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6 no.1, 2012년, pp.109 - 135  

황혜정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과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본 연구자는 교사 지식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교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상황에 국면하게 되고, 교사 지식은 이러한 상황 모두에 요구되나, 실제의 수업 상황에서 모든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 평가 기준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평가,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일이다. 이에 따라,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e standards or elements of teaching evaluation,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has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earch such as : 1)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eaching evaluation between 2004 and 2006, and 2) investig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 Knowledge. The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본고에서는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선행 연구 결과(최승현 외, 2007; 최승현, 2008) 에 의거하여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하고자 하였다.
  •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이 연구에서 좋은 수업의 개념은 여러 문헌 연구 및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되었으며, 그 결과 범교과적 입장에 터하여 '학습자들이 재미를 느끼고,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 주며, 교사와 학습자 간의 충실한 상호 작용이 일어나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으로 좋은 수업을 정의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의 현안 문제를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좋은 수업의 조건을 모색하였다. 한 마디로, 수학 교과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징은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 학습 방법’, ‘학습자의 이해’, ‘평가’, ‘전문성 개발’의 측면에서 고려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정되었다.
  • 또한,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 2006년 연구의 수업 계획 요소는 2007년 연구에서의 모든 교사 지식 요소에 해당되며, 수업 실행 요소도 마찬가지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각각의 교사 지식 영역에 대한 평가 기준을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하여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고에서도 교사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를 주요 주제로 삼은 이유는 교사의 전문성이 교실 수업 살리기의 성패를 좌우하는 현 상황에서 공교육의 위상 강화와 교사 전문성 발달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수업 평가 및 개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보다 합리적, 효율적인 평가 기준의 마련이 절실히 필요함을 숙지하고 이를 실천해 보고자 함이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임찬빈 외, 2004, 2005, 2006)을 통해 마련된 평가 기준은 해당 내용이 다소 추상적이면서 이론에 기반을 둔 형식적 측면이 강하였고, 또한 너무나 상세한 평가 기준 및 관찰 지표의 마련 및 제시로 인하여 교사가 스스로 일부를 선택하여 수업 평가의 수준이나 정도의 진위 여부를 판가름하기란 쉽지 않은 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고의 연구를 통해 마련하고자 하는 수업 평가 기준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 제시된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의 연구에서 마련한 수업 평가틀에 맞춰, 수업 전(보유 및 계획), 수업 중 (실행), 수업 후(실행)의 상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서론에서도 이미 강조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본고에서는 본 연구자에 의해 마련된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재검토하여 수정 보완하되, 특히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의 평가 영역 및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셋째, 본 연구는 다소 추상적이면서도 자신과의 꾸준한 의지와 인내를 요하는 교사의 자기 성찰, 반성 활동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에 관한 바른 이해, 효율적인 시행, 그리고 안정적인 정착에로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예비 교사는 물론, 초임 교사, 경력 교사, 수업 개선이 필요한 현직 교사, 탁월한 수업 전문성을 지닌 교사 등과 같이 각 상황과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각각에 걸 맞는 수업 평가 관련의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 해당 연구의 이차년도인 2002년에는 이 연구에 참여한 각 교과별로 일차년도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 교육 내실화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좋은 수업’들을 찾는 데 주력하였다. 수학 교과의 경우,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이 여러 가지 현장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나름대로 잘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발굴 및 선정, 좋은 수업의 관찰과 분석, 좋은 수업의 특징 추출 및 동인 분석 등을 통하여 학교 교육 내실화의 실마리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좋은 수업의 개념은 여러 문헌 연구 및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되었으며, 그 결과 범교과적 입장에 터하여 '학습자들이 재미를 느끼고,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 주며, 교사와 학습자 간의 충실한 상호 작용이 일어나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으로 좋은 수업을 정의하였다.
  • 위의 선행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네 가지로 상정하고, 본 연구자는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 연구(조난심 외, 2001; 김주한 외, 2002; 임찬빈 외, 2004, 2005, 2006; 최승현, 2007; 최승현 외, 2008) 결과를 토대로, 교사 지식에 해당하는 네 가지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황혜정, 2010a, 2010b, 2010c, 2011a, 2011b).
  •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자는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수업 상황 지식, 교수·학습 및 평가 지식 각각에 대한 교사 지식을 중심으로 해당 지식에 관한 수업 평가 요소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또한 한편으로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2011, 9)를 수행한 바 있다.
  •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특히,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반영한 수학 수업의 평가 영역 및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사의 실천 지식은 무엇으로 둘 수 있는가? 이렇게 하여 수학과 PCK 개념을 단순히 내용과 교수법의 교차뿐만 아니라, 수학 교사가 교실 수업에서 나타내고 있는 교과 교사로서의 고유한 지식과 기능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한 마디로, 수학과 PCK는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로 내용, 학생, 상황 지식의 영향 하에 형성되지만, 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수학 교사의 실천 지식으로, 여기에는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을 둘 수 있다(최승현 외, 2007)
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선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는가? 이러한 취지를 살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학 교과를 비롯하여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즉 ‘교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반성)’의 네 개의 평가 기준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평가 요소 및 관찰 지표를 마련한 바 있다(임찬빈 외, 2004, 2005, 2006). 이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독려하기 위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뤄진 것이며, 또한 교사가 자기평가(self-assessment)를 통해 필요한 평가 영역 및 기준을 선택하여 스스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의 여지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부록 2의 평가 요소 참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전문성 시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취지를 살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학 교과를 비롯하여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즉 ‘교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반성)’의 네 개의 평가 기준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평가 요소 및 관찰 지표를 마련한 바 있다(임찬빈 외, 2004, 2005, 2006). 이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독려하기 위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뤄진 것이며, 또한 교사가 자기평가(self-assessment)를 통해 필요한 평가 영역 및 기준을 선택하여 스스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의 여지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주훈?이주섭?최승현?강대현?곽영순?유정애?양종모?최원윤?김영애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연구보고 RRC 2002-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임찬빈?이화진?곽영순?강대현?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연구보고 RRI 2004-5.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임찬빈?이화진?서지영?차우규 (2005).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 일반 기준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5-3.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임찬빈?이화진?최승현?오은순?이경언?이수정?노은희?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조난심 외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 - 학교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01-10.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조성민 (2006).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 : 고등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최승현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 2007-3-2.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최승현?강대현?곽영순?장경숙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 RRI 2008-2.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황혜정 (2010a).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10. 황혜정 (2010b).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3), 397-413. 

  11. 황혜정 (2010c).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69-594. 

  12. 황혜정 (2011a).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13. 황혜정 (2011b).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14. Ball, D. L., & McDiarmid, W. (1990). The Subject-Matter Preparation of Teachers. In W. R. Houston (Ed.), Handbook fo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 Macmillan. 

  15.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 Kluwer. 

  16.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17.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18.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0.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21. Smith, D. 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orwell, MA :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Stein, M. K., Baxter, J. A., & Leinhardt, G. (1990). Topic-matter knowledge and elementary instruction: A case from functions and graph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er, 27(4), 639-663. 

  23. Winsor, M. S. (200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s and its effect on lesson planning at the secondary leve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