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모든 실험은 생강나무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3+}$-EDTA/ $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세 분획의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Rose-bengal로 증감된 $^1O_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1{\sim}25{\mu}g/mL$)으로 증가하였다. $10{\mu}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tau}_{50}$은 36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에서 에틸아세티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생각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 obtusiloba Blume) extracts were investigated. 50 %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of L. obtusiloba Blume were used in experiment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두 번의 산화 반응 모두에 타이로시네이즈 효소가 관여하기 때문에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은 미백 효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20].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천연 항산화제가 이러한 산화 반응을 방지하여 멜라닌 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 생강나무의 항산화효과와 미백 연구는 일부 진행된 바 있으나[21-24], 피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ROS와 이것이 야기하는 손상들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ROS가 생성되는 Fe3+-EDTA/H2O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과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생강나무 연구에서는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주로 70 % 에텐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단편적인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 이외에도 다양한 ROS가 부가적으로 생성되면서 세포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단백질을 산화하면서 세포 용혈을 유도한다. 따라서 해당 실험을 통해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 과산화반응, 단백질 산화, 그리고 항산화제의 파괴 및 세포의 파괴 등을 알아볼 수 있다. 생강나무 추출물과 (+)-α-tocopherol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결과 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 파괴되는 데 걸리는 시간( τ 50)으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가 노화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기능성 화장품 산업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노화 방지와 미백 효능이라 할 수 있다. 피부가 노화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을 꼽을 수 있다[1]. 광 노화에 대한 여러 이론들 중 가장 유력한 이론은 자유 라디칼 설이다.
최근 기능성 화장품 산업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 최근 기능성 화장품 산업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노화 방지와 미백 효능이라 할 수 있다. 피부가 노화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을 꼽을 수 있다[1].
활성산소종이란 무엇인가? ROS란 높은 산화력을 갖는 산소 종으로 superoxide anion radical (O2⦁-),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t oxygen (1O2), hydroxyl radical ( ⦁ OH) 등과 이들이 불포화 지방산과 반응하면서 생성되는 peroxyl radical (ROO ⦁ ), alkoxyl radical (RO ⦁ ), hydroperoxide (ROOH)등이 포함된다[9,10]. ROS는 강력한 반응성으로 세포막을 이루고 있는 인지질을 산화시켜 세포를 파괴할뿐만 아니라, MMPs의 발현을 촉진시켜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를 분해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5), 874 (2007). 

  2. D. Harman,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Res., 275, 257 (1992). 

  3. B. T. Ashok and R. Ali, The aging paradox: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Experimental Gerontology, 34, 293 (1999). 

  4. A. P. Wickens, Ageing and the free radical theory, Respiration Physiology, 128, 379 (2001). 

  5. A. Klaus and H. Heribert, Reactive oxygen species: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signal transduction, Annu. Rev. Plant Biol., 55, 373 (2004). 

  6. D. J. Kang, S. H. Song, C. H. Kim, S. K. Lee, and C. B. Kang,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by anticancer agents in rat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J. Vet. Clin., 26(1), 8 (2009) 

  7. T. Florence, G. F. Beatriz, and K. Lester, Reactive oxygen species in pulmonary inflammation by ambient particulates, Free Radic. Biol. Med., 35(4), 327 (2003) 

  8. H. J. Jee, H. J. Kim, A. J. Kim, Y. S. Bae, S. S. Bae, and J. Yun, UV light induces premature senescence in Akt1-null mouse embryonic fibroblasts by increasing intracellular levels of RO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83, 358 (2009) 

  9. J. H. Michael and E. D. Frederick, An epigenetic perspective on the free radical theory of development, Free Radic. Biol. Med., 43, 1023 (2007). 

  10. L. C. Magdalena and Y. A. Tak,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s,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 749 (2010). 

  11. H. J. Lee, G. N. Lim, M. A. Park.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1), 63 (2011). 

  12. S. Y. Kim, D. H. Won, M. S. Lim,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Kor. J. Pharmacogn., 41(4), 264 (2010). 

  13. R. Kohen, Skin antioxidants: their role in aging and in oxidative stress - New approaches for their evaluation, Biomed. & Pharmacother., 53, 181 (1999). 

  14. S. Valentina, M. Soren, M. Britta, B. Sascha, B. Alexander, B. Jurgen, and J. Marina, Aging of different avian cultured cells: Lack of ROS-induced damage and quality control mechanisms, Mech. Ageing Dev., 131, 48 (2010). 

  15. T. F. Slater, Free 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Biochem. J., 222, 1 (1984). 

  16. S. I. Oh, Effect of melatonin on rat skeletal muscles of oophorectomized rat : oxidative stress and anti of oophorectomized rat :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Kor. J. Gerontol., 12, 1 (2002). 

  17. S. I. Kim, Y. J. Ahn, E. H. Kim,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and isolation of active ingredie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59 (2009). 

  18. H. Masaki,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s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 (1995). 

  19. C. H. Choi, D. H. Won, J. P. Hwang,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Juncus effusus 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3), 275 (2012). 

  20. J. C. Cho, H. S. Rho, Y. H. Joo, S. M. Ahn, D. H. Won, S. S Shin, Y. H. Park, K. D. Suh, and S. N. Park, The depigmenting activities of hydroxyl carboxamide derivatives containing hydrophobic moiety, Bull Korean Chem. Soc., 33(4), 1333 (2012). 

  21. C. Y. Bang, E. K. Won, K. W. Park, G. W. Lee, and S. Y. Chou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Yakhak Hoeji, 52(5) 355 (2008). 

  22. K. J. Park, S. H. Park, and J. K. Kim, Anti-wrinkle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4), 317 (2009). 

  23. S. H. Kim, J. H. Son, and S. H. Le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Kor. J. Pharmacogn., 40(3), 233 (2009). 

  24. Y. J. Le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Lindera obtusiloba, Ph. D. Dissertation, Woosuk Univ.,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