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Burdens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2, 2014년, pp.191 - 202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경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삼성서울병원 임상간호학연구소) ,  송종례 (아주대학교병원 가정간호사업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actual caregiving conditions of family caregivers who are caring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at home, and to clarify any factors affecting their burdens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희귀‧난치성질환자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간병실태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부담감과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형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가 경험하는 간병실태와 부담감 그리고 삶의 질의 정도를 알아보고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정형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간병실태와 부담감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호흡근육의 마비로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는 인공호흡기 관리를 포함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많은 것들을 숙지하고 잘 지켜야 하므로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이 매우 크고 이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 간병에 대한 부담감 및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가족간호자의 부담감 경감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적용하는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들은 간병 부담감이 크고 이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의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방문간호와 방문목욕까지 확대 적용된 이후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친 변화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시스템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질환은 주로 무엇인가?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하는 질환은 대부분 희귀 ‧ 난치성 질환으로 등록되는 신경근육계질환이며 대표질환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이다(Imaiso & Yamauchi, 2009). 희귀 ‧ 난치성 질환으로 등록되는 신경근육계질환은 전신적 진행성 근력위약을 특징으로 하고 질병이 진행되면서 결국에는 호흡근육의 마비로 폐포 저환기와 고탄산혈증이 발생되어 폐렴과 무기폐 등의 호흡기계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기계적 환기가 요구된다(ALS Association, 2010).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런 이유로 인하여 환자는 잦은 병원이용과 장기입원 등으로 많은 의료비용을 부담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작고 기능이 뛰어난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개발로 가정에서도 기계적 환기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가정에서의 인공호흡기 사용은 오작동이 많지 않고 부작용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Srinivasan et al., 1998), 환자들이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게 됨으로써 호흡기계 합병증 감소, 증상개선, 생존기간 증가, 삶의 질 향상과 같은 의료적 효과와 입원횟수의 감소에 따라 의료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 효과를 가져왔다(Domenech-Clar, Nauffal-Manzur, Perpina-Tordera, Compte-Torrero, & Macian-Gisbert, 2003; López-Campos et al., 2008).
신경근육계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하는 질환은 대부분 희귀 ‧ 난치성 질환으로 등록되는 신경근육계질환이며 대표질환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이다(Imaiso & Yamauchi, 2009). 희귀 ‧ 난치성 질환으로 등록되는 신경근육계질환은 전신적 진행성 근력위약을 특징으로 하고 질병이 진행되면서 결국에는 호흡근육의 마비로 폐포 저환기와 고탄산혈증이 발생되어 폐렴과 무기폐 등의 호흡기계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기계적 환기가 요구된다(ALS Associatio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S Association. (2010). For people with ALS and caregivers. Retrieved May, 23, 2013, from http://www.alsa.org/als-care 

  2. Chio, A., Calvo, A., Moglia, C., Gamna, F., Mattei, A., Mazzini, L., et al. (2012). Non invasive ventilation in ALS: 10 yr population based study. Journal of Neurology, Neuosurgery and Psychiatry, 83 (4), 377-381. 

  3. Choi, K. J., & Back, H. C. (2006).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3), 364-375. 

  4. Domenech-Clar, R., Nauffal-Manzur, D., Perpina-Tordera, M., Compte-Torrero, L., & Macian-Gisbert, V. (2003). Home mechanical ventilation for restrictive thoracic disease: Effectson patient quality-of life and hospitalizations. Respiratory Medicine, 97 (12), 1320-1327. 

  5. Douglas, S. L., & Daly, B. J. (2003). Caregivers of long-term ventilator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outcome. Chest, 123 (4), 1073-1081. 

  6. Eng, D. (2006). Management guidelines for motor neurons disease patients on non-invasive ventilation at home. Palliative Medicine, 20 (2), 69-79. 

  7. Evans, R., Catapano, M. A., Brooks, D., Goldstein, R. S., & Avendano, M. (2012). Family caregiver perspectives on caring for ventilator-assisted individuals at home. Canadian Respiratory Journal, 19 (6), 373-379. 

  8. Given, C. W., Given B., Stommel, M., Collins, C., King, S., & Franklin, S. (1992).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CRA) for caregivers to persons with chronic physical and mentalimpairments. Research Nursing Health, 15 (4), 271-283. 

  9. Han, J. H., & Park, Y. H. (2012). Caregiver'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male spouses with stroke wiv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6), 615-626. 

  10. Helpline of Rare Disease Center. (2013). 2013 Guideline of medical expenses support. Retrieved Jan, 10, 2013 from http://helpline.nih.go.kr/cdchelp/index.gst 

  11. Imaiso, J., & Yamauchi, T. (2009). Caregiver suctioning education for Japanese patients with an invasive home ventilator.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1 (4), 422-429. 

  12. Kaub-Wittemer, D., Steinbuchel, N. V., Wasner, M., Laier-Groeneveld, G., & Borasio, G. D. (2003).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issues in ventilated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their caregiver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6 (4), 890-896. 

  13. Kim, K. B., & Lee, K. H. (2001). The correlation among health statu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stroke patient's family and the elderly stroke patient's fami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 (4), 262-276. 

  14. Kim, M. S., Shin, H. I., Min, Y. S., Kim, J. Y., & Kim, J. S. (2011). Correlation between severe ALS patient-caregiver couples' characteristics and caregiv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 354-363. 

  15. Lee, Y. S. (2009). A study of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caregiv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61 (2), 325-348. 

  16. Lopez-Campos, J. L., Failde, I., Masa, J. F., Benitez-Moya, J. M., Barrot, E., Ayerbe, R., et al. (2008).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home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ory Medicine, 102 (4), 605-612. 

  17.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_BREF). Journal of Korean Neruopsychiatric Association, 39 (3), 571-579. 

  18. Min, Y. S., & Yong, J. S. (2003). Relationships among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family caregiver of ho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 (3), 358-366. 

  19. Oh, H. J. (2011). Psychosocial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amo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 (2), 103-110. 

  20. Pack, S. K. (2005). A study on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 Unpublished ma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Park, Y. H., Yu, S. J., & Song, M. S. (1999). Caregiver burden of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and their needs for support group interven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1 (1), 119-134. 

  22. Rice, R. (2006). Home care nursing practice: Historical perspectives and philosophy of care. In R. Rice. (Ed.). Home care nursing practice: Concepts and application. (pp3-15). St. Louis: Mosby, Inc. 

  23. Shim, J. Y., Lee, J. K., Kim, S. Y., Won, J. W., Sun, W. S., Park, H. K., et al. (1999). The development of 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 (10), 1197-1208. 

  24. Shin, H. I. (2011). 2008 Survey of ventilatory support in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 Retrieved April, 23, 2013, from http://www.cdc.go.kr/CDC/notice 

  25. Srinivasan, S., Doty, S. M., White, T. R., Segura, V. H., Jansen, M. T., Davidson Ward, S. L., et al. (1998). Frequency, cause, and outcome of home ventilator failure. Chest, 114 (5), 1363-1367. 

  26. Thornton, A. A., & Perez, M.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 Psychooncology, 15 (4), 285-296. 

  27. Tsara, V., Serasli, E., Voutsas, V., Lazarides, V., & Christaki, P. (2006). Burden and coping strategies in families of patients under noninvasive home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ion, 73 (1), 61-67. 

  28. Yoon, M. H., & Choi-Kwon, S. M. (2011). Quality of life and th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os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8 (1), 62-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