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1, 2012년, pp.6 - 15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송은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adults with hypertension.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 which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recrui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자가간호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한 후,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서,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요 인구사회학적 · 임상적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의 주요한 예측변인임을 보여주는 국내에서의 첫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도시지역 거주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이 고혈압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만성 질환자 간호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이 국내 고혈압 환자에게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고,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자가간호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9%로, 성인 4명 중 1명이 고혈압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 2008). 따라서,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정상혈압을 유지시킴으로써 표적 장기에 현저히 나타나는 합병증을 감소시켜 심·뇌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낮추는데 있으므로(Rosendorff et al., 2007; Seo, 2010), 처방받은 약물의 꾸준한 복용을 비롯하여 식이 및 운동요법 등의 자가 간호 이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실제로 국내 고혈압 환자들은 약물치료보다는 자가간호를 통한 점진적인 생활습관의 개선이 고혈압의 근본적인 치료에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믿으며(Lee & Jeon, 2008), 의료진들 사이에서도 생활습관의 개선을 포함하는 자가 간호의 중요성이 약물치료 못지않게 강조되어 왔다(Cho, 2009). 고혈압 환자들이 주로 실천하고 있는 자가간호로는 규칙적인 운동, 체중조절, 저염 식이, 절주, 스트레스 조절, 금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행 수준은 약 30% 미만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hn, 2007).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최근까지도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나(Choi et al.
고혈압 유병률의 특징은 무엇인가? 전세계적으로 고혈압의 유병률은 약 10-26%로 성인기 대상자들이 겪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심·뇌혈관 질환 발생뿐만 아니라 신장계의 합병증을 초래하는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평균 수명의 연장 및 생활습관의 변화와 더불어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Wang & Vasan, 2005). 국내의 경우, 최근 30세 이상 성인 중 고혈압 진단을 받은 비율은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2007). Compliance level with therapeutic regimen of medication and life style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 125-133. 

  2.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A., Gazmararian, J. A., & Huang, J.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 1503-1509. 

  3. Chew, L. D., Bradley, K. A., & Boyko, E. J. (2004).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ily Medicine, 36, 588-594. 

  4. Chew, L. D., Griffin, J. M., Partin, M. R., Noorbaloochi, S., Grill, J. P., Snyder, A., et al. (2008). Validation of screening questions for limited health literacy in a large VA outpatient populat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 561-565. 

  5. Cho, M. C. (2009). New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76, 409-415. 

  6. Cho, Y. I., Lee, S. Y., Arozullah, A. M., & Crittenden, K. S. (2008).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st the elderly. Social Science & Medicine, 66, 1809-1816. 

  7. Choi, Y. H., Nam, C. M., Joo, M. H., Moon, K. T., Shim, J. S., Kim, H. C., et al. (2003). Awareness, treatment, control, and related factors of hypertension in Gwacheon.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 263-270. 

  8. Cutler, J. A., Sorlie, P. D., Wolz, M., Thom, T., Fields, L. E., & Roccella, E. J. (2008).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in United States adults between 1988-1994 and 1999-2004. Hypertension, 52, 801-802. 

  9. Kim, J. E.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27-34. 

  10. Kim, S. H., & Lee, E.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95-203. 

  11. Kim, S. Y., & Suh, Y. O. (1997). Self care and influencing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 438-452. 

  12. Ko, I. S., Kim, G. S., Lim, M. H., Lee, K. J., Lee, T. W., Park, H. S., et al. (2007).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 134-14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December). 2007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fo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ssue Brief No. 11702).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4. Kripalani, S., Robertson, R., Love-Ghaffari, M. H., Henderson, L. E., Praska, J., Strawder, A., et al. (2007). Development of an illustrated medication schedule as a low-literacy patient education too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6, 368-377. 

  15. Lee, H. J. (2004). Effect of individual health education the medical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s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cl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18, 80-89. 

  16. Lee, H. S. Park, H. J., & Lee, S. J. (2003). A study on the adult literacy in Korea by OECD international adults literacy survey (IAL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30(3), 193-219. 

  17. Lee, S. A., & Park, M. H. (2010). A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 485-497. 

  18. Lee, S. G., & Jeon, S. Y. (2008).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lood pressure management from the patient's view point: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1, 255-264. 

  19. Lee, Y. W. (1994). A study of the effec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vinthal, B. R., Morrow, D. G., Tu, W., Wu, J., & Murray, M. D. (2008). Cognition and health literacy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 1172-1176. 

  21.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NIH publication No. 03-5233).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2. Paasche-Orlow, M. K., & Wolf, M. S. (2007). The causal pathways linking health literacy to health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1, 19-26. 

  23.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75-85. 

  24. Park, Y. I. (1994). An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Pignone, M., DeWalt, D. A., Sheridan, S., Berkman, N., & Lohr, K. N. (2005).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with low literac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 185-192. 

  26. Rosendorff, C., Black, H. R., Cannon, C. P., Gersh, B. J., Gore, J., Izzo, J. L. Jr., et al. (2007).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for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and the Councils on Clinical Cardiology and Epidemiology and Prevention. Circulation. 115, 2761-2788. 

  27. Seo, Y. M. (2010).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hypertensi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82-91. 

  28. Speros, C. (2005). Health literac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 633-640. 

  29. Wang, T. J., & Vasan, R. S. (2005). Epidemiology of uncontrolled hypertension in the United States. Circulation. 112, 1651-1662. 

  30. Yu, J. O., & Cho, Y. B. (2005). The effect of an internet communit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in worker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258-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