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의 섬망 발생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ediatric Delirium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03 - 111  

김효진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and to analyze associated risk facto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5 patients, newborn to 18 years, who were admitted to the PICU.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Richmond Agitation Sed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동을 대상으로 섬망 발생을 파악하고,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동의 섬망 발생 양상과 섬망 발생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동의 섬망 발생 양상을 CAPD를 사용하여 파악하고 섬망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특성을 비교하여 섬망 발생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의 섬망 발생 양상을 알아보고 섬망 발생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섬망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소아중환자가 섬망발생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는? 국외에서이루어진 연구의 경우 대상자가 입원한 소아중환자실에 부모와 자녀가 가능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도록 24시간 방문을 권장하고 있으며,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면회시간과 관련한 연구가 없는 것이라 생각된다. 국외의 경우 수유,목욕, 기저귀 교환과 같은 일에 보호자가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독려하고 있는 반면 국내 대부분의 중환자실의 경우 전문적 치료와 감염 예방을 위해 보호자의 면회시간을 제한하게 되어 아동은중환자실에 입원함으로써 낯선 환경에서 보호자와 분리되어 많은 불안감을 호소하게 된다[18]. 아동 간호에서는 가족을 기본 단위로생각하는 가족중심 간호가 강조되며 가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부모와 의료진 사이의 적절한 협력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28].
섬망은? 섬망(delirium)은 의식, 주의력, 사고, 언어 등에 대한 인지기능 전반에 대한 장애와 함께 기분 증상이나 정신병적 증상을 유발하는 이차성 정신질환으로 전형적으로 급격하게 발생하여 하루 중에도 증상의 기복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단일 질환이 아니라 여러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증후군이다[1].
섬망의 발현증상은? 이러한 섬망은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수면주기의 변화, 언어 및 사고장애, 주의력 변화, 망상, 환각 및 지각장애, 무관심, 불안, 우울, 흥분 등의 감정 변화로 다양하게 나타난다[1]. 소아의 섬망은 성인과 전반적으로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성인에 비해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기 기억력 저하, 수면장애, 지남력 장애, 불안감, 망상, 환각 등의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cited 2018 February 27]. Available from: 10.1176/appi.books.9780890425596 

  2. 2 Grover S Kate N Malhotra S Chakrabarti S Mattoo SK Avasthi A Symptom profile of delirium in children and adolescent-Does it differ from adults and elderl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12 34 6 626 632 10.1016/j.genhosppsych.2012.03.003 22516219 

  3. 3 Leentjens AF Schieveld JN Leonard M Lousberg R Verhey FR Meagher DJ A comparison of the phenomenology of pediatric, adult, and geriatric delirium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8 64 2 219 223 10.1016/j.jpsychores.2007.11.003 18222136 

  4. 4 Creten C Van Der Zwaan S Blankespoor RJ Leroy PL Schieveld JN Pediatric delirium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systematic review and an update on key issues and research questions Minerva Anestesiologica 2011 77 11 1099 1107 21617602 

  5. 5 Traube C Silver G Gerber LM Kaur S Mauer EA Kerson A Delirium and mortality in critically ill children: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pediatric delirium Critical Care Medicine 2017 45 5 891 898 10.1097/CCM.0000000000002324 28288026 

  6. 6 Brummel NE Vasilevskis EE Han JH Boehm L Pun BT Ely EW Implementing delirium screening in the ICU: Secrets to success Critical Care Medicine 2013 41 9 2196 2208 10.1097/CCM.0b013e31829a6f1e 23896832 

  7. 7 Salluh JI Wang H Schneider EB Nagaraja N Yenokyan G Damluji A Outcome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5 350 h2538 10.1136/bmj.h2538 26041151 

  8. 8 Barr J Fraser GL Puntillo K Ely EW Gélinas C Dasta J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013 41 1 263 306 10.1097/CCM.0b013e3182783b72 23269131 

  9. 9 Milbrandt EB Deppen S Harrison PL Shintani AK Speroff T Stiles RA Cost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2004 32 4 955 962 10.1097/01.CCM.0000119429.16055.92 15071384 

  10. 10 Dubois MJ Bergeron N Dumont M Dial S Skrobik Y Delirium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tudy of risk factors Intensive Care Medicine 2001 27 8 1297 1304 11511942 

  11. 11 Reade MC Finfer S Sedation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4 370 5 444 454 10.1056/NEJMra1208705 24476433 

  12. 12 Silver G Traube C Gerber LM Sun X Kearney J Patel A Pediatric delirium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 single-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 study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2015 16 4 303 309 10.1097/PCC.0000000000000356 25647240 

  13. 13 Traube C Silver G Kearney J Patel A Atkinson TM Yoon MJ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 A valid, rapid observational tool for screening delirium in the PICU Critical Care Medicine 2014 42 3 656 663 10.1097/CCM.0b013e3182a66b76 24145848 

  14. 14 Vlajkovic GP Sindjelic RP Emergence delirium in children: Many questions, few answers Anesthesia and Analgesia 2007 104 1 84 91 10.1213/01.ane.0000250914.91881.a8 17179249 

  15. 15 Grover S Malhotra S Bharadwaj R Bn S Kumar S Deliriu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2009 39 2 179 187 10.2190/PM.39.2.f 19860076 

  16. 16 Yoo JB Kim MJ Cho SH Shin YJ Kim NC The effects of pre-operative visual information and parental presence intervention on anxiety, delirium, and pain of post-operative pediatric patients in PAC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 42 3 333 341 10.4040/jkan.2012.42.3.333 22854545 

  17. 17 Lim EY An exploratory study of staff nurse's knowledge and experience of delirium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5 1 41 

  18. 18 James SR Ashwill JW Nursing care of children 3rd ed Song JH Cho GJ Park ES Park IS Kim MW Park HR Shin HS Seoul Hyunmoon 2009 5 442 

  19. 19 Sessler CN Gosnell MS Grap MJ Brophy GM O'Neal PV Keane KA The 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 166 10 1338 1344 10.1164/rccm.2107138 12421743 

  20. 20 Jeon K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4 86 5 546 556 10.3904/kjm.2014.86.5.546 

  21. 21 Smith HA Boyd J Fuchs DC Melvin K Berry P Shintani A Diagnosing delirium in critically ill childre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diatric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011 39 1 150 157 10.1097/CCM.0b013e3181feb489 20959783 

  22. 22 Park EJ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elirium in older adul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6 1 73 

  23. 23 Cho OH Yoo YS Choi JE Kim NH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 16 3 290 299 

  24. 24 Van Rompaey B Elseviers MM Schuurmans MJ Shortridge-Baggett LM Truijen S Bossaert L Risk factors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ical Care 2009 13 3 R77 10.1186/cc7892 19457226 

  25. 25 Strom T Martinussen T Toft P A protocol of no sedation for critically ill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 randomised trial Lancet 2010 375 9713 475 480 10.1016/S0140-6736(09)62072-9 20116842 

  26. 26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Pediatric neurology 2nd ed Paju Koonja 2013 

  27. 27 Kain ZN Caldwell-Andrews AA Mayes LC Weinberg ME Wang SM MacLaren JE Family-centered preparation for surgery improves perioperative outcomes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esiology 2007 106 1 65 74 10.1097/00000542-200701000-00013 17197846 

  28. 28 Marilyn J Hockenberry DW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9th ed Kim YH Kwon BS Kim SH Kim JM Son HM Ahn MS Seoul Hyunmoon 2014 

  29. 29 Ahn HS Shin HY Pediatrics 11th ed Seoul Mirae N 2016 

  30. 30 Yu MY Park JW Hyun MS Lee YJ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mong th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 14 1 151 1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