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연령 미혼여성의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Examination in Unmarried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1, 2014년, pp.92 - 104  

하주영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윤지향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영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현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 examination for unmarried women. Methods: A correlation study was carried out with 144 unmarried women with an age range of 35~49 years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is questionnaire included Health Belief Model modif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연령 미혼여성의 건강검진 수검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고연령 미혼여성의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여성의 미혼과 만혼이 증가하는 반면 관련 건강검진 수검율은 낮고 그에 따른 여성 생식기 관련 암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종합 건강검진과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검진율을 확인하고 수검 관련 특성 및 영향요인을 살펴본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검진 관련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고연령 미혼여성의 건강검진 수검율을 높일 수 있는 중재와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토대로 건강검진 관련 태도나 행위 변화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생식기 건강관리가 취약한 고연령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수검 관련 특성을 인구 ‧ 사회적 요인, 구조적 요인, 행동계기 요인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건강검진 종류별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방암 검진에서는 연령, 민간의료보험, 동거인, 운동 변수가 나타났으며, 자궁경부암 검진에서는 연령, 민간의료보험, 성경험, 음주 변수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식건강관리에 취약한 만 35세 이상 49세 미만의 고연령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요인별로 건강검진 수검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사업을 통해 질병예방‧사망률 감소‧건강도모 및 의료비 감소를 위한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건강검진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건강검진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이학적 ‧ 진단 ‧ 병리 ‧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10],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건강 검진 ‧ 암검진 ‧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 영유아 건강검진으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다[3]. 그러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연도별 건강검진 수검률 변화추이가 1998년 남자 55.
2010년 기준 우리나라 미혼여성 비율은? 2010년 기준 우리나라 미혼여성은 ‘35~39세’ 29.1%, ‘45~49세’ 27.4%로 보고되었으며[1], 2013년 여성가족 패널조사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64세 이하 여성 7,658명 중 미혼이 10.5%를 차지하였고, 연령대로는 만 19세부터 39세가 89.
고연령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건감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생식기 건강관리가 취약한 고연령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수검 관련 특성을 인구 ‧ 사회적 요인, 구조적 요인, 행동계기 요인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건강검진 종류별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방암 검진에서는 연령, 민간의료보험, 동거인, 운동 변수가 나타났으며, 자궁경부암 검진에서는 연령, 민간의료보험, 성경험, 음주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검진율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고연령 미혼여성의 생식기 건강관리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Life cycle analysis of the main character and chang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3 September 2].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 leaseView.jsp?bbsSeq4&menuId31&nPage1&nttSeq211 11&searchKey&searchWord&sttsDataSeq 

  2. Joo JS, Moon YK, Kim YT, Song CS, Park GP, Son CG, et al.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2013 annual report.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3.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1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4.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research association. Womens health nursing. Seoul: Soomoonsa; 2012. 

  5. Lee IG. Unmarried women over the age of 35, you should becareful uterine myoma [Internet]. Seoul: The Euro Journal Eknews; 2014 February 1 [cited 2014 February 28]. Available from: http://www.eknews.net/xe/kr_politics/430927 

  6. Park SG. Unmarried women gynecology regular checkups, do not hesitant [Internet]. Seoul: The Asia Economy Daily; 2013 November 25 [cited 2014 February 28]. Available from: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 2013112510382690322 

  7. Lee YS.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for middle-aged men and women in Kore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2;35(2):103-131. 

  8. Choi DH. Breast cancer gene, BRCA1 and BRCA2. Journal of Breast Cancer Society. 2003;6(2):45-57. 

  9. Park SK, Kang D, Park S, Kang DY, Park B, Kim S, et al. The role of scientific evidence in the management of high-risk groups using genetic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3):266-274. 

  1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Framework act on health examination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0 [cited 2014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 105506#0000.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1. 

  1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13. Jang YE.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breast and cervix cancer screening in Korean women: Based on the 2005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0. 

  14. Smith RA, Cokkinides V, Brooks D, Saslow D, Brawley OW. Cancer screening in the United States, 2010: A review of current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and issues in cancer screening.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10;60(2):99-119. 

  15. Lee NR. Increasing by 15% each year with breast cancer, diagnosis is the most important [Internet]. Seoul: Xprotsnews; 2011 May 4 [cited 2014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 _view&entry_id166175. 

  16. Kim YA. Cancer screening rates and their related facto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9. 

  17. Chamot E, Perneger TV. Misconceptions about efficacy of mammography screening: A public health dilemma.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2001;55(11):799-803. 

  18. Politi MC, Clark MA, Rogers ML, McGarry K, Sciamanna CN.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and cancer screening among unmarried woma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8; 73(2):251-255. 

  19. 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Company; 1996. 

  20. Kim SH. Korea women's average age of menopause? '48.8 years old' [Internet]. Seoul: Medicaltoday; 2013 August 12 [cited 2014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 html?no228194 

  21. Kim YT. General check-up of health condition by health insurance: Gender budget analysis 6.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9. 

  22.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behavior survey 2013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2013 [cited 2014 February 28]. Avaliable from: http://ncc.re.kr/pr/notice_view.jsp?hPageNumber3&hSelSearchall&selSearchall&txtKeyword& current_page3&nws_id1868 

  23. Kim JU. Relationship between middle aged women's cognitive- perceptual factors and examination for detection of cancer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06. 

  24. Yeo JY, Jenog HS.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12;22(1):49-64. 

  25. Kim RB, Park KS, Hong DY, Lee CH, Kim JR. Factor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intention in eligible persons fo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0;43(1):62-72. 

  26. Kim HJ, Lee JH.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iddle-aged or the old-aged Koreans' enrollment in private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2):683-693. 

  27. National Cancer Center. The first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guidelines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2001 [cited 2014 February 28]. Avaliable from: http://ncc.re.kr/pr/notice_view.jsp?hPageNumber98&hSel Searchall&selSearchall&txtKeyword& current_page98& nws_id35 

  28. USA National Cancer Institute. Cancer trends progress report -2007 update [Internet]. USA: USA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 [cited 2014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cancercontrolplanet.cancer.gov/atlas/ progressreport/alacarte/ 

  29. NHS Cancer Screening Programmes. Cancer screening annual review 2007 [Internet]. England: Public Health England; 2007 [cited 2014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www.cancerscreening.nhs.uk 

  30. Lee JG. "Come relax and women only" popular professional health clinic. The Kyunghyang Shinmun. 1992 March 18; Se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