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재입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Readmission of Home Ventilator-Assisted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1, 2012년, pp.9 - 18  

김미화 (서울대학병원)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박준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readmission of children with home ventilator care. Methods: To collect patient data,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of medical records of children admitted between June 1, 2007 and May 31, 2010 at one children's hospital loca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후 퇴원한 아동의 특성과 재입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의무기록 분석에 의한 후향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재입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정용 인공호흡기 아동의 첫 입원 특성, 질병의 특성과 재입원특성으로 나누어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재입원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갖는다.
  • 첫 입원 특성 중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성별, 거주지, 병원 후원, 조기분만, 출생 시 체중, 형제 유무, 영양 방법, 인공호흡기 장착 연령으로 구성하였다. 의무기록으로는 대상자의 경제적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워, 퇴원 시 병원에서의 대상 아동 후원 유무로 경제 수준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에 대한 재입원의 영향 요인을 탐색함으로 점차 증가할 만성호흡부전 아동의 재입원의 횟수와 기간의 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로 쓰이는 데 그 가치가 있다. 향후 가정용 인공호흡기 아동 간호제공자의 가정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교육요구분석과 함께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아동의 재입원 영향 요인을 통합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아동의 재입원 횟수와 기간을 줄여 주고, 가정에서 간호제공자가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을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들의 삶의 질을 높여 주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질병 특성요인 중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것은?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질병 특성요인으로는 신경근육 질환이 만성호흡부전의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였으나, 총재 입원기간이나 총재입원 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장착하게 된 만성호흡부전의 원인질환과 관계없이 심호흡계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총재입원 횟수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다(t=5.444, p=.
선행연구 결과가 가지는 한계점은? , 2011). 그러나 이 연구들은 대부분 특정 질병에 따른 재입원에 초점을 둔 것으로, 전체적인 가정용 인공호흡기 장착 아동의 재입원 영향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도입으로 인한 결과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신경근육 질환, 환기조절장애, 비정상적 기도, 만성 폐질환등 장기간 기계 환기를 필요로 하는 만성호흡부전 아동의 생존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도입은 치료를 위한 입원기간을 단축시키고, 가정으로의 빠른복귀를 가능케 하면서 가정에서 있는 시간을 길어지게 하였다(Criner, Kreimer, & Pidlacan, 1993; Sevick, Kamlet, Hoffman, & Rawson, 1996). 가정에서 인공호흡기 사용 시 작동 불능으로 인한 기계 환기의 실패는 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임상적 부작용도 아주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Kamm, Burger, Rimensberger, Knoblauch, & Hammer,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H. S. (2005). The Hong Chang-Ui Pediatrics (8th). Seoul: Dae Han textbook. 

  2. An, J. J., Lee, G. M., Sim, T. S., Im, C. M., Lee, S. D., Kim, U. S., et al. (2000). 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patients with home ventilator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49, 624-632. 

  3. Bach, J. R., Rajaraman, R., Ballanger, F., Tzeng, A. C., Ishikawa, Y., Kulessa, R., et al. (1998). Neuromuscular ventilatory insufficiency: Effect of home mechanical ventilator use oxygen therapy on pneumonia and hospitalization rate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77, 8-19. 

  4. Bertrand, P., Fehlmann, E., Lizama, M., Holmgren, N., Silva, M., & Sanchez, I. (2006). Home ventilatory assistance in Chilean children: 12 years' experience. Archvos de Bronconeumologia, 42, 165-170. 

  5. Boroughs, D., & Dougherty, J. A. (2009). Care of technology-dependent children in the home. Home Healthcare Nurse, 27, 37-42. 

  6. Chenoweth, C. E., Washer, L. L., Obeyesekera, K., Friedman, C., Brewer, K., Fugitt, G. E., et al. (2007).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home care setting.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 28, 910-915. 

  7. Criner, G. J., Kreimer, D. T., & Pidlacan, L. (1993). Patient outcome following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via tracheostomy.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47, 874. 

  8. Dosa, N. P., Boeing, N. M., Ms, N., & Kanter, R. K. (2001). Excess risk of severe acute illi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health conditions. Pediatrics, 107, 499-504. 

  9. Edwards, E. A., O'Toole, M., & Wallis, C. (2004). Sending children home on tracheostomy dependent ventilation: Pitfalls and outcome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9, 251-255. 

  10. Fagon, J. Y., Chastre, J., Domart, Y., Trouillet, J. L., Pierre, J., Darne, C., et al. (1989). Nosocomial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mechanical ventilation. Prospective analysis of 52 episodes with use of a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quantitative culture techniques.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39, 877-884. 

  11. Hammer, J. (2000).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children: Indications and practical aspects. Schweizerische medizinische Wochenschrift, 130, 1894-1902. 

  12. Hickling, K. G. (2002). Permissive hypercapnia. Respiratory Care Clinics of North America, 8, 155-169. 

  13. Horan, T. C., White, J. W., Jarvis, W. R., Emori, T. G., Culver, D. H., Munn, V. P., et al. (1986).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198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CDC Surveillance Summaries, 35, 17-29. 

  14. Jardine, E., & Wallis, C. (1998). Core guidelines for the discharge home of the child on long-term assisted ventilation in the United Kingdom: UK working party on paediatric long term ventilation. Thorax, 53, 762-767. 

  15. Kamm, M., Burger, R., Rimensberger, P., Knoblauch, A., & Hammer, J. (2001). Survey of children supported by long-term mechanical ventilation in Switzerland. Swiss Medical Weekly, 131, 261-266. 

  16. Kun, S. S., Davidson-Ward, S. L., Hulse, L. M., & Keens, T. G. (2010). How much do primary care givers know about tracheostomy and home ventilator emergency care? Pediatric Pulmonology, 45, 270-274. 

  17. Kun, S. S., Edwards, J. D., Davidson-Ward, S. L., & Keens, T. G. (2011). Hospital readmissions for newly discharged pediatric home mechanical ventilation patients. Pediatric Pulmonology, 2011 Sep 7. doi,10.1002/ppul.21536. 

  18. Kwon, J. H., Chung, Y. H., Lee, N. Y., Chung, E. H., Ahn, K. M., & Lee, S. I. (2008). An epidemiological study of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from 2002 to 2006 in Seoul, Korea.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8, 26-36. 

  19. Lee, E. A., Jeong, J. H., Yu, S. T., Lee, C. W., Yoon, H. S., Park, D. S., et al. (2004).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hospitalizati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in premature infa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7, 510-514. 

  20. Lewarski, J. S., & Gay, P. C. (2007). Current issues in home mechanical ventilation. Chest, 132, 671-676. 

  21. Melissa, G., Heather, T. K., & Susan, L. B. (2007). The population prevalence of children receiving invasive home ventilation in Utah. Pediatric Pulmonology, 42, 231-236. 

  22. Nowinski, A., Kaminski, D., Korzybski, D., Stoklosa, A., & Gorecka, D. (2011). The impact of comorbidities on the length of hospit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neumonologia i Alergologia Polska, 79, 388-396. 

  23. Ottonello, G., Ferrari, I., Pirroddi, I. M., Diana, M. C., Villa, G., Nahum, L., et al. (2007).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children: Retrospective survey of a pediatric population. Pediatrics International, 49, 801-805. 

  24. Park, J. S. (2004). Viral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Choongchung province in May 2001 through April 2004.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4, 366-376. 

  25. Racca, F., Berta, G., Sequi, M., Bignamini, E., Capello, E., Cutrera, R., et al. (2011). Long-term home ventilation of children in Italy: A national survey. Pediatric Pulmonology. 46, 566-572. 

  26. Reiter, K., Pernath, N., Pagel, P., Hiedi, S., Hoffmann, F., Schoen, C., et al. (2011). Risk factors for morbidity and mortality in pediatric home mechanical ventilation. Clinical Pediatrics, 50, 237-243. 

  27. Sa, K. Y., Jeong, H., Lee, B. H., Lee, Y. J., & Lee, G. U. (2004). Rehospitalization for respiratory illnes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4, 377-383. 

  28. Sevick, M. A., Kamlet, M. S., Hoffman, L. A., & Rawson, I. (1996). Economic cost of home based care for ventilator-assisted individuals. Chest, 109, 1597-1606. 

  29. Tearl, D. K., & Hertzog, J. H. (2007). Home discharge of technology-dependent children: Evaluation of a respiratory-therapist driven family education program. Respiratory Care, 52, 171-176. 

  30. Torres, A., Aznar, R., Gatell, J. M., Jimenez, P., Gonzalez, J., Ferrer, A., et al. (1990). Incidence, risk, and prognosis factors of nosocomial pneumonia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42, 523-5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