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의 돌봄 욕구와 안녕감에 관한 연구 : 사회적가치지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 Needs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Using Elderly Care Service : Focus on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555 - 564  

김가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최성헌 (서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과 서비스 이용 노인의 안녕감을 평가하고, 돌봄 욕구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노인돌봄 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2019년 10월 기준 3개월 이상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이용한 노인 1,501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 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은 평균 90.93점이며, 돌봄 서비스 이용 노인의 안녕감은 71.29점으로 나타났다.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사회적가치지향성을 보다 높다고 인식한 집단에서 노인들의 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돌봄 서비스 중단 시 우려되는 점에 대해 "외로움", "고독사", "안전"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필요한 서비스로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돌봄서비스의 발전 방향 모색 및 노인돌봄 체계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care needs of elderly that elderly care services are identified and seeks future servic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desire survey. As of October 2019, 1,501 elderly living alone who used basic care services for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라, 노인돌봄 관련 서비스 중 가장 큰 규모로 제공된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이용자 중심으로 돌봄 욕구와 안녕감을 사회적가지지향성의 효과성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욕구 및 잠재적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성공적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라, 노인돌봄 관련 서비스 중 가장 큰 규모로 제공된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이용자 중심으로 돌봄 욕구와 안녕감을 사회적가지지향성의 효과성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욕구 및 잠재적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성공적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히 노인돌봄기본 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을 통한 이용자의 돌봄 욕구와 안녕감을 평가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욕구 및 잠재적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성공적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히 노인돌봄기본 서비스의 사회적가치지향성을 통한 이용자의 돌봄 욕구와 안녕감을 평가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독거노인의 돌봄 서비스의 큰 역할을 차지했던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평가함으로써,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의 비교평가 등을 통해 현행 정책 평가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통계청, 장례인구추계 : 2017~2047년, 2019.9. 

  2. 고령자통계연보, 보건복지부, 2019. 

  3. 보건복지부,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 안내, 2020. 

  4. 조미정, 재가 노인 요양서비스 기관의 시장지향성과 사회적가치지향성이 서비스의 품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리 및 비영리 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5. J. Defourny,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London: Routledge, 2001. 

  6. H. K. Anheier, Nonprofit Organizations: Theory, Management, Policy, New York: Routledge, 2005. 

  7. W. Van Dooren, G. Bouckaert, and J. Halligan,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New York: Routledge, 2010. 

  8. 지은구, "한국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 민족연구, Vol.51, pp.174-204, 2012. 

  9. 최조순,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0. 강만수, 박상규,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학생만족, 명성 및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Vol.29, No.1, pp.153-174, 2011. 

  11. 백미영, 한상린, "유통업체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Vol.8, No.2, pp.79-103, 2007. 

  12. W. B. Dodds and K. B. Monroe, "The effect of brand and price information on subjective product evaluations,"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Vol.12, No.1, pp.85-90, 1985. 

  13. 김용석, 이은영, 고경은, 민은희, "한국어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4, pp.83-109, 2007. 

  14. 박지영, 이연숙, 이동주, 장순순, "관찰 및 심층인터뷰를 통한 재가장애인의 주거실태 분석,"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00-100, 2014. 

  15. 이주영, 김영애, "장기요양서비스 노인 부양가족의 가족부담감, 가족 지지, 우울, 만족도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0, No.1, pp.41-48, 2009. 

  16. 문혜선,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임혜숙, 황희숙,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Vol.54, No.1, pp.237-261, 2011. 

  18. 이중섭, "빈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6, No.1, pp.79-105, 2019. 

  19. 지은구, 조성숙, 김민주, 사회서비스와 성과측정, 서울: 학지사, 2016. 

  20.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31, pp.117-124, 1981. 

  21. 김민숙, 김정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이 낙상관련 지식, 낙상관련 부담감 및 낙상예방 돌봄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pp.778-790, 2013. 

  22. 강미란, 정경숙, "일 병원 간호사의 노인돌봄태도와 노인간호실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pp.127-137,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