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
Effect of Sword Bean Chunggukjang Addition on Quality of Kochu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9, 2011년, pp.1292 - 1299  

장문익 (식품의약품안전청) ,  김재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김성조 (원광대학교 식품.환경학과) ,  백승화 (충북도립대학교 바이오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향상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이 풍부하다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청국장분말(SBC)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SBC 2, 5, 8 및 10%의 숙성기간 중 수분함량 변화는 대조고추장(SBC 0)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SBC 2, 5, 8 및 10의 담금 초기 염도는 SBC 첨가량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90일 숙성 후 염도도 숙성전후의 SBC 0과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SBC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SBC 첨가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미생물상은 호기성 세균의 경우 $5.42{\times}10^7{\sim}9.59{\times}10^7$ CFU/g 수준이었고, 효모의 경우 $1.14{\times}10^2{\sim}9.73{\times}10^2$ CFU/g이었다. 작두콩청국장 첨가 고추장과 대조고추장에서 검출된 Bacillus cereus 식중독 균은 $8.49{\times}10^2{\sim}1.25{\times}10^3$ CFU/g 수준으로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는 6.95로 SBC 10이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작두콩청국장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은 일반메주로 제조한 고추장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고, 관능적으로 SBC 10의 품질이 SBC 0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made of sword bean chunggukjang. The effects of chunggukjang addition were compared in products fermented for 90 day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f kochujang, sword bean chunggukjang was added at 0, 2, 5, 8, and 10%.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작두콩의 다양한 기능성의 활용과 부가가치 제고 및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한국인의 사철 다소비식품인 고추장의 단백질원인 메주 사용량을 줄이는 대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작두콩청국장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향상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이 풍부하다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사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청국장분말(SBC)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SBC 2, 5, 8 및 10%의 숙성기간 중 수분함량 변화는 대조고추장(SBC 0)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두콩이란? ) DC.)은 칼콩, 넝쿨작두콩, 줄작두콩 등으로 불리는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현재 식품으로 사용하는 콩(흰콩, 검정콩, 완두콩, 강낭콩,밤콩 등) 가운데 제일 큰 품종으로 개화기는 6~7월, 결실기는 8~10월로, 이때 열매인 꼬투리가 맺고 늦가을에 익는다.열매는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일명 도두(刀豆)라 부르기도 한다.
작두콩 열매의 모양은? )은 칼콩, 넝쿨작두콩, 줄작두콩 등으로 불리는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현재 식품으로 사용하는 콩(흰콩, 검정콩, 완두콩, 강낭콩,밤콩 등) 가운데 제일 큰 품종으로 개화기는 6~7월, 결실기는 8~10월로, 이때 열매인 꼬투리가 맺고 늦가을에 익는다.열매는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일명 도두(刀豆)라 부르기도 한다. 작두콩 깍지의 길이는 10~30 cm 정도로 그 속에10~14개의 콩이 들어있다.
작두콩의 개화기는 언제인가? ) DC.)은 칼콩, 넝쿨작두콩, 줄작두콩 등으로 불리는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현재 식품으로 사용하는 콩(흰콩, 검정콩, 완두콩, 강낭콩,밤콩 등) 가운데 제일 큰 품종으로 개화기는 6~7월, 결실기는 8~10월로, 이때 열매인 꼬투리가 맺고 늦가을에 익는다.열매는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일명 도두(刀豆)라 부르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CM, Shin MG, Ahn DG, Lee KS. 1997. Great dictionary of Chinese medicinal plant. Jungdam Press, Seoul, Korea. p 1029-1032. 

  2. Lee SJ. 1994. Bonchogangmok. Eusungdang Press, Seoul, Korea. p 585. 

  3.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6. Food composition table. RDA, Suwon, Korea. p 324. 

  4. Lee YL, Kim SH, Choung NH,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 Agric Chem Soc 35: 202-209. 

  5. In JP, Lee SK, Ahn BK, Chung IM, Jang CH. 2002. Flavor improvement of Chungkookjang by addi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7-64. 

  6. Na SE, Seo KS, Choi JH, Song GS, Choi DS. 1997. Preparation of low salt and functional Kochujang containing chitosan. Korean J Food Nutr 10: 193-200. 

  7. Chung SH, Suh HJ, Choi YM, Noh DO, Bae SH. 1999. Enzym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of Monascus-Koji for the Kochujang production. Food Sci Biotechnol 8: 179-183. 

  8. Park KY, Kong KR, Jung KO, Rhee SH. 2001. Inhibitory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on the tumor formation and lung metastasis in mice. J Food Sci Nutr 6: 187-191. 

  9. Kim YS, Park YS, L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93-897. 

  10. Son BK, Huh YE, Kim JY, Noh GW, Lee SS. 2006. An evaluation of changes in the allergenicity of Kochujang upon preparation using aloe extract. Korean J Nutr 9: 317-322. 

  11. Koo BS, Seong SH, Kown DY, Sohn HS, Cha YS. 2008. Fermented Kochujang supplement shows anti-obesity effects by controlling lipid metabolism in C57BL/6J mice fed high fat diet. Food Sci Biotechnol 17: 336-342. 

  1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1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4. Ha SD. 1996. Evaluation of dryfilm method for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foods. J Microbiol Biotechn 24: 178-184. 

  15. KFDA. 2010. Food code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gun, Korea. p 10.3.40-41. 

  16. Lee CH, Chae KS, Lee SK, Park BS. 1982. Quality managements in food industry. Yoorim Munwha Press, Seoul, Korea. p 43. 

  17. Choi JY, Lee TS, Noh BS.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Meju and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31. 

  18. Kim DH, Kwon YM.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89-595. 

  19. Kwon DJ. 2004. Quality improvement of Kochujang using Cordyceps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1-85. 

  20. Kim YG, Shin DH, Jeong DY. 1999.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at Sunchang region.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0: 48-59. 

  21. Kwon YM, Kim DH. 2002. Effects of sea tangle and chitosa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77-985. 

  22. Lee KH, Lee MS, Park SO. 1976.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s influencing on Korea native Kochuzang (redpepper soybean paste) aging. J Kor Agric Chem Soc 19: 82-92. 

  23. Kim DH. 200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sub-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49-455. 

  24. Kim DH, Choi HJ.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prepared by Bacillus sp.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74-1181. 

  25.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49. 

  26. Kyung KH, Park SK, Yoo YJ. 1987. A new evaluation of browning reaction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mash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446-450. 

  27. Park SK, Kyung KH. 1986. Pigment-forming bacteria in the presence of L-tyrosine and their possible role in the browning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67-381. 

  28. Kim JO, Lee KH.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3: 641-646. 

  29.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88-594. 

  30.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31. Kim DH, Ahn BY, Park BH. 2003. Effect of Lycium chinense frui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61-469. 

  32. Oh HI, Park JM.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58-1165. 

  33. Jung YC, Choi WJ, Oh NS, Han MS. 1996.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asts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53-259. 

  34. KFDA. 2010. Food code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gun, Korea. p 2.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