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자본과 건강위해 행위 및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health risk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the elderly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2 no.4, 2012년, pp.497 - 521  

우경숙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서제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계수 (세명대학교 경영학과) ,  신영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health risk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the elderly. The data and Research metho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4th wave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4,087 household members aged 65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자본이 여러 경로를 통해 의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이라면, 그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정책 개입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전국 표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사회자본과 건강위해 행위, 그리고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한편,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건강증진 행위(운동 실천, 식습관 등)와 신체 기능 상태(일상생활 수행능력, 운동능력 등)는 한국복지패널 조사문항에 포함되지 않아 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한 횡단면적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그러나 주요 예측 변수인 소득, 가정 및 지역사회 내 사회자본, 건강위해 행위, 건강 수준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변수이기 때문에 향후 패널자료가 축적되면 시간에 따른 예측요인의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이 연구는 대표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전국표본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 자료인 ‘한국복지패널’은 ‘인구주택총조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이 추출된 대표성 높은 가구패널이다.
  •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자본, 건강위해 행위 그리고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그림 1). 의료서비스 유형별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것이라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입원서비스와 외래서비스로 구별하여 분석하였다(Penning, 2005; 이미진, 2009; 전해숙과 강상경, 2012).
  •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사회자본, 건강위해 행위 그리고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규명하고, 주요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입원서비스와 외래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만성질환으로 구성된 건강수준이었고, 이를 제외하고는 입원서비스와 외래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소 차이를 보였다.
  • 05이하로 기준치에 미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른 적합지수를 살펴보았다. 모형의 전체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GFI, AGFI, RMR, CFI, NFI의 적합지수로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지수들이 최적 모형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가설 설정

  • 성, 연령, 소득의 인구학적 변수는 매개변수와 내생변수들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공변량(possible covariates)으로서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실제 외생변수는 사회자본과 인구학적 변수로 설정하였으나, 이 연구에서의 주요 외생변수는 사회자본이기 때문에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에서는 사회자본 만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이 연구의 가설을 나타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른 영향은 무엇인가? 0%에 달해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통계청, 2010). 이와 같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들은 신체적·사회적·심리적 기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복합질환 및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조경순과 이현주, 2000; Rodrigues 등, 2008; 이미진, 2009; 김진구, 2011), 이로 인한 재정문제, 집단 간 이용 불균형과 같은 정책문제를 야기할 것이다.(Wallace 등, 2005; 김태면 등, 2006; 이미진, 2009).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 사회자본은 사람과의 관계, 특히 가족, 이웃, 학교 등의 공통 명칭이 적용되는 신뢰할만한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하는 자원을 의미하며(Bourdieu, 1986), 기능적 측면에서는 사화자본인 사회 관계망이 사회적 지지, 신뢰, 상호이해 등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Putnam, 2000). 이러한 사회자본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서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상호존중 제공, 지역사회 서비스와 시설에 대한 접근성 향상, 건강관련 행위 장려 및 건강위해 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리, 건강관련 정보 전달 등이 이에 해당한다(Kawachi 등, 1999).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나 건강증진 행위, 상병구조를 포함한 건강수준 등을 주요 영향 요인으로 제시하였다(조경환, 1997; 조경순과 이현주, 2000; 이후연 등, 2005; Wallace, 2005; 유은영과 윤치근, 2006; 김진구, 2008; Rodrigues 등, 2009; 강상경, 2010). 최근에는 의료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에 가족 및 사회관계적 특성과 같은 사회자본을 추가하여 설명하는 접근방식이 시도되고 있다(Laporte 등 2008; Perry,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상경.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 궤적 및 예측 요인: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62(3): 83-108. 

  2. 김계수.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데이터솔루션; 2005. 

  3. 김길용, 김은미, 배상수. 사회자본과 신체활동 행위변화 단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 26(1): 63-80. 

  4. 김미곤, 여유진, 이봉주, 손창균, 김계연, 김문길 등. 2006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5. 김선숙. 사회자본이 아동의 심리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6. 김준홍. 사회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한 정책의 근거 모색. 보건과사회과학 2010; 28: 61-90. 

  7. 김진구.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2008; 39: 273-302. 

  8. 김태면,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6; 23(3): 99-119. 

  9. 김혜경, 배상수. 도시지역 노인의 성에 따른 건강행위 및 관련요인의 차이. 보건행정학회지 2004; 14(2): 117-137. 

  10. 서지원.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2006; 44(10): 133-144. 

  11. 송예리아, 남은우. 사회자본 정도 및 건강행동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 보건교육 및 증진학회 2009; 26(3): 1-13. 

  12. 유은영, 윤치근. 농촌 노인 입원환자의 질병유형과 의료이용실태 분석: 군단위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06; 31(2): 41-53. 

  13. 이미숙.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009; 25: 5-32. 

  14. 이미진.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2009; 36: 201-233. 

  15.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 로. 사회과학연구 2009; 25(3): 25-42. 

  16. 이후연, 김성아, 이혜진, 정상혁. 노인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관계. 보건행정학회지 2005; 15(7): 70-83. 

  17. 임재영, 이태진, 배상수, 이기홍, 강경화, 황연희. 사회자본이 저소득층의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정책학회지 2010; 16(2): 131-180. 

  18. 임재영, 조창익. 한국 노인의 흡연 및 음주 행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08; 14(2): 73: 92. 

  19. 전해숙, 강상경. 연소노인과 고령노인간 의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의 연령차: 고령화 사회의 의료서비스에 주는 함의. 보건사회연구 2012; 32(1): 28-57. 

  20. 정민수, 조병희. 지역사회역량이 주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2006년 서울시 도봉구 주민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2007; 22: 153-182. 

  21. 조경순, 이현주. 일부지역사회 노인들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2000; 12(4): 641-653. 

  22. 조경환. 만성 퇴행성 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의료기관 이용 양상에 대한 연구 노인병학회지 1997; 1(1): 55-64. 

  23. 통계청. 보도자료. 장래가구추계 : 2010년-2035년. 2012년 4월 26일자 

  24.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 Available from : URL :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10&bbsINDX_001 

  25. Audrey L, Eric N, Leilei S, Aging,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Canada. Health Ecomics Policy and Law 2008; 3: 393-411. 

  26. Bakeera SK, Petzold M., Pariyo GW, Galea S, Tomson G and Wamala S.Community social capital and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in Uganda.Journal of Public Health and Epidemigolgy 2010; 2(8): 189-198. 

  27. Berkman L, Kawachi I. Soci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8.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G. Handbook of Theory and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stport Connecticut:Greenwood press; 1986. pp.241-258. 

  29. Carpiano RM.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nd adult health: an empirical test of a Bourdieu-based model. Health Place 2007; 13(3): 639-55. 

  30. Cooper H, Arber S, Fee L, Ginn J. The influence of support and social capital on health: a review and analysis of British data. London: HEA; 1999. 

  31. Deeg DJH, Kardaun JWPF, Fozard JL. Health Behavior and aging. pp 129-149 in Birren JE, Schaie KW.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96 

  32. Deri C. Social network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5; 24: 1076-1107. 

  33. Kang SH, Wallace NT, Hyun JK, Morris A, Coffman J, Bloom JR. Social networks and their relationship to mental health service use and expenditures among Medicaid Beneficiaries. Psychiatric Services 2007; 58: 689-695. 

  34. Kawachi I, kennedy BP, Glass R.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a contextual analysis. Am public Health 1999; 89: 1187-1193. 

  35. Korten AE, Jacomb PA, Jiao Z, Christensen H, Jorm AF, Henderson AS, Rodgers B. Predictors of GP service use: a community survey of an elderly Australian sampl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1998; 22(5): 609-615 

  36. Laporte A, Nauenberg E, Shen L. Aging,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utilization in Canada. Health Policy 2008; 103(1): 38-46. 

  37. Lee SY, Chen WL, Weiner BJ. Communities and hospital: social capital, community accountability, and service provision in U.S. communityhospitals. HSR 2004; 39(5): 1487-1508. 

  38. Macinko J, Starfield B. The utility of social capital in research on health determinants. The Mibank Quarterly 2001; 79: 387-427 

  39. Mohabbat M, Lindstrom M. Social capital, political trust self rated-health: a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ern Swede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8; 36: 28-34. 

  40. Nyqvist F, Gustavsson J, Gustafsony N.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the Oldest Old: The Umea 85+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Ageing and Later Life 2006; 1(1): 91-114. 

  41. Maulik PK, Eaton WW, Bradshw 체. The role of social network and support in menta l health service use: findings from the Baltimore ECA stuey. Psychira Ser 2009;69(9):1222-1229. 

  42. Penning MJ. Health, social support, and th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among older adul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 50(5): S330-339. 

  43. Perry M, Robert LW, Nina W, Howard W.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 experiences among low-income individual.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8; 98(2): 330-336. 

  44. Pilisuk M, Boylan R, Acredolo C. Social support, life stress events in use of mental health servic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88; 27: 1393-1400. 

  45. Poortinga W. Do health behavior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 Preventive Medicine 2006; 43(6): 488-493. 

  46. Putnam R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0. 

  47. Rodrigues MAP, Facchini LA, Piccini RX, Tomasi E, Thume E, Siveira DS, Siqueira FV, Paniz VMV, Use of primary acre services by elderly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Brazil. Rev Saude Publica 2008; 34(3): 316-319. 

  48. Silva MJ, Huttly SR, Harpham T, Kenward MG. Social capital and mental healt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ur low income countries. Social Science & Mdicine 2007; 64: 5-20. 

  49. Sohn M, Park CY, Cho WH, Hur YJ, Yi SW. A path analysis on prisoners' health behavior and Medical Utilization. Yonsei Med J 1997; 38(4): 220-232. 

  50. Stump TE, Johnson RJ, Wolinsky FD. Change in physician utilization over time among older adult. Journal of Gerontology 1995; 50B(1): 45-58. 

  51. Wallace ST, Gutierrez VF. Equity of access to health care for older adult in four major Latin American cities. Pan Am J Public Health 2005; 17(5/6): 394-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