른 한국무형문화상품(가요, 스타, 드라마, 영화)과 한국유형문화상품(패션 상품) 사이의 선호도관계, 그리고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 활용된 한국문화상품은 패션, 영화, 드라마, 가요, 스타의 5개 분야이며, 이 분야 가운데 무형적 한국문화상품(스타, 드라마, 영화, 가요)에 대한 선호가 유형문화상품인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무형문화상품과 유형문화상품에 대한 선호가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며, 중국인의 유행선도력과의 관계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이 유행선도력과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가 주로 일반적 시각에서 한국문화상품 선호도와 한국상품 구매의도의 직접적 관계를 고찰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구체적 시각에서 문화상품을 무형문화(드라마, 영화, 스타, 가요)와 유형문화(패션상품)로 분류하고 그들 사이의 직, 간접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상품 선호도가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영향을 한국패션상품의 구매의도 관점에서 구조적으로 살펴본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문화상품 선호가 단순한 대중문화현상의 의미를 넘어 국가중요산업에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하며, 유발 과정에서 국가브랜드 이미지 개선도 가져올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 활용된 한국문화상품은 패션, 영화, 드라마, 가요, 스타의 5개 분야이며, 이 분야 가운데 무형적 한국문화상품(스타, 드라마, 영화, 가요)에 대한 선호가 유형문화상품인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무형문화상품과 유형문화상품에 대한 선호가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며, 중국인의 유행선도력과의 관계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가요, 스타, 드라마, 영화)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 이들과 국가브랜드 이미지, 유행선도력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국가적 · 경제적 차원에서 한국패션상품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효율화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 1.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스타, 가요, 드라마, 영화)에 대한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2.중국인의 한국무형문화상품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중국인의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한국패션상품 구매의도, 유행선도력 및 한국국가브랜드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브랜드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2009). 다시 말해 국가브랜드란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 국가 또는 특정 국가의 집단이나 제품, 서비스를 식별하고 다른 국가와 구별되도록 의도된 이름 및 이에 따른 용어, 기호, 심벌, 디자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는 국명, 국기, 국화, 국가, 원산지 표기 명칭 등이 모두 포함되며, 한 국가의 이미지, 신뢰도, 호감도 등 모든 것을 대변하는 종합적인 가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유행선도력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유행선도력이란 유행과정에 있어서 혁신적 상품의 수용력이나 대중을 설득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 힘이라 정의되며, 이러한 특성을 강하게 가진 소비자를 유행선도자라 한다(Bae, 1989). 유행선도자(fashion leader)에는 유행혁신자(fashion innovator), 유행의사선도자(fashion opinion leader), 유행혁신적전달자(fashion innovative communicator)가 있다(Ree & Rhee, 1989).
유행선도력은 어떻게 구성되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Yi(1989)는 혁신성과 의사선도력을 합하여 유행선도력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혁신성(innovativeness)은 소비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상대적으로 빨리 채택하는 정도를 뜻하며, 의견선도력(opinion leadership)이란 소비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새로운 제품에 관한 정보와 충고를 주어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말한다(Rogers, 1983; Rogers & Shoemaker, 1971). 선행연구들(Cho & Koh, 2001; Ree & Rhee, 1989)은 이러한 유행혁신성과 유행의사선도력으로 유행선도력을 측정하여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혁신성과 의사선도력의 정도에 따라 혁신적전달자, 혁신자, 의사선도자, 추종자, 무관심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ssael, H. (1992). Consumer behavior & marketing action (4th ed.). Bost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2. Bae, J. J. (1989).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Baumgarten, S. A. (1975). The innovative communicator in the diffus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2(1), 12-18. 

  4. Cho, D. S., Moon, C. W., & Lee, S. Y. (2004). 국가브랜드와 제휴.M&A 시의 브랜드 관리 [The national brand and alliance . brand management in M&A]. Seoul: The Institute for Industrial Policy Studies. 

  5. Cho, Y. J., & Koh, A. R. (2001). A study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3), 171-190. 

  6. Choi, J. M.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for Korean culture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7.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86). Consumer behavior (5th ed.). Chicago: The Dryden Press. 

  8. Hong, K. H., & Liu, J. (2009). Korean fashion brand purchasing behavior by fashion leadership and Korean wave of college women students i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4), 655-665. 

  9. Hwang, I. S., Kim, B., & Ahn, S. A. (2008).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wave (Hallyu): Impacts of the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6), 140-150. 

  10. Jung, H. S. (2006). The effects of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wave (Hallyu) on Korean product purchase and country image in Chinese marke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7(3), 79-101. 

  11.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2. Kim, J. E., & Park, K. S. (2004).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Hanliu phenomenon on the Chinese young generation's fash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54-164. 

  13. Kim, J. S. (2002). Korean wave and its implications on cultural industry policy: Foreign markets and governmental support.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11(4), 1-22. 

  14. Kim, M. J. (2005). A study on the image mapping of Korea for the management of Korea national bran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5. Kim, S. H. (199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Y. K. (2007). Dimensions of national brand personality. Advertising Research, Summer, 89-119. 

  17. Kim, Y. K., Choi, I. D., Choi, C. W., Park, S. H., & Lee, H. B. (2009). 국가브랜드 자산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national brand assets]. Seoul: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 

  18. Kim, Y. K., Lee, C. H., & Sun, S. S.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a nation brand to the intentions of the nation's product purchase: Focusing on the Chinese Hallyu (Korean wav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6(2), 35-55. 

  19. Kim, Y. S. (1999a).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untry image. 관광정책학연구, 5(2), 87-113. 

  20. Kim, Y. S. (1999b). 국가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untry image]. 한국전통상학연구, 13(2), 215-252. 

  21. Ko, J. M., Kang, S. K., Lee, A. J., & Ha, S. (2005). 한류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A continuation of Korean wave and the application of enterprise]. SERI CEO Information, 503. Retrieved September 28, 2011, from http://www.seri. 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2&pubkeydb20050601001 

  22. KOTRA. (2005). 2005 국가이미지 현황 및 시사점 [2005 The present condition and its implications of national image]. KOTRA. Retrieved September 28, 2011, from http://www. globalwindow.org/wps/portal/gw2/kcxml/04_Sj9SPykssy0 xPLMnMz0vM0Y_QjzKLd423CDQASYGZAR76kehiXi YIsSB9b31fj_zcVP0A_YLc0IhyR0dFAHPA0Kw!/delta/ base64xml/L3dJdyEvd0ZNQUFzQUMvNElVRS82X0Vf OE1N?11&workdistread&id991 

  23. Lee, C. H. (2009).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Hanryu on the perception on Korean national brand image, corporations and products/serv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24. Lee, O. Y. (2006). The impact on country image and product evaluation caused by Korean wave in China.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0(2), 107-136. 

  25. Lim, J. W., Kim, J. I., Hong, S. T., & Lee, Y. J. (1998). 소비자 행동론: 이해와 마케팅에의 전략적 활용 [Consumer behavior]. Seoul: Kyungmoon Publishers. 

  26. Lim, S. J., Shin, H. B., Kim, H. J., & Lee, H. M. (2001). 패션 마케팅과 소비자 행동 [Fashio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eoul: Kyomunsa. 

  27. Liu, J. (2005). A study on Korean wave influences on national image of Korea, Korean corporate image and the purchase intention: With focus on Korean TV dram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8. Liu, X. (2008). A study on the affinity differences toward Korean wave based on Chinese new generation's life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9. Min, M. S., Seo, T. Y., & Boo, S. J. (2010). The effect of globalization factors of traditional liquor on Korea national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toward traditional liquor.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2(2), 28-46. 

  30. Nagashima, A.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 S. attitudes towards foreign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34(1), 68-74. 

  31. Pak, S. H. (2002). Market-revitalization of cultural goods-Based on the cultural goods in arts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2. Park, H. W., & Zhang, C. J. (2005).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Chinese women based on experience in purchasing Korean clothing for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3/4), 547-560. 

  33. Ree, H. Y., & Rhee, E. Y. (1989). A study on fashion leadership II-The characteristics among the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3(1), 67-77. 

  34.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ew York: The Free Press. 

  35. Rogers, E. M., & Shoemaker, F. F. (1971).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A cross-cultural approach (2nd ed.). New York: The Free Press. 

  36. Shin, J. H. (2005). 중국 내 韓流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Korean wave in China].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34, 221-244. 

  37. Sohn, H. S., Lim, S., & Wee, H. J. (2003). A study on the awareness about Korean fashion product of Chinese adult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1), 101-115. 

  38. Song, M. H., & Hwang, J. S. (2008).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on fashion products purchase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2), 179-189. 

  39. Sun, S. (2007). Influence of Korean wave on the national image, tourism, and product marketability of Korea-With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40. SYi, H. Y. (1989).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1. 2002 문화산업백서 [2002 A cultural industry white paper]. (200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September 28, 2011, from http://www.mcst.go.kr/web/data-Court/research/researchView.js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