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mended with Different Ratios of Deodeok (Condonopsis lanceolata) Root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5, 2012년, pp.667 - 676  

김옥선 (장안대학교 식품영양과)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  류혜숙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장의 맛과 향미를 향상시키고, 기능성을 추가한 건강 지향적 고추장을 제조하고자 더덕가루를 첨가하고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더덕가루를 고추장에 1%, 3%, 5%로 첨가하고 $30^{\circ}C$에서 보관하면서 2주 간격으로 재료의 일반성분, 수분함량, 산도, 염도,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DPPH 유리래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더덕가루의 수분함량은 3.61%였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은 각각 8.44%, 4.62% 및 8.85%였다. 초기 산도는 3.23~3.97%이며, 숙성 기간 동안 증가하여 대조군을 제외하고 저장 6주째 4.39~4.86%로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담금 초기 염도는 7.12~7.73%로 5% 첨가구가 7.12%로 가장 낮았으며, 숙성 기간동안 대조군에 비해 더덕분말 첨가구에서 염도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아미노태 질소는 274.0~333.1% 수준이었으며, 더덕가루첨가량이 많을수록함량이높았는데, 그 이유는 더덕가루의 조단백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숙성기간 동안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대조군을 제외한 1%, 3%, 5% 더덕분말 첨가구에서 6주째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리래디칼 소거작용의 경우 담금 초기 더덕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리래디칼 소거작용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p<0.05), 숙성 전 기간에 걸쳐 대조군에 비해 1%, 3%, 5% 더덕분말 첨가구의 유리래디칼 소거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chujang following the addition of deodeok (Condonopsis lanceolata) powder. To accomplish this, 1%, 3% and 5% deodeok powder was added to Kochujang and the samples were then incubated at $30^{\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덕의 이용적성을 확대하고 기능성 고추장 종류를 다양화하기 위해 더덕분말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하여 고추장의 숙성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고추장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을 우리나라에서 담그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라고 추정하는가? 고추장을 우리나라에서 담그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로 추정하고 있으며(Shin et al 2000), 증보산림경제(1765년)에서는 ‘콩으로 담근 말장(末醬)가루 한말에 고춧가루 세 홉, 찹쌀가루 한 되의 세 가지 맛을 취하여 좋은 청장으로 침장한 뒤 햇볕에 숙성시킨다’고 기록하고 있다(한 과한 1998). 최초로 지금과 비슷한 고추장 담금법을 기록한 것이며, 이 시기의 고추장은 막장과 같은 형태로 고추장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해 말린 생선이나 곤포 등을 첨가했다는 기록이 있다(Shin et al 2000).
고추장 매운맛 성분이 가진 효과는? 고추장은 간장과 된장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으며, 단맛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특유의 맛과 기호성을 가지고 있어 예부터 우리 나라 가정의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중요한 양념 중 하나로 전분의 당화로 생성된 유리당에 의한 단맛, 단백질로부터 생성된 유리아미노산에 의한 구수한 맛, 당을 발효하는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유기산에 의한 신맛, 고춧가루에 의한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의 조화로 여러 가지 맛을 내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Seo et al 2003, Jin et al 2007). 또한 고추장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은 식욕 증진 및 소화 촉진 작용뿐만 아니라(Lim et al 2006, Ham et al 2008), 조직의 글리코겐 저장량을 감소시켜 비만을 억제하는 능력이 뛰어나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성인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사삼이라고 불리는 더덕의 특유의 향기 성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신농본초경에서 더덕은 거담, 배농 편도선염, 진해약으로 효능이 있다는 기록이 있으며(Kim et al 2009, Park et al 2010), 약리작용으로는 거담, 강심, 면역 조절 및 항진균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Park et al 2007a). 더덕 특유의 향기 성분은 trans-2-he- xannal, cis-3-hexen-1-ol, trans-2-hexen-1-ol 등으로 독특한 향기와 맛으로 식욕을 촉진시키는 고급 식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Park et al 1989, Oh et al 2006, Kim et al 2008). 또한 더덕에는 다양한 종류의 폴리페놀 성분과 codonoposide라는 사포닌계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청지질 감소 효과, 면역 효과,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Whang et al 1994, Han & Cho 1997, Han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산림청 (2012) 2011 임산물 생산조사 산출결과. p 22. 

  2. 한복진, 한복려 (1998)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현암사, 서울. pp 148-149.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8-35. 

  4. An ML, Jeong DY, Hong SP, Song GS, Kim YS (2003)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 with mashroom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29-234. 

  5.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6.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pp 1199-1200. 

  7. Choi GC, Choi SK (2009)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dded with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rach 15: 73-85. 

  8. Choi JY, Lee TS, Noh BS (2000) Characteristic of va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 with meju and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35-1042. 

  9. Choi SK, Shin KE, Jung HA, Park ML (2010a) Quality characteristic of kochujang prepared with so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59-768. 

  10. Choi SK, Shin KE, Lee MS, Kim SH, Choi EH (2010b)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jujube gochujang.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rach 16: 264-276. 

  11. Chung SK, Kim YS, Lee DS (2005) Effects of vessel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ochujang. Korean J Food Rreserv 12: 292-298. 

  12.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 214-218. 

  13. Han EG, Cho SY (1997) Effects of Condonopo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1181-1186. 

  14.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1998) Effects of Condonoposis lance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Soc Food Sci Nutr 27: 940-944. 

  15. Hong CH, Choi KS, Lee HJ, Kwon DJ (2010) Effects of deodeok contents on the qualities of quick fermented doenjang type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57-763. 

  16. Im SI, Song SM (2010)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60-566. 

  17. Jeon ER, Jung LH (2011) Quality properties of kochujang added defatted rice bran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89-98. 

  18. Jeong YJ, Seo JH, Lee GD, Lee MH, Yoon SR (2000) Change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pple and persimmo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75-581. 

  19. Jin HS, Kim JB, Lee KJ (2007)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correlation to the taste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 Nutr 20: 363-368. 

  20. Kang MK, Song KB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with the addition of skipjack cooking broth as protein source. Korean J Food Preserv 13: 457-464. 

  21. Kim CA, Lee WK,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o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ndonopsis lance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22. Kim DH, Ahn BY, Park BH (2003) Effect of Lycium chinense frui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61-469. 

  23. Kim HJ, Lee JH (2009) Quality changes of Gochujang incorporated with strawberry puree during aging.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110-116. 

  24. Kim JY, Hwang SJ, Eun JB (2011)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with different amount of swee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8: 706-713. 

  25. Kim MS, Kim IW, Oh JA, Shin DH (1998)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24-933. 

  26. Kim MS, Kim IW, Oh JA, Shin DH (1999) Effect of different koji and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96-205. 

  27. Kim NY, Chae HS, Lee IS, Kim DS, Seo KT, Park SJ (2010)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27-1633. 

  28. Kim SS, Ha JH, Jeong MH, Ahn JH, Yoon WB, Park SJ, Seong DH, Lee HY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n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ndenopsis lanceolat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280-285. 

  29. Kim YS, Shin DB, Koo MS, Oh HI (1994)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89-392. 

  30. Lee EJ, Kim TH, Kim DR (2008)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tems promo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729-736. 

  31. Lee MJ, Lee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maesil (Prunus mume) extract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22-628. 

  32. Lee MS, Park ML, Jung HA, Choi S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jang dressh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maesil (Prunus mun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38-45. 

  33. Lee SJ, Hong SP, Choi SY (2007) A consumer study of gochujang produc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61-670. 

  34. Lim SI, Choi SY, Cho GH (2006) Microbiology/fermentation/ biotechnology: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79-784. 

  35. Na SE, Sei KS, Choi JH, Song GS, Choi DS (1997) Preparation of low salt and functional kochujang containing chitosan. Korean J Food Nutr 10: 193-200. 

  36. Oh HI, Park JM (1997) Change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66-1174. 

  37. Oh HI, Shon SH, Kim JM (2000) Change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aromycess rouxi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10-416. 

  38. Oh HS, Kim JH, Kim JH, Choi MY (2006)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Codonopsis lanceolata cultivated on a wile hill.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774-782. 

  39. Park JS, Cho SH, Na HS (2010) Properties of chengkukjang prepared with admixed medicinal herb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 343-350. 

  40. Park JY, Kim YH, Kwang JJ (1989)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 (Bentb et Hook). J Korean Agric Chem 32: 338-343. 

  41. Park SD, Lee GH, Lee YS, Kwon YK, Park JH, Chio SM, Shin SW (2007a) Comparison of immunomodualtory effects of water-extracted Adenophorae radix, Lriopis tuber, Dendroboii herba, Polygonati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414-424. 

  42.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7b) Changes of characteristic in kochujang fermentation with maesil powder or concentrate. Korean J Food Preserv 14: 378-384. 

  43. Seo JH, Jeong YJ, Suh C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Nutr 32: 513-518. 

  44. Shin DH, Ahn EY, Kim YS, Oh JY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containing horeseradish or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50-1357. 

  45.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2-156. 

  46.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Effect of red pepper variet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26: 1044-1050. 

  47.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Ryu CH (1999a)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by red ginseng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0-765. 

  48.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Ryu CH (1999b)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pumpkin-added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6-772. 

  49. Shin JH, Yang SM, Kang MJ, Sung NJ (2011) Quality changes of garlic added seasoning gochujang during storage. J Agriculture & Life Science 45: 115-123. 

  50. Sung JM, Kim OK, Ryu HS (2011) Change in enzyme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ratios of added deoduk (Condonopsis lanceolata) roo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50-1156. 

  51. Whang WK, Park KY, Chung SH, Oh IS, Kim IH (1994) Flavonoids from Condonposis lanceolata leaves. Korean J Phamacognition 26: 204-208. 

  52. Yang HT, Choi HJ (2005)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kochujang by addition of natural plan extracts. Korean J Food Food & Nutr 18: 225-228. 

  53. Yeum HS, Chun MS, Noh BS, Lee TS (1995)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addition of mixed fruit juice. J Nat Sci Inst Seoul Woman's Univ 6: 172-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