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수검의 결정요인 및 건강증진행위 변화 효과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2 no.1 = no.68, 2012년, pp.49 - 64  

여지영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정형선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mounting among the population as a result of its aging, the importance of health examination is being stressed in order to identify and manage diseases in the early stage. Health examination in Korea is divided largely into periodic health examination provid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검진 수검자와 민간검진 수검자를 모두 포함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고령화연구패널에 나타난 국가검진 수검자와 민간검진 수검자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건강검진유형별 수검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둘째, 고령화연구패널이 지닌 시계열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건강검진의 수검 여부에 따른 생활습관의 개선 또는 유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건강검진의 건강증진행위 변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 수검자와 건강검진 미수검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검진 수검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건강검진이 생활습관 개선 또는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검진의 건강증진행위 변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시설 정책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건축공간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살펴보고 연구한 것은? 교육시설 정책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건축공간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1960년대 이후 전개된 정책흐름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건축공간의 변화 추이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각 시기별 초등학교 평면분석을 토대로 배치유형, 단위공간, 블록플랜을 파악하고 영역별 점유면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건강증진 실천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이라고 한 이유는? 앞서의 연구결과는 과거에는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습관을 가지지 못했던 사람도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규칙적 운동과 식사습관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한다. 또한, 흡연을 하던 사람이 건강검진을 받으면 금연을 하고 금연 상태이던 사람은 건강검진을 받으면 금연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음도 확인한다. 즉,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건강증진 실천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이다.
1969년 제정된 학교시설기준령은 어떻게 변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가? 1969년 제정된 학교시설기준령은 법령 한글화를 위한 1차 개정을 시작으로 15차에 걸친 개정과정을 통해 보완작업이 이루어지던 가운데 1997년 9월 법령의 체계 및 내용의 대폭적인 개편을 위해 폐지하고 고등학교이하 각급 학교설립ㆍ운영규정을 제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성욱, 유창훈, 권영대. 민간검진 서비스의 이용 현황과 결정요인. 예방의학회지 2009; 42(3): 177-182. 

  2.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국가건강검진통계연보.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4. 김한숙.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이용자의 특성 비교를 통한 건강검진 정책 효율화 연구[박사학위 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5. 신연수, 박종연, 정상혁, 정혜영, 강혜영.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과 자비 건강검진 수검자간의 만족도 비교. 한국의료QA학회지 2006; 12(1): 40-51. 

  6. 윤영덕, 서수라, 김현철. 일반건강검진사업의 효과 평가.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7. 이상아, 최귀선, 황순영, 이지영, 박은철, 이경재 등. 한국인의 건강 검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표 및 건강관련요인에 대한 분석. 대한암예방학회지 2004; 9(3): 188-198. 

  8. 이상일, 조민우. 우리 나라 자궁경부암 조기발견 사업의 비용-효과 분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3; 3(1): 43-52. 

  9. 이애경, 한준태, 강임옥, 박일수, 강민아. 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의 실태 및 효과분석.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6. 

  10. 이애경, 이상이, 강임옥, 정백근, 한준태, 박일수 등. 건강검진 사후관리 서비스의 건강 증진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7; 24(1): 127-138. 

  11. 이애경, 고민정, 한준태, 오상우, 서순려.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사업의 평가 연구.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12. 이애경, 이상이, 윤태호, 정백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결과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관리사업의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 26 (3): 75-83. 

  13. 이정석.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 만족도 및 건강행태 변화-2차 건강검진 생활습관 평가 및 처방을 중심으로. 건강보장정책 2010; 8:80-101. 

  14. 임재영. 개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건강검진의 정보효과: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대발연구 2011; 33(1): 73-91. 

  15. 장숙랑, 조성일, 황승식, 정최경희, 임소영, 이지애 등.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의 불평등 추이. 예방의학회지 2007; 40(6): 505-511. 

  16. 전은정, 장숙랑, 조성일, 조영태, 문옥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건강검진 수검률의 차이: 서울시 성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예방의학회지 2007; 40(5): 345-350. 

  17. 정형선. 건강보험 보장성 지표 개발 연구.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18. 조비룡, 이철민. 우리나라 국가검진체계의 실상. 대한의사협회지 2011; 54(7): 666-669. 

  19. 천희란, 김일호. 노년기 예방검진에서 사회경제적 불평등. 대한예방의학회 2007; 40 (5): 404-410. 

  20. 최용준. 국가 건강검진 사업의 경제성 평가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춘천: 한림대학교; 2008. 

  21. Ashton HA, Buxton MJ, Day NE, Kim LG, Marteau TM, Scott RA, et al. The Multicentre Aneurysm Screening Study (MASS) into the effect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screening on mortality in me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2; 360: 1531-1539. 

  22. Broyles, R, Narine, L, Brandt, E, Biard-Holmes, D. Health risks, ability to pay, and the use of primary care: is the distribution of service effective and equitable?. Preventive Medicine 2000; 30: 453-462. 

  23. David H. Howard. Life expectancy and the value of early detectio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5; 24: 891-906. 

  24. Eastman RC, Javitt JC, Herman WH, Dasbach EJ, Zbrozek AS, Dong F, et al. Model of Complications of NIDDM: I. Model construction and assumptions. Diabetscare 2007; 20(5): 725-734. 

  25. Finkelstein, M. Preventive screening. What factors influence testing. Canadian Family Physician 2002; 48: 1494-1501. 

  26. Thomas J. Hoerger, Russell Harris, Katherine A. Hicks, Katrina Donahue, Stephen Sorensen, Michael Engelgau. Screening for type2 Diiabetes Melitus: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4; 140(9): 689-699. 

  27. Katz, S.; Hofer, T.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preventive care persist despite universal coverage,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Ontario and United States. JAMA 1994; 272: 530-534. 

  28. Lorant V, Boland B, Humblet P, Deliege, D. Equity in prevention and health care.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2; 56: 510-516. 

  29. Rohlfs, I, Borrel, C, Pasarin, I, Plasencia, A.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 preventive servic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9; 9: 278-284. 

  30. Sambamoorhti, U, McAlapine, D. Racial, ethnic, socioeconomic and access disparities in the use of preventive services among women. Preventive Medicine 2003; 37: 475-484. 

  31. Stephen Wu. Sickness and preventive medical behavior.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3; 22: 675-689. 

  32. Viera, A, Thorpe, J, Garrett, M. Effects of sex, age and visits on receipt of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a secondary analysis of national dat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6; 6: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