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eurotus ostreatus을 배양한 밀 분말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de with Flour of Wheat Cultured with Pleurotus ostreatu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6, 2012년, pp.879 - 885  

김한섭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학부 식품공학전공) ,  정현채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학부 식품공학전공) ,  배종호 (대구미래대학 제과데코레이션과) ,  한기동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학부 식품공학전공)

초록

밀에 대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특성 및 균사체 배양밀가루를 첨가한 제빵 적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기 위해서는 온수를 이용한 침지가 냉수보다 유용하였으며, 균사체가 배양된 밀은 통밀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성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균사체배양 밀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무게, 부피 및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Crust와 crumb의 색도는 균사체 배양 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 평가결과, 향과 맛 그리고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균사체 배양 밀가루 5%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균사체 배양 밀가루를 실제 제빵에 이용할 경우 5% 미만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제빵 제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균사체 배양 밀가루의 식품소재로의 이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de with flour of wheat cultured with Pleurotus ostreatus(POW). The property of the wheat used for the solid-state cultivation of the Pleurotus ostreatus was examined. The hydration time of wheat with cold water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의 단독 이용에서 벗어나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다양 하게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버섯 균사체를 빵에 응용하기 위하여, 밀가루의 주원료인 통밀에서 균사체 배양을 시도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균사체가 배양된 통밀을 사용한 식빵을 제조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Values with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자균의 배양 최적조건을 규명해야 하는 이유는?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버섯은 담자균과 자낭균 중 자실체를 형성하는 고등균류로서 풍부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고,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가지는 동시에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기능성 식품 중의 하나이지만(Kim & Han 1998), 이들 담자균은 생장 속도가 느려 배양기간이 길고 생장조건이 까다로우며, 버섯 균주에 따라서도 배양조건이 상이하여 이용에 제약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담자균의 배양 최적조건을 규명하여 균사의 활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생장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담자균 이용에 필수적이다.
느타리버섯은 주로 어느 시기 어떤 식물체에서 발생하는 균인가? ) Kummer)은 느타리속의 기준종이며, 한국, 동아시아, 유럽, 북미, 호주 등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버섯으로 종의 형태적 변이가 다양하며, 중간적인 종을 포함하여 생물학적으로 집합적인 종(species)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등의 고사목, 절주목 또는 그루터기에 군생하거나 다발로 발생하는 백색부후균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하는 식용버섯 중에 가장 생산량이 많은 버섯 중의 하나이다. 국내 주요 재배 버섯은 느타리, 팽이, 양송이, 그리고 영지를 포함한 약용버섯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국내 느타리버섯의 수출량과 수출액은 약간씩 증가되고 있지만 중국,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하면 국제 경쟁력이 약한 형편이다.
국내 주요 재배 버섯은 어떤 것이 있는가?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등의 고사목, 절주목 또는 그루터기에 군생하거나 다발로 발생하는 백색부후균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하는 식용버섯 중에 가장 생산량이 많은 버섯 중의 하나이다. 국내 주요 재배 버섯은 느타리, 팽이, 양송이, 그리고 영지를 포함한 약용버섯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국내 느타리버섯의 수출량과 수출액은 약간씩 증가되고 있지만 중국,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하면 국제 경쟁력이 약한 형편이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의 단독 이용에서 벗어나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다양 하게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성곤, 조남지, 김영호 (1999) 제과제빵과학. (주)비앤씨월드, 서울. pp 27-32. 

  2.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 Chihara G, Hamuro J, Maeda YY, Arai Y, Fukuoka F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Berk) Sing (an edible mushroom). Cancer Res. 30: 2776-2781. 

  4. Chung HC, Lee JT, Kwon OJ (2004)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G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01-1205. 

  5. Fukuda K, Uematsu T, Hamada A, Akiya S, Komatsr N, Okubo S (1975) The polysaccharide from Lampteromyces japonicas. Chem Pharm Bull 23: 1955-1959. 

  6. Hirase S, Nakai S, Akstsu T (1976) Structure studies on the antitumor active polysaccharides from Coriolus versicolor (Basidiomycetes).I. Fractionation with barium hydroxide. Yakugaku Zasshi 96: 419-424. 

  7. Jung IC (1996) Culture and utilization of Basidiomycetes. Ph 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pp 4-6. 

  8. Kim GH, Han HK (1998) The effect of mushroom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26-332. 

  9. Kim ND, Choi SG, Joo HK (1992)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enzyme activity of soybean by processing method.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5: 232-236. 

  10. Kim TM (2004)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eurotu seryngii and production of spongecakes. MS Thesis Kyungsang University, Jinju. pp 3-7. 

  11. Komatsu N, Olubo S, Kikumoto S, Kikmuro SG, Skai S (1969) Host mediated antitumor action of Schizophyllan, a glucan produced by Schizophyllum commune. Gann 60: 137-144. 

  12. Lee KH, Jeong H, Kim YI, Kim BK (1991)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constituents from Ganoderma lucidum IY005 by fermentation using industrial wastes. Korea J Mycol 19:161. 

  13. Lee MJ, Kyung KH, Chang HG (2004) Effect of mushroom (Lentinus tuberregium) powde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37. 

  14. Lee SB, Oh SH, Lee YK, Kim SD (2005) Characteristics of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using submerged culture broth of Fomitopsis pinicola mycelium. Korean J Food Preserv 12: 583-590. 

  15. Maleki M, Noseney RC, Mattern PJ (1980) Effects of loaf volume, moisture content and protein quality on the softness and staling rate of bread. Cereal Chem 57: 138-140. 

  16. Park HS, Choi KM, Han GD (2008)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40-646. 

  17. Play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2nd. Sosland publishing company. Kansas. pp 891-895. 

  18. Player EJ (1988)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2nd. Sosland publishing company. Kansas. p 588. 

  19. Pomeranz Y, Shogren MD, Finney KF, Bechi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20. Roh SH (2000) A study on baking white bread produc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mounts of mushroom powder adde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6: 281-289. 

  21. Toth JO, Luu B (1983) Triterpenes cytotoxiques de Ganoderma lucidum (Polyporacee). Tetrahedron Lett 24: 1081-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