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 장르의 문화계발 효과: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와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 of Reality-based TV Programs: Perceived Realism's Mediation and Fatalistic Belief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57 = no.57, 2012년, pp.181 - 201  

나은경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김도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1) 기존의 텔레비전 전체 시청량이나 TV 뉴스와 드라마 장르에 집중되어온 문화계발 효과연구의 관심을 전환하여 근래 늘어나고 있는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이라는 구체적인 장르의 효과에 주목하고, (2)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가운데 일상적인 삶의 가치와 태도로서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며, (3) 이러한 확장적 계발효과의 추론 근거로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탐구했다. 설문조사 자료 분석 결과, 고전적인 문화계발 효과이론이 주장하듯이 전체적인 TV 시청 총량은 숙명적 태도의 계발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작용했다. 텔레비전 시청 총량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이용은 수용자의 숙명적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계발효과를 내는 것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집중해 왔던 뉴스(사실) 장르와 드라마(허구) 장르의 이용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여전히 같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시청의 이러한 계발효과는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내용이 수용자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실제 현실과 비슷하다고 느낄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assic cultivation theory and research has been noted for its failure to capture subtle variation in effects by genre and to consider tangible and practical dependent variables. Redressing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ed at extending cultivation theory frame to incorporating fatalistic atti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이 연구는 텔레비전 시청이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기존의 문화계발 효과에서 논하는 영역을 넘어서 확장될 수 있는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에 관한 기존의 비판적인 문화연구들이 축적해온 연구결과와 추론들을 실증연구 전통의 문화계발 이론에 접목하여 경험적으로 증명해내고자 하는 시도였다.
  • 둘째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대상에 대하여도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에 관한 비판적인 문화연구에서 제시해온 수용자의 해석과 담론분석 결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텔레비전에서 새롭게 등장한 리얼리티 장르의 오락 프로그램들을 초기의 ‘재연’에만 집중했던 ‘고전적인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구별하여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장르가 이와 같은 확장적 계발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추론의 근거를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에서 찾음으로써, 문화계발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매개효과의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셋째, 이 연구는 프로그램 장르별 계발효과에 차이가 있고, 특히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의 영향이 전통적으로 인정돼온 뉴스나 드라마의 영향보다 더 크다고 한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에 구체적인 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텔레비전에 그려진 내용이 자신과 주변의 실생활과 비슷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인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의 정도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별 문화계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문제의식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우선, 이 연구는 지금까지 텔레비전 전체 시청량이나 TV 뉴스와 드라마 장르에 집중되어온 문화계발 효과연구의 관심을 확장하여, 최근 텔레비전의 (특히 한국적인) 제작현실을 반영하여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장르의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둘째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대상에 대하여도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에 관한 비판적인 문화연구에서 제시해온 수용자의 해석과 담론분석 결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사회적 현실 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많은 문화연구자들이 텍스트 분석, 담론 분석을 통해 연구한 바 있다(박지훈, 류경화, 2009; 최은경, 김승현, 2010; 홍지아, 2009). 이 연구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한 이데올로기 확산의 영향과 수용자의 능동적이고 참여적인 해석의 가능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은 사건 재현 양식이나 드라마 양식을 이용하여 가정, 결혼, 친구, 연인, 범죄, 폭력 등의 소재를 자주 다루고 있으며, 텔레비전 시청자는 이를 통해 현실인식에 영향을 받는다(Woo & Dominick, 2003).
  • 이 연구의 가설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뉴스 장르 이용과 드라마 장르 이용 정도가 숙명적 태도 계발에 비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문화계발 연구에서 이용 장르의 구분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예측했던 바와 같이, 사실적 장르라 할 수 있는 뉴스의 이용은 텔레비전 전체 이용량을 통제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느슨한 유의수준(p<.
  • 둘째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대상에 대하여도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에 관한 비판적인 문화연구에서 제시해온 수용자의 해석과 담론분석 결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범죄 관련 현실인식에 집중하는 논의에서 일상적인 삶의 가치와 태도의 계발로 효과의 개념을 넓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장르가 이와 같은 확장적 계발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추론의 근거를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에서 찾음으로써, 문화계발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매개효과의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가치관의 계발(물질주의 가치, 생활만족도, 타인 불신) 등과 같은 보다 폭넓은 세상에 대한 인식이나 일상적 태도에 대한 문화계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에 이 연구는 체념, 순응주의와 같은 가치관 관련 태도의 계발에 미치는 텔레비전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문화계발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고 하겠다. 이러한 종속변인의 확장은 고전적인 문화계발 효과의 연구 소재인 범죄 관련 주제를 넘어서, 로맨스, 인간관계, 성 역할, 인종 편견, 직장생활 인식 및 태도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존의 담론분석 연구나 문화연구에서 추정적으로 밝혀온 이데올로기 계발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별 계발 효과 차이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에서도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별 시청에 따른 상대적인 계발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보다는 텔레비전 일반 시청량과 단일 장르의 효과만을 비교하거나 특정 장르의 개별적인 효과만을 단일하게 살펴보는 정도에 그쳐왔다(Lee & Niederdeppe, 2010). 이에 이 연구는 텔레비전 시청이 수용자의 태도를 계발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개별 장르 효과를 따로 살피는 것에 더해서 장르 간의 상대적인 계발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 즉, 모든 기준에서 전통적인 리얼리티 장르에 부합하지는 않더라도, 내용이나 형식 측면 중 어느 기준을 충족시킨다면 포괄적인 의미에서 ‘리얼리티 표방 텔레비전 장르’로 보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사실적 장르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텔레비전 뉴스와 허구적 장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 그리고 이 둘과 대비되는 리얼리티 표방 오락 프로그램 장르 간의 상대적인 문화계발 효과를 밝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문화계발효과에 관한 연구는 대개 텔레비전 픽션(범죄 드라마)과 논픽션(뉴스 범죄 보도) 장르의 효과에 집중되어온 경향이 있다(Eschholz et al.
  • 뷔셀(Busselle, 2001)의 ‘사실성 인식(perceived realism)’ 측정을 위한 항목들을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문항들을 구성하였다. 특히 텔레비전에 표상된 세계가 나의 실생활과 내 주위 사람들의 실생활과 얼마나 유사하다고 인식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즉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인간관계는 나의 실제 현실과 많이 비슷하다”,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인간관계는 내 주의 사람들의 실제 현실과 많이 비슷하다”,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연인관계나 결혼생활은 나의 실제 현실과 많이 비슷하다”,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연인관계나 결혼생활은 내 주위 사람들의 실제 현실과 많이 비슷하다”,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은 실제 현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잘 알 수 있게 도움을 준다”,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은 실제 현실에서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준다”와 같은 6개의 문항 각각에 대해 리커트 5점 척도로 답하게 하여 평균을 구했다(M=2.

가설 설정

  • <연구가설 3>: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의 이용이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인 텔레비전의 내용에 대해 현실유사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 <연구가설 2-2>: 전체적인 TV 시청량과 함께, 비슷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논의되는 다른 텔레비전 장르들(뉴스, 드라마)의 시청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은 숙명적 태도 계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1>: 전체적인 TV 시청량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은 숙명적 태도 계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1>: 전체적인 텔레비전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숙명적 태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 <연구가설 2>: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이용 장르에 따라 숙명적 태도 계발에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의 이용은 뉴스와 드라마 장르에 대해 독립적인 계발효과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비 등이 제시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5가지 구체적 속성은? 예컨대, 나비 등(Nabi et al., 2003)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5가지 구체적 속성을 ① 스크립트 없이 촬영되는가, ② 내러티브가 있는가, ③ 의도적인 오락용으로 만들어지는가, ④ 어떤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들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람들이 나오는가, 그리고 ⑤ 세트장이 아닌 실제 현실 환경에서 촬영되는가 등으로 열거하면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이러한 형식적이거나 내용적인 일련의 구체적 속성들에 의해 특징 지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들을 모두 만족시키지 않는 프로그램들, 가령 <아메리칸 아이돌> 같은 경우도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간주하여 연구하기도 한다(Hall, 2006).
한국형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이, 사실보도를 주로 하는 뉴스 시청과 동일한 효과를 내리라고 추측하는데 검증이 필요한 이유는? , 2007)은 사실적 장르(뉴스나 리얼리티 프로그램)가 허구적 장르(드라마)에 비해 계발 효과가 크다는 보고를 하였다. 그러나 한국형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은 서구의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에 비해 대체로 오락 프로그램으로 진화하고 허구성이 많이 섞여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지 ‘현실’에 기반을 둔다는 것만으로 한국형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이, 사실보도를 주로 하는 뉴스 시청과 동일한 효과를 내리라고 추측하는 것은 검증이 필요하다.
텔레비전 장르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어떤 차이를 말하는가? 이러한 차이점들은 크게 프로그램의 구조(structure)적 측면과 내용(content)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시청자에게도 차별화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Grabe & Drew, 2007). 텔레비전 장르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주로 형식적인 제작방법인 카메라 움직임과 편집기법 등의 차이를 가리키고,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픽션 장르와 논픽션 장르가 범죄 소재를 동일하게 다룬다 하더라도 이야기 전개나 결말의 관점 등에서의 차이를 뜻한다. 이 기준을 적용해 살펴보면, 한국적 “리얼리티 표방”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제작 기제를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