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Promoting School on School Climate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8 no.2, 2015년, pp.47 - 55  

박윤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health promoting schools (HPS) affect school climate. The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Korean HPS on school climate. Methods: The study examined 2,79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tudy on HPS effectiveness conducted by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목표 하에 2009년 도입된 우리나라 건강증진학교는 시범운영이 마무리됨에 따라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의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 및 성과 등을 반영하여 발전된 건강증진학교 제도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2014년 건강증진모델학교 효과평가 자료를 기초로 건강증진학교 참여 학교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 학교 학생간의 학교풍토 인식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건강증진학교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건강증진학교와 대조군 학교에 대한 학교풍토 비교를 통해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 둘째, 건강증진학교와 대조군 학교 간에 성별 ‧ 학교급별로 학교풍토에 차이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건강증진학교와 대조군 학교에 대한 학교풍토 비교를 통해 건강증진학교가 학교풍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 둘째, 건강증진학교와 대조군 학교 간에 성별 ‧ 학교급별로 학교풍토에 차이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풍토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학교풍토는 학생과 교직원의 학교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교규범, 목표, 가치관, 구성원 간 의 관계, 교수 및 학습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학생의 학교생활 뿐 만아니라 민주사회에서 필요한 사회적 성숙에도 영향을 미친다(National School Climate Council, 2015). 건강증진학교와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긍정적인 학교풍토를 가진 학교에서 건강증진활동이 보다 효과적이며, 건강증진학교는 긍정적 학교 풍토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쳐 학교풍토와 건강증진 간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Klein, Cornell, & Konold, 2012; Wells, Barlow, & Stewart-Brown, 2003).
학교풍토란? 학교풍토는 학생과 교직원의 학교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교규범, 목표, 가치관, 구성원 간 의 관계, 교수 및 학습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학생의 학교생활 뿐 만아니라 민주사회에서 필요한 사회적 성숙에도 영향을 미친다(National School Climate Council, 2015). 건강증진학교와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긍정적인 학교풍토를 가진 학교에서 건강증진활동이 보다 효과적이며, 건강증진학교는 긍정적 학교 풍토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쳐 학교풍토와 건강증진 간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Klein, Cornell, & Konold, 2012; Wells, Barlow, & Stewart-Brown, 2003).
WHO는 건강증진학교 운동을 범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는데 이는 어떠한 동향을 반영한 것인가? 이와 같이 학교교육에서 학교풍토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1900년대 후반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학교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동향을 반영하여 WHO는 건강증진학교 운동을 범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her, S. R., & Parker, J. G. (1989). Social competence in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Springer. 

  2. Blum, R., McNeely, C., & Reinhart, P. (2002). "Improving the odds: the untapped power of schools to improve the health of teens."(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Center for Adolescent Health and Development). 

  3. Bosworth, K., Ford, L., & Hernandaz, D. (2011). School climate factors contributing to student and faculty perceptions of safety in select arizona schools. Journal of School Health, 81(4), 194-201. 

  4. Brugman, D., Heymans, P. G.,Boom, J., Podolskij, A. I., Karabanova, O., & Idobaeva, O. (2003). Perception of moral atmosphere in school and norm transgressive behaviour in adolescents: An interven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7(4), 289-300. 

  5.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and Center for Information and Research on Civic Learning and Education. (2003). The Civic Mission of Schools.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6. Chang, C. G. (2012).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system and projects in Korea from 1945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2), 143-146. 

  7. Chang, C. G. (2014). New paradigm of school health: Health promoting school. Korea Public Health Researches, 40(4), 133-139. 

  8. Chang, C. G., Park, S. W., Hwang, J. H., Park, H. J., Kim, M. J., & Jung, H. S. (2015).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Health Promoting School and The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Program (CR2015-12).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Eccles, J. S., Midgefield, C., & Wigfield, A. (1993).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The impact of stage-environment fit on young adolescents' experiences in schools and in families. American Psychologist, 48(2), 90-101. 

  10. Haynes, N. M. (1996). Creating safe and caring school communities: Comer School Development Program schools. Journal of Negro Education, 65, 308-314. 

  11. Heal, K. H. (1978). "Misbehavior Among School Children: the Role of the School in Strategies for Prevention" in Policy and Politics, 6, 321-333; 

  12. Hernandez, T. J., & Seem, S. R. (2004). A safe school climate: A systemic approach and the school counsel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7(4), 256-262. 

  13. Kim, M. J. (2014). A systematic re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health promoting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7(3), 169-180. 

  14. Klein, J., Cornell, D., & Konold, T. (2012).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school climate, and student risk behaviors. Sep;27 (3):154-169. 

  15. Kuperminc, G. P., Leadbeater, B. J., & Blatt, S. J. (2001). School social climate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vulnerability to psychopatholog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9(2), 141-159. 

  16. Loukas, A. (2007). What Is School Climate? Leadership Compass 5(1), 1-3. 

  17. Lynagh, M., Schofield M. J., & Sanson-Fisher, R. W. (1997).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over the past decade: A review of the smoking, alcohol, and solar protection literatur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2, 43-60. 

  18. Manning, M. L., & Saddlemire, R. (1996). Developing a sense of community in secondary schools.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NASSP Bulletin, 80(584), 41-48. 

  19. McCabe, L., Cohen, J, & Pickeral, T. (2007). School climate: On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olicy. Submitted for Publication. 

  20. McEvoy, A., & Welker, R. (2000). Antisocial behavior, academic failure, and school climate: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8(3), 130-140. 

  21. McNeely, C. A., Nonnemaker, J. M., & Blum, R. W. (2002). Promoting school connectedness: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Journal of School Health, 72(4), 138-146. 

  22.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2004). Breaking ranks II: Strategies for leading high school reform. (Reston, VA: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23. National School Climate Center. (2015). School Climate. Retrieved June 21, 2015, from http://www.schoolclimate.org/climate/ 

  24. Osterman, K. (2000). "Students' Need for Belonging in the School Community," i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 323-367. 

  25. Park, Y. J. (2014).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ymons, C. W., Cinelli, B., Tammy, C. J., & Grof, P. (1997). Bridging student health risks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grams. Journal of School Health, 67(6), 220-227. 

  27.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safe and drug-free schools programs. Retrieved June 13, 2015, from http://www2.ed.gov/about/offices/list/osdfs/programs.html 

  28. Wells, J., Barlow, J., & Stewart-Brown, S. (2003). A systematic review of universal approaches to mental health promotion in schools. Health Education, 103(4), 197-220. 

  29. Welsh, W. (2000).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school disorder.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67, 88-107. 

  30. Zullig, K. J., Huebner, E. S., & Patton, J. M. (2011). Relationships among school climate domains and school satisfaction. Psychology in the Schools, 48(2), 133-1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