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학교보건제도와 학교보건사업의 발달: 1945~2010년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System and Projects in Korea from 1945 to 2010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5 no.2, 2012년, pp.143 - 146  

장창곡 (동덕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academic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system and projects implemented in Korea since 1945.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nd reviewed literatures to find out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system and projects implemented in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넷째, 우리나라의 건강증진학교모형, 평가지표, 운영매뉴얼 개발을 통해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건강증진학교사업”의 기초이론을 제공하였다.
  • 둘째, 1960년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를 「학교보건관리기」로 규정하였다. 이 시기는 1967년 “학교보건법”과 1968년 “학교보건법시행령”이 제정되어 학교보건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지원을 하는 학교보건정책과 학교보건사업을 시행하였다.
  • 또한 우리나라의 건강증진학교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교과부 및 시도교육청 공무원과 시범학교의 교장 및 담당교사를 인솔하여 홍콩, 필리핀 및 싱가포르의 건강증진학교를 견학하고, 마닐라에 있는 WHO서태평약 지역사무소를 방문하여 건강증진학교에 대한 워크샵을 실시하였다.
  • 셋째, 2000년 이후 현재까지를 「학교보건혁신기」로 규정하였다. 이 시기는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되면서 학교에 건강증진개념이 도입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기존 학교보건사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인 건강증진모델학교 정책을 시행하였다.
  • 1945년 이후 우리나라의 학교보건제도와 사업은 학교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학교인구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부의 학교보건정책에 의해 시행되어 왔다. 우리나라 학교보건의 발달단계에 대한 역사적 및 체계적인 구분은 학자마다 견해가 다를 수 있으나 본인은 1945년 이후 2010년까지 우리나라의 학교보건 발달과정을 학교보건정책적 측면에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 첫째, 1945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를 「학교보건대응기」로 규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학회에서는 당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학교보건 문제를 주제로 선정하여 1988년 3월 제1회 이후 2012년 8월까지 총 40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07년 11월에는 “학교보건 변화를 위한 행동전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일본, 독일, 아이슬란드 5개국이 참가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2007년 일본 학교보건학회와의 학술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2008년 일본 나고야의 아이치교육대학에서 개최한 한일학교보건공동심포지엄에 참가하였다.
  • 본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는 2012년 6월말까지 25권 1호까지 발간되었으며, 2007년에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다. 학회에서는 당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학교보건 문제를 주제로 선정하여 1988년 3월 제1회 이후 2012년 8월까지 총 40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07년 11월에는 “학교보건 변화를 위한 행동전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일본, 독일, 아이슬란드 5개국이 참가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란 무엇인가? 학교는 성장하는 학생들이 지식을 습득하고 생활하는 중요한 생활터이다. 학교에서 학교보건에 대한 접근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교실이라는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 많은 아이들이 밀집되어 생활할 뿐 아니라 학교의 여러 가지 제도 및 환경이 아이들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고 있으며, 또한, 학교에서 실시하는 각종 학교보건사업을 통해 가족과 지역사회에 건강메시지를 전달하는 전략적 입구이기도 하기 때문에 어린 학생들의 건강생활습관의 증진과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1945년 이후 우리나라의 학교보건제도와 사업은 무엇에 의해 시행되어 왔는가? 1945년 이후 우리나라의 학교보건제도와 사업은 학교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학교인구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부의 학교보건정책에 의해 시행되어 왔다. 우리나라 학교보건의 발달단계에 대한 역사적 및 체계적인 구분은 학자마다 견해가 다를 수 있으나 본인은 1945년 이후 2010년까지 우리나라의 학교보건 발달과정을 학교보건정책적 측면에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세계의 학교보건의 발전과정에 대한 내용은 어떠한가? 학교보건의 내용은 1935년 미국 체육교육위원회의 보건교육분과에서 포괄적 학교보건 프로그램으로 제시한 「학교보건 교육」, 「학교보건서비스」 및 「건강한 학교환경」의 세 가지 기본요소가 최초이다. 이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1950년 학교보건증진을 위한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학교보건 서비스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육과 건강증진을 결합하기 위한 혁신적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1995년에는 학교를 통한 건강증진 역량강화를 위해 「Global School Health Initiative 」를 출범시켜 1980년대 중반이후 등장한 신공중보건학(New Public Health)의 개념을 학교에 도입하고 건강증진 학교모형을 개발하여 전세계에 보급하였다. 새로운 개념의 학교보건은 학교보건사업의 민주성, 포괄성, 형평성 및 참여를 강조하고 건강을 통해 더 나은 학교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