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S 안정화를 위한 버스기반정보 GIS DB 품질 관리 방안 - 실시간 환승교통 종합정보 시스템을 사례로
Quality Control Scheme of GIS-based Bus Network for Stabilization of BIS - Focusing on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0 no.1, 2012년, pp.33 - 41  

주용진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함창학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스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버스 위치를 파악하여 정류장 안내기,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승객에게 버스운행 상황을 제공하는 도착 안내 정보 시스템이다. 신뢰성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정보 DB의 품질 관리를 통한 교통 정보의 질적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 기반정보 데이터의 각 절차 별 성과물의 데이터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내용으로 우선, 국토해양부 실시간 환승 교통 종합정보(TAGO : Transport Advice GOing anywhere) 시스템의 기반정보 DB를 사례로 버스 네트워크 DB를 구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논리적, 형상적 오류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항목별 검수 방법과 절차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고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버스 기반 정보의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품질확보가 가능 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 운영상의 오류 야기를 사전에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과 버스정보시스템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S is an arrival guidance system which is able to supply passengers with bus service condition via Kiosks at a bus stop, internet and mobile service through pinpointing bus location in real time. It is very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ffic information by quality control of GIS-based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 기반정보 데이터의 구축과정에서부터 완료 시까지 각 절차별 성과물의 데이터 품질 유지와 업무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공간정보 품질관리 현황 분석을 통해 실시간 환승교통 종합정보 시스템2)에 활용 가능하도록 버스 기반 정보 DB에 적합한 평가 항목을 유형화하고 검수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 논리검수는 데이터 입력 사양을 바탕으로 기반 정보 DB에 대한 논리적 오류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결과 자료의 객관성과 통일성을 확보하고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논리검수는 모든 기반 정보 DB에 대해 전수검수를 원칙으로 수행한다.
  • 노선은 운행 경로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상ㆍ하행을 반드시 고려하여 자료가 입력되어야 하며, 버스 노선의 기본단위인 대응 정류장 노드에 대해 위상 정보를 가지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선 기본 정보에 해당 노선 ID에 그래픽 방향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시점 정류장 ID와 종점 정류장 ID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수한다. 예를 들어, 그림 3과 같이 노드 S1(183000001)이 시점 정류장이 되며, S3(183000003)이 종점 정류장이 된다.
  • 각 자치단체 단위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버스 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신뢰도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정보 DB의 수집 및 품질 관리 체계 정립을 통한 교통 정보의 질적 향상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스 기반정보 데이터의 구축과정에서부터 완료 시까지 각 절차별 성과물의 데이터 품질 유지와 업무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셋째, 제시된 방안을 기반으로 논리 검수 부분에서 데이터의 논리적 완결성 여부를 그리고 형상검수에서는 취득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적용된 평가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ISO 19114에서는 ISO 19113 품질원칙에 맞게 디지털 형태의 지리 정보 데이터 세트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 경가 절차의 틀을 제공한다. 아울러 데이터 품질 평가결과를 데이터 품질 메타 데이터나 품질 보고서를 통해 보고하는 틀을 제시한다. 품질원칙을 표준화하더라도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그 품질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성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유지를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버스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버스 위치를 파악하여 정류장 안내기,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승객에게 버스운행 상황을 제공하는 도착 안내 정보 시스템이다. 신뢰성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정보 DB의 품질 관리를 통한 교통 정보의 질적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 기반정보 데이터의 각 절차 별 성과물의 데이터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TC211 위원회에서 담당하는 품질표준과 관련된 것은 무엇인가?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TC211 위원회에서는 지리정보와 관련된 표준을 담당하고 있다. 담당하는 표준중 품질표준과 관련된 것은 ISO 19113- Quality Principle, ISO 19114- Quality evaluation procedure, ISO 19115- Meta data가 있다(자동차부품연구원, 2007). 우선, ISO 19113에서는 지리자료의 품질원칙을 확립하고 품질정보의 구성요소를 명시한다.
버스정보시스템이란 무엇인가? 버스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버스 위치를 파악하여 정류장 안내기,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승객에게 버스운행 상황을 제공하는 도착 안내 정보 시스템이다. 신뢰성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정보 DB의 품질 관리를 통한 교통 정보의 질적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가칠오, 양성철, 김효중, 유기윤, 2008,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 도면을 활용한 수치지도 갱신 및 검수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 pp.262-263. 

  2. 국토해양부, 2007, 버스정보시스템의 기반정보 구축 및 관리요령(제2007-209호). 

  3. 국토해양부, 2008, 지능형교통체계 표준노드.링크구축 지침(국토해양부 고시 제 25호). 

  4. 한국교통연구원, 2010, 2009년 국가교통수요조사 및 DB구축사업 - 교통시설물조사.교통주제도구축. 

  5. 문학룡, 변상철, 유은수, 한 대철, 2008, 실시간 대중교통 종합 환승정보(TAGO) 구축 및 발전방향, 대한전기학회 제39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초록집, 대한전기학회, pp.275-275. 

  6. 방송통신위원회, 2008, 전파관리기반 GIS 품질관리체계 BRP 수립에 관한 연구. 

  7. 서창완, 최윤수, 김재명, 김영학, 김영길, 2009,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7권, 2호, pp.231-241. 

  8. 성현진, 최재성, 김상엽, 김명규, 2010, 버스정보시스템의 편익 산출과 평가에 관한연구, 한국도로학회 2010년도 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p.141-148. 

  9. 이현직, 2005, 지하시설물 DB의 유지관리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3D호, pp.477-487. 

  10. 자동차부품연구원, 2007, 차세대이동통신 국제표준화연구. 

  11. 정혜진, 2008, 정부간 관리(IGM)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 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의 구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pp.165-182. 

  12. 최병길, 이하준, 이원국, 김성수, 2007, 측량성과 품질관리 및 전자납품을 위한 관련규정 분석에 관한 연구,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GIS학회, pp.395-400. 

  13. 최병길, 안기덕, 신상호, 조광희, 2005, 공간데이터의 품질평가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2005 GIS / RS 공동춘계학술대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327-331. 

  14. 최정민, 주용진, 최애심, 2004, 분석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교통 주제도 품질확보방안,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2권, 3호, pp.61-76. 

  15. ISO TC 211 19113 Geographic information - Data Quality Principle 

  16. ISO TC211 19114 Geographic information - Data Quality Evaluation Methods 

  17. ISO TC211 19115 Geographic information - Meta Dat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