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omoting Digital Healthcare in Korea through an Improved Regulatory System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5 no.1 = no.94, 2018년, pp.60 - 81  

박정원 (한국행정연구원) ,  심우현 (한국행정연구원) ,  이준석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건의료와 ICT가 결합된 형태인 디지털 헬스케어는 보건의료 패러다임을 진단 치료에서 예방 관리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경제 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이의 발전을 위해 관련 제반 기술 및 정보에 대한 합리적 법적 기준과 규제체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신문기사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쟁점과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을 도출하였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개선을 위해 특히 부처 간 협업구조의 구축, 부처의 전문역량 강화와 전문가 확보, 폭넓은 이해관계자의 참여 보장, 그리고 의료 정보의 처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을 중요하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care is on the verge of a paradigm shift towards an emphasis on wellbeing, integrative health, and prevention of disease, while the traditional medical model focuses solely on end-point treatmen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is change as digital techno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 주요국들은 다양한 기업들이 새롭게 생성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에서 원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어떠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는가? 해외 주요국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발전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와 서비스에 대한 ‘공급 경쟁력 확보 정책’과 수요창출을 위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최윤희·황원식, 2016: 26-27).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는 다양한 기업들이 새롭게 생성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에서 원활히 활동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승인 절차면제·간소화, 의료정보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 의료정보 보안 요구사항 완화 등 다양한 규제환경 개선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 촉진을 위해 기존 규제전략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핵심은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 촉진을 위해 기존 규제전략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핵심은 정부의 규제전략이 국민의 생명권·건강권 보장과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 촉진 간의 균형을 적절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혁신적 융·복합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여전히 의료기기·비의료기기 및 규제대상·비규제대상이라는 이분법적 논리에 근거한 사전적·명령지시적인 칸막이 규제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박정원·심우현, 2018).
미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미국은 보건후생성(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 산하의 독립행정기관인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관 간 협업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는 크게 앱과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디지털 의료기기 관련 규제인 ‘연방 식품·의약품·화장품 법(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FDCA)’과 의료·건강정보를 다루는 규제인 ‘의료보험이동성 및 책임성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및 ‘건강정보기술법(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HITECH)’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규판 (2016). 일본의 미래 신산업 창출과 국가전략특구. 일본 전문가 풀 발표자료.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동수.김민수 (2006). “e-Health 시대의 진전에 따른 의료정보보호 쟁점 및 정책 방향.” 정보화정책,13(4): 128-148. 

  3. 김동환.염흥열 (2017).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개선.”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4. 김상경 (2005).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15(2): 1-16. 

  5. 김유준 (2015). “독일의 헬스케어 시장 성장 지속 전망.” KOTRA 해외시장뉴스. 12월 18일. 

  6. 김재선 (2016).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미국 HIPAA/HITECH 연구를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44: 269-290. 

  7. 김태원 (2016).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과제. 서울:한국정보화진흥원. 

  8. 김한나.이얼.김계현.이정찬.이평수 (2013). 개인의료정보의 관리 및 보호방안. 서울: 의료정책연구소 

  9. 김혜련 (2016). "통계적 목적의 개인정보보호와 비식별화." 통계연구, 특별호: 35-51. 

  10. 박정원.심우현 (2018). 디지털 헬스케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규제 대응 과제와 논의. 이슈페이퍼 통권59호.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11. 박형주.김효정.정병선.김균장.이슬.이선영.조경민.이효준 (2016). 헬스케어로봇(의료기기 분야)연구의 타당성 분석.트렌드 분석.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 조사. 경남: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2.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해외 수출국 정보[독일]. 충북:식품의약품안전처. 

  13. 이난경.이종옥.황경태. (2014). “헬스케어 정보기술 분야의연구 프레임워크 및 연구동향”. 정보화정책, 21(3): 3-32. 

  14. 이만표.박순만.원세계 (2012). 의료기기 해외시장 Brief Vol. 5, 독일. 충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5. 이연희 (2015). "영국 보건복지정보센터의 역할과 전략." 보건복지포럼, 통권 224호: 84-29. 

  16. 이정현 (2015). “모바일 의료용 앱 규제에 대한 고찰.” Law & Technology, 11(1): 54-63. 

  17. 이현승.송지환 (2016). 개인정보 비식별화기술의 쟁점 연구. 경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18. 의료기기산업지원단 (2016). 일본(Japan) 의료기기 시장진출정보. 보건산업브리프 의료기기해외시장분석 Vol. 44. 충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9. 최윤희.황원식 (2016).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이슈페이퍼 2016-408. 세종: 산업연구원. 

  2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Mobile Medical Applications: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General Wellness: policy for low risk devices. Draft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2. Ritchie, J. & Lewis, J. (2003).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ers. Thousand Oaks, CA: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