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의 소비자로서 권리
The Rights of Patients as Consumers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2 no.3 = no.70, 2012년, pp.315 - 346  

권용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책실) ,  손상식 (헌법재판연구원) ,  임영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책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nd physician is legally equal relationship. But, in times past, patients be compelled to sign an unequal contract, substantially. Because of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the health care market. Toda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in the health 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소비자로서의 권리의 법적 투영은 어떻게 이루어진다고 보는가? 첫째, 소비자로서의 환자의 권리가 보건의료의 중추적인 법률인 의료법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는 보건의료법제에서도 소비자로서의 환자의 권리를 규정함으로서 의료공급자와 의료수요자 간의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의료분쟁에 있어서 환자를 소비자로서 취급함으로서, 의료분쟁해결에 있어서 환자의 권익을 높이려는 시도이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다시피, 이러한 의도를 의료법에 반영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한국소비자보호원에서 환자를 소비자로서 인정하여 일반적인 소비자 분쟁해결을 통하여 의사와 환자 간의 의료분쟁을 해결하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환자의 소비자로서의 권리의 원용에 의한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의한 분쟁해결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로서 환자의 권리가 의료사고피해구제 및의료분쟁조정등에관한법률이라는 특별법을 통하여 반영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무엇에 바탕을 둔 전통적인 관계로부터 탈피하고 있는가?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부권주의(medical paternalism)에 바탕을 둔 전통적인 관계로부터 탈피하고 있다(주호노, 2012). 물론 오늘날까지도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인권이 보호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볼 수 있는 견해도 있을 수 있지만, 환자와 의사간의 지위는 법적으로는 대등한 관계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의사와 환자와의 법적 관계에서 불평등할 수 있는 의료계약 당사자 간의 지위를 법을 통하여 수평적 관계로 관철시키기 위해 시행한 법은? 그리고 이러한 논리는 의사와 환자와의 법적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불평등할 수 있는 의료계약 당사자 간의 지위를 법을 통하여 수평적 관계로 관철시키려고 보건의료기본법·의료법·소비자기본법 등에서 환자의 권리강화 시도한 점에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민들의 권리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지속적인 의료분쟁의 증가 추이와도 무관하지 않다고 보여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2 : 541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4 : 572-577 

  3. 구병삭, 신헌법원론, 박영사, 1993 : 520-526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 407-695 

  5. 권오승, 경제법, 법문사, 2008 : 77 

  6. 권오승, 민법의 쟁점, 법원사, 1993 : 527 

  7.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0 : 368-737 

  8.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4 : 182 

  9.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 417 

  10. 이기수.유진희, 경제법, 세창출판사, 2004 : 382 

  11. 주호노, 의사법총론, 법문사, 2012 : 275-280 

  12. 추호경, 의료과오론, 육법사, 1992 : 66-76 

  13.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1998 : 193 

  1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4 : 245-337 

  15. 김강운,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의의, 법학연구 제20권, 한국법학회, 2005 : 169 

  16. 김민중, 의료사고책임, 로스쿨 채권법(불법행위편), 청림출판, 2007 : 58-60 

  17. 김지선, 허위.과장광고의 규제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3 : 29 

  18. 석희태, 의료계약의 법적 성질과 내용, 월간고시 제21권 제3호, 법지사, 1994. 2 : 18-19 

  19.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 고시연구 제290호, 고시연구사, 1998. 5 : 144 

  20.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연세행정논총 제7집,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1. 2 : 343 

  21. 양건, 헌법과 소비자보호, 공법연구 제10집, 한국공법연구, 1982 : 98-99 

  22. 윤명선, 소비자의 권리, 월간고시, 법지사, 1993. 9 : 76 

  23. 이부하, 공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권리의 보장, 경제기술법연구 제1집 제2권, 관동대학교 사헌경제기술법연구소, 1999 : 106-109 

  24. 이상돈.홍성수, 법사회학, 박영사, 2000 : 127 

  25. 이성환, 소비자보호법의 개정방향, 공법학연구 제6권 제1호, 공법학연구, 2005. 2 : 314 

  26. 이영규, 의료계약의 특질과 구조, 법학논총 제12집,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1995 : 2 

  27. 이영환, 의료와 인권, 법학연구 제32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1990. 12 : 78-82 

  28. 이준복, 소비자기본권 확립을 위한 헌법적 고찰, 세계헌법연구 제15권 제1호,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 291-294 

  29. 이창범, 소비자권리의 기본권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11호, 한국소비자보호원, 1993 : 94 

  30. 전현희, 의료현장에서의 환자의 인권문제, 인권과정의 제371호, 대한변호사협회, 2007. 7 : 166 

  31. 정극원, 헌법체계상 소비자권리의 보장, 공법연구 제31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03 : 284-294 

  32. 정미영, 의료분쟁조정법 제정 관련 동향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신설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동향 제9호, 한국소비자원, 2010. 2. 9 : 13 

  33. 정영철 외, 국내 e-Health 발전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248-249 

  34. 최병록, 우리나라 광고규제의 개선방안 -소비자보호측면에서-, 광고연구 제19호, 한국방송광고공사, 1993. 6 : 23 

  35.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실 거래조사팀, '비급여 진료비용 등 고지' 시행 실태 및 소비자 활용도 조사, 한국소비자원, 2011. 7 : 7-8 

  36. 한삼인, 설명의무론과 자기결정권의 법적 평가, 비교사법 제2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1995 : 260 

  37. 한상범, 헌법상의 경제질서와 소비자보호의 제문제, 공법연구 제5집, 한국공법학회, 1977 : 76 

  38. 홍성방, 한국헌법과 경제질서, 고시계 2003년 3월호. 고시계사, 2003. 2 : 15 

  39. 홍성방, 헌법과 경제질서, 서강법학연구 제5권.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5 : 52 

  40. 황만성, 의사와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 37 

  41. 헌재 1990. 09. 10. 선고 89헌마82. 

  42. 헌재 1991. 06. 03. 선고 89헌마204. 

  43. 헌재 1992. 04. 14. 선고 90헌마82. 

  44. 헌재 1992. 12. 24. 선고 92헌가8. 

  45. 헌재 1995. 07. 21. 선고 93헌가14. 

  46. 헌재 1995. 07. 21. 선고 94헌마136. 

  47. 헌재 1996. 10. 31. 선고 94헌가7. 

  48. 헌재 1996. 11. 28. 선고 95헌바1. 

  49. 헌재 1996. 12. 26. 선고 96헌가18. 

  50. 헌재 1997. 01. 16. 선고 90헌마110. 

  51. 헌재 1997. 04. 24. 선고 95헌바48. 

  52. 헌재 1998. 07. 16. 선고 96헌마246. 

  53. 헌재 2002. 10. 31. 선고 99헌바76, 2000헌마505(병합). 

  54. 헌재 2002. 12. 18. 선고 2001헌마370. 

  55. 헌재 2003. 07. 24. 선고 2001헌가25. 

  56. 헌재 2004. 06. 24. 선고 2002헌가27. 

  57. 헌재 2004. 08. 26. 선고 2003헌마457. 

  58. 헌재 2007. 08. 30. 선고 2006헌마417. 

  59. 헌재 2010. 03. 25. 선고 2009헌마170. 

  60. 헌재 2010. 07. 29. 선고 2008헌바108. 

  61. 대법원 1988. 12. 13. 선고 85다카1491 판결. 

  62. 대법원 1992. 05. 12. 선고 91다23707 판결. 

  63. 대법원 1994. 04. 15. 선고 93다60953 판결. 

  64. 대법원 1995. 01. 20. 선고 94다3421 판결. 

  65. 대법원 2002. 10. 25. 선고 2002다48443 판결. 

  66. 대법원 2007. 05. 31. 선고 2005다5867 판결. 

  67. 대법원 2009. 0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