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1, 2012년, pp.68 - 75  

이창숙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연구소) ,  김유성

초록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서 우리나라 고사리삼과의 미기록 분류군,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숲고사리삼(Sceptridium atrovirens)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굵은 땅속줄기와 뿌리를 갖으며, 불규칙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작은 포자낭이삭을 갖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서식지의 특징을 고려하여 '숲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또한, 애기고사리삼(Sceptridium microphyllum)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작고, 영양엽의 우편이 빽빽한 잎몸, 겨울에 부분적으로 벽돌색을 띠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전체적으로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애기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이들 미기록 식물들의 계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 식물과 유연종들의 형태적 형질 27개를 분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형질에 대한 분류군의 기재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국산 고사리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unrecorded species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previously known only in Japan, were found in a forest in Dosun-dong, Seogwipo-si, Jeju-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 atrovirens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species of the genus Sceptridium in Korea by having the t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1. Photographs of Sceptridium atrovirense Sahashi, taken in Dosun-dong, Seogwipo-si, Jeju-do on 11 Oct. 2011. A.
  • 4. Sceptridium microphyllum Sahashi, taken in Dosun-dong, Seogwipo-si, Jeju-do on 1 Oct. 2011. A.

이론/모형

  • 01b (Swofford, 2002). For the maximum parsimony analysis, ACCTRAN character optimization, TBR branch swapping, with MULPARS and STEEPEST DESCENT, were employed. Bootstrap values (Felsenstein, 1985) were calculated from 100 replicate analysis using TBR branch swapping and the random stepwise addition of tax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rist, W. M. 1900. Warburg's Monsunia I, 55-94. 

  2. Clausen, R. T. 1938. A monograph of the Ophioglosaceae. Mem. Torrey Bot. Club 19: 1-777. 

  3.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4. Hauk, W. D, C. R. Parks and M. W. Chase. 2003. Phylogenetic studies of Ophioglossaceae: evidence from rbcL and trnL-F plastid DNA sequences and morphology. Mol. Phylogen. Evol. 28: 131-151. 

  5. Iwatsuki, K.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Tokyo (in Japanese). 

  6. Kato, M. 1960. A Synopsis of Sceptridium in Japan. Amer. Fern J. 50: 127-133. 

  7. Kato, M. 1987.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Ophioglossaceae. Gard. Bull. Sing. 40: 1-14. 

  8. Kato, M. 1995. Ophioglossaceae. In Flora of Japan, Vol. 1. Pteridophytes and gymnospermae. Iwatsuki, K. T. Yamasaki,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Tokyo. 

  9. Lee, B. Y., G. A. Levin and S. R. Downie. 2001. Relationships within the Spiny-Fruited Umbellifers (Scandiceae subtribes Daucinae and Torilidinae) as Assessed by Phylogenetic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Sys. Bot. 26: 622-642. 

  1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 Mun-sa, Seoul (in Korean). 

  11.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Publ. Co., Seoul (in Korean). 

  12. Lyon, H. L. 1905. A new genus of Ophioglossaceae. Bot. Gaz. 40: 455-458. 

  13. Makino, T. 1916. Botrychium nipponicum Makino. J. Jap. Bot. 1: 5. 

  14. Nishida, M. 1952. A new system of Ophioglossales. J. Jap. Bot. 27: 271-278. 

  15. Nishida, M. 1959. Identity of Botrychium nipponicum Makino. J. Jap. Bot. 34: 135-139. 

  16. Nishida, M. 1960. A Synopsis of Sceptridium in Japan. Amer. Fern J. 50: 127-133. 

  17.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 Inst., Washington, D. C. 

  18. Park, M. K.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inistry of Education, Seoul (in Korean). 

  19. Park, S. H., Y. M. Lee, J. C. Yang, D. G. Cho, G. H. Lee, C. S. Jang, H. J. Lee, H. J. Choi, S. S. Jung and J. H. Choi.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0. Sahashi, N. 1976. Spore morphology of the Japanese species of the Botrychiaceae. J. Jap. Bot. 51: 326-337. 

  21. Sahashi, N. 1979a.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3), Identidy of Scepteridium Lyon in the Izu Islands (1). J. Jap. Bot. 54: 241-247. 

  22. Sahashi, N. 1979b.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4), Identidy of Scepteridium Lyon in the Izu Islands (2). J. Jap. Bot. 54: 273-281. 

  23. Sahashi, N. 1981a.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5), Examination of Scepteridium microphyllum, a new species, and its related taxa. J. Jap. Bot. 56: 129-136. 

  24. Sahashi, N. 1981b.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6), Examination of Scepteridium daucifolium (1). J. Jap. Bot. 56: 339-347. 

  25. Sahashi, N. 1981c.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7), Examination of Scepteridium daucifolium (2). J. Jap. Bot. 56: 382-387. 

  26. Sahashi, N. 1983. Morphological and taxonomical studies on Ophioglossales in Japan and the adjacent regions (8), New taxa of Sceptridium in Isl. Oshima. The Izu Islands. J. Jap. Bot. 58: 240-247. 

  27. Shieh, W.-C. and C. E. Devol. 1994. Ophioglossaceae. In Flora of Taiwan. Vol. 1. Pteridophyta, Gymnospermae. Editorial Committee of the Flora of Taiwan, Taipei. 

  28. Sun, B.-Y., M. H. Kim, C. H. Kim and C.-W. Park. 2001. Mankyua (Ophioglossaceae):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n J. Pl. Taxon. 50: 1019-1024. 

  29. Sun, B.-Y. 2007. Ophioglossaceae. I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30. Sun, B.-Y., T. G. Back, Y. D. Kim and C. S. Kim. 2009. Pho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Korean J. Pl. Taxon. 39: 133-142. 

  31. Swofford, D. 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Ver. 4.0b.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32. Tagawa, M. 1940. Botrychium formosasum Tagawa. Acta Phytotax. Geobot. 9: 87. 

  33. Tagawa, M. 1959.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Pteridophyta.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34. Wagner, W. H. 1990. Ophiogloss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vol. 1.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Kramer, K. U. and P. S. Green (eds.). Springer-Verlag,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