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식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분석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nce of Dasik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i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6, 2012년, pp.836 - 850  

양정은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이지현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최순아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정라나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dasik, pre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to compare their consumer acceptance in Korea. To accomplish this, descriptive analysis of eight samples prepared using two types of rice cake pow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식의 관능적 특성들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 소비자들의 기호도와 비교 분석하여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특성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 전통적으로 떡 고물로써 흑임자와 콩가루를 빈번하게 사용하는(Lee & Maeng 1987) 한국인 소비자들은 이를 이용한 다식에 대한 익숙한 정도가 높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이전 연구(Yang et al 2012)에서 시료에 대한 익숙한 정도가 높을수록 다시 먹을 의향과 추천의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ATA 결과에서 Bsesame와 Rbean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특성 중 익숙한 향미와 조직감이 포함되어 있었던 점도 이런 결과를 뒷받침해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묘사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8 종류의 다식 시료들의 관능적 특성들을 도출하였고, 20대 남녀 81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검사를 수행하여 소비자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1) Mean values with in the same row with the same alphabet superscript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 1) Mean values within the same row with the same alphabet superscripts do not differ significantly(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물가루로 만든 다식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식(茶食)은 여러 가지 곡식 및 열매를 가루로 내어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대로, 날로 먹을 수 없는 것을 호화시켜서 꿀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낸 전통 한과이다(Choi & Kim 2011). 다식의 종류는 주재료나 색에 따라 그 이름을 달리하는데, 그 종류로는 곡물가루로 만든 녹말다식, 진말다식, 쌀다식 등이 있고, 한약재 가루를 이용한 강분다식, 승검초다식, 갈분다식, 산약다식, 계강다식 등이 있으며, 견과류로 만든 밤다식, 대추다식, 잣다식 등이 있다. 또한 종실로 만든 흑임자다식, 콩다식, 진임다식이 있으며, 꽃가루로 만든 송화다식과 동물성 재료로 만든 건치다식, 육포다식, 광어다식 등 다양하다(Kang et al 2000, Yoon et al 2001).
다식이란? 다식(茶食)은 여러 가지 곡식 및 열매를 가루로 내어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대로, 날로 먹을 수 없는 것을 호화시켜서 꿀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낸 전통 한과이다(Choi & Kim 2011). 다식의 종류는 주재료나 색에 따라 그 이름을 달리하는데, 그 종류로는 곡물가루로 만든 녹말다식, 진말다식, 쌀다식 등이 있고, 한약재 가루를 이용한 강분다식, 승검초다식, 갈분다식, 산약다식, 계강다식 등이 있으며, 견과류로 만든 밤다식, 대추다식, 잣다식 등이 있다.
전통 한과 중 하나인 다식의 입지가 매우 줄어든 이유는? 다식은 고려시대 불교와 함께 융성한 음다풍습의 영향으로 국가적인 공식행사에서 이용되기 시작하였는데(Lee & Chung 1999, Oh SD 2011),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절식은 물론 제례, 혼례, 세배상, 궁중의 잔칫상에 이르기까지 후식으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Lee & Maeng 1987), 가정의 상비약으로 만들어 두었다가 가족들이 갑작스러운 병을 얻었을 때 쓰기도 했다(Yu TJ 1988). 하지만 최근 다양한 서양 쿠키 및 후식류의 유입으로 그 입지가 매우 줄어들었으며,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의 다식의 인지도나 그 이용률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Choi & Kim 2011). 그러나 다식은 영양학적 가치가 높고, 재료이용과 제조방법이 용이하여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전통식품이며(Kim HY 2007), 최근 연구자들 사이에서 전통식품의 세계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다식과 같은 전통 식품의 상품화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SJ, Kim EM, Lee EJ (2010) The principle of cookery. Baeksan, Seoul. p 59. 

  2. Ares G, Barreiro C, Deliza F, Gimenez A, Gambaro A (2010) Application of a check-all-that-apply question to the development of chocolate milk desserts. J Sens Stud 25: 67-86. 

  3. Chae K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rice dasik by the addition of Job's tears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7. 

  4. Choi BS, Kim H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rowroot dasik prepared with the arrowroot (Puerariae radix) pow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197-207. 

  5. Dooley L, Lee Y-S, Meullenet J-F (2010) The application of check-all-that-apply (CATA) consumer profiling to preference mapping. Food Sci Biotechnol 19: 349-360. 

  6. Drake MA, Yates MD, Gerard PD, Delahunty CM, Sheehan EM, Turnbull RP, Dodds TM (2005)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lexicons for descriptive analysis of cheddar cheese flavor in Ireland,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t Dairy J 15: 473-483. 

  7. Hong JH, Yoon EK, Chung SJ, Chung L, Cha SM, O'Mahony M, Vickers Z, Kim KO (2011)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bility of Bulgogi (Korean traditional barbecued beef). J Food Sci 76: S306-S313. 

  8. Jaeger SR, Andani Z, Wakeling IN, MacFie HJH (1998) Consumer preferences for fresh and aged appl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Food Qual Pref 9: 355-366. 

  9. Jo SE, Choi SK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dasik made with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 308-321. 

  10. Jung HS, Shin MJ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328-338. 

  11. Kang IH, Cho HJ, Lee CJ, Lee HJ, Cho SH, Kim HY, Kim JT (2000) An overall view of the Korean foods. Hanrim, Seoul. pp 293-389. 

  12. Kang JH, Kim JE (2009) Characteristics of dasik prepared with added sanghwang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27-233. 

  13. Kim HH (2002)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preferences of Korean cookies of Housewives in Daegu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80-288. 

  14. Kim HJ, Chun HS, Kim HY (2004) Effects of corn syrup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on quality attributes of black sesame dasik, a Korean traditional snack. J Korean soc Food Sci & Nutr 33: 1414-1417. 

  15. Kim HY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2: 609-614. 

  16. Kim JO, Choi CR, Shin MS, Kim SK, Lee SK, Kim WS (1996) Effect of water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aging of rice 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52-557. 

  17. Kim JS, Jeong JW, Jeong YK (2005b) The study of perception and preferences on dasik of the old people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1: 138-150. 

  18. Kim JS, Park HJ, Jeong YK (2005a) The effect of perceptive trend on preferences of dasik choice factors. Foodservice Ind J 1: 9-23. 

  19. Kim NM, Lee JS, Lee BH (1999) Effect of $\beta$ -amylase and transglucosidase on the qualities of red ginseng extract. J Ginseng Res 23: 93-98. 

  20. Kim SJ, Yoon HN, Rhee JS (2000) The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s on the formation o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seed oil. J Am Oil Chem Soc 77: 451-456. 

  21. King SC, Meiselman HL (2010)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consumer emotions associated with foods. Food Qual Pref 21: 168-177. 

  22.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 55-69. 

  23. Lee CH, Maeng YS, Ahn HS (1987)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 71-79. 

  24.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ulinary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 395-403. 

  25. Lee JH, Kwon OC, Jo HY (2003) The principles of cooking. Kimoonsa, Seoul. pp 188-189. 

  26. Lee KA, Bae HJ (2006) The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the US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1: 351-356. 

  27. Lee YS, Owens CM, Meullenet JF (2008)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boneless skinless broiler breast meat. J Food Sci 73: S253-S261. 

  28. Meilgaard M, Civille GV, Carr BT (1999)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pp 140-142. 

  29. Oh SD (2011)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26: 39-52. 

  30. Song CR, Kim HA, Kim YS, Kim ES, Choi S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different sweeten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 197-205. 

  31. Yang JE, Chung SJ, Kim HR, Kim KO, Chung L (2012)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nce of cooked spinach(Sigeumchinamul) according to blanching time. J East Asian Soc Die tary Life 22: 190-198. 

  32. Yeh LL, Kim KO, Chompreedan P, Rimkeeree H, Yau NJN, Lundahl DS (1998) Comparison in use of the 9-point hedonic scale between Americans, Chinese, Koreans and Thai. Food Qual Pref 9: 413-419. 

  33. Yoon SJ, Noh KS (2009) The effect of lotus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5-30. 

  34. Yoon SJ, Son JW, Jeong JH, Shin AS, Hong JS, Lee JS, Myeong SO (2001) Korean rice cake, cookies, and drinks. Jigu publishing, Paju. pp 236-239. 

  35. Yu TJ (1988) Sickpumbogam. Moonwoondang, Seoul. p 320. 

  36. Yun GY, Kim MA (2006) The effect of red ginseng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ulture 21: 325-3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