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1 - 11  

김경혜 (김천과학대학 간호과) ,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경덕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  변혜선 (대구산업정보대학 간호과) ,  최은희 (영남이공대학 간호과) ,  조은정 (서라벌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reviewed articles related to breast cancer, cognitive function and chemotherapy available in 4 databases. Methods: The researcher reviewed 32 pieces of literature that were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1 and November 2011. Results: Within the last decade, several studies have inv...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체계적인 문헌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제시함으로써 항암화학요법이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확인하여 유방암 생존자의 장기적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발표된 일차문헌을 근거로 하여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하여 탐색하기 위한 이차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탐색하기 위해 관련 논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탐색하기 위해 일차문헌을 근거로 하여 관련 논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Chemotherapy’, ‘Breastcancer’, ‘Cognitive function’ 혹은 ‘Cognitive’를 키워드로 하여 2001년 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최근 약 10년간 발표된 국외논문 중 영문과 성인 여성으로 제한하여 4개의 검색엔진으로 검색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32편의 문헌이다.

가설 설정

  • 18) 최근 영상학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 후 뇌 영역에서 대뇌위축, 대뇌피질경화, 대사활동감소 등 항암화학요법이 신경학적 기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증거들이 보고하기도 한다.4) 객관적 측정도구는 연구에서 권장되는 도구형태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생존자의 경미하고 미묘한 인지기능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신경학적 검사의 타당성에 의문을 가지게 되었으며, 경제적 타당성도 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일반적 치료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유방암의 일반적 치료는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요법 및 호르몬요법 등이 있으며 환자의 임상적 상태와 암의 특성에 따라 병행 치료를 받게 된다. 유방암은 다른 고형암에 비해 비교적 항암요법에 반응이 좋은 편으로 생존기간이 긴 편이지만 종양의 특성상 호르몬 수용체의 양성반응이나 HER2 과발현 여부에 따라 항암요법 후보조적 호르몬요법을 병행하여 장기간 치료받게 된다.
유방암은 어떤 조건과 요법을 병행하여 치료를 받게되는가? 유방암의 일반적 치료는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요법 및 호르몬요법 등이 있으며 환자의 임상적 상태와 암의 특성에 따라 병행 치료를 받게 된다. 유방암은 다른 고형암에 비해 비교적 항암요법에 반응이 좋은 편으로 생존기간이 긴 편이지만 종양의 특성상 호르몬 수용체의 양성반응이나 HER2 과발현 여부에 따라 항암요법 후보조적 호르몬요법을 병행하여 장기간 치료받게 된다. 지난 10년 동안 암 생존자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주요 논제 중의 하나는 인지기능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의 영향에 대한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생존자가 겪는 인지기능 장애인 chemobrain의 발생기전으로 추측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지기능의 장애 요인으로 나이, 성별, 유전, 지능, 교육수준, 암의종류, 암치료, 약제, 동반질환, 기분, 우울, 스트레스 등이 될 수 있다.14) 그러나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인지기능 손상의 원인 및 발생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추측되는 기전으로는 항암치료로 인한 신경이나 세포 손상, 산화스트레스, DNA 손상 등의 직접적 신경독성 효과, 호르몬 변화, 면역계의 퇴화나 cytokines의 방출, 중추신경계 혈관의 혈전 형성 등이 있다.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후에도 대부분 항암화학요법 및 보조적 호르몬요법을 장기간 받으며 이러한 치료 후 많은 유방암 생존자가 인지기능의 변화를 경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http://www.ncc.re.kr [accessed on 1 July 2011]. 

  2. Reid-Arndt SA. Breast cancer and "chemobrain": the consequences of cognitive difficulties following chemotherapy and the potential for recovery. Mo Med 2009;106(2):127-31. 

  3. Jenkins V, Shilling V, Deutsch G, Bloomfield D, Morris R, Allan S, et al. A 3-year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s on cognition in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 J Cancer 2006;94:828-34. 

  4. de Ruiter MB, Reneman L, Boogerd W, Veltman DJ, van Dam FS, Nederveen AJ, et al. Cerebral hyporesponsiveness and cognitive impairment 10 years after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Hum Brain Map 2011;32:1206-19. 

  5. Vodermaier A. Breast cancer treatment and cognitive function: the current state of evidence, underlying mechanisms and potential treatments. Women's Health 2009;5:503-16. 

  6. Calvio L, Peugeot M, Bruns GL, Todd BL, Feuerstein M. Measures of cognitive function and work in occupationally active breast cancer survivors. J Occup Environ Med 2010;52:219-27. 

  7. Vardy J, Wefel JS, Ahles T, Tannock IF, Schagen SB. Cancer and cancer-therapy 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from the Venice cognitive workshop. Ann Oncol 2008;19:623-9. 

  8. Vearncombe KJ, Rolfe M, Wright M, Pachana NA, Andrew B, Beadle G. Predictors of cognitive decline after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J Int Neuropsychol Soc 2009;15:951-62. 

  9. Hedayati E, Alinaghizadeh H, Schedin A, Nyman H, Albertsson M.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 on cognitive function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Eur J Oncol Nurs 2011;9:1-8. 

  10. Deprez S, Amant F, Yigit R, Porke K, Verhoeven J, Van den Stock J, et al. Chemotherapy-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cerebral white matter and its correlation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Hum Brain Mapp 2011;32:480-93. 

  11. Yamada TH, Denburg NL, Beglinger LJ, Schultz SK. Neuropsychological outcomes of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cognitive features ten or more years after chemotherapy.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10; 22(1):48-54. 

  12. Munir F, Burrows J, Yarker J, Kalawsky K, Bains M. Women's perceptions of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side affects on work ability: a focus group study. J Clin Nurs 2010;19:1362-70. 

  13. Chung BY, Byun HS, Kim KD, Kim KH. Breast cancer and risk factor. J Korean Oncol Nurs 2008;8(2):120-7. 

  14. Andrykowski MA, Burris JL, Walsh E, Small BJ, Jacobsen PB.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bout genetic risk for cognitive impairment after cancer chemotherapy: breast cancer survivor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J Clin Oncol 2010;28:3442-7. 

  15. Biglia N, Moggio G, Peano E, Sgandurra P, Ponzone R, Nappi RE, et al. Effects of surgical and adjuvant therapies for breast cancer on sexuality, cognitive functions, and body weight. J Sex Med 2010;7(5):1891-900. 

  16. Quesnel C, Savard J, Ivers H. Cognitive impairment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treatments: results from a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09;116(1):113-23. 

  17. Stewart A, Collins B, Mackenzie J, Tomiak E, Verma S, Bielajew C. The cognitive effects of adjuvant chemotherapy in early stage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tudy. Psychooncology 2008;17(2):122-30. 

  18. Jansen CE, Cooper BA, Dodd MJ, Miaskowski CA.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changes in breast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1;19:1647-56. 

  19. Hurria A, Rosen C, Hudis C, Zuckerman E, Panageas KS, Lachs MS, et al.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a pilot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J Am Geriatr Soc 2006;54:925-31. 

  20. Tager FA, McKinley PS, Schnabel FR, El-Tamer M, Cheung YK, Fang Y, et al. The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0;123(1):25-34. 

  21. Wefel JS, Saleeba AK, Buzdar AU, Meyers CA. Acute and late onset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2010;116:3348-56. 

  22. Jansen CE, Dodd MJ, Miaskowski CA, Dowling GA, Kramer J. Preliminary results of a longitudinal study of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ith doxorubicin and cyclophosphamide. Psychooncology 2008;17:1189-95. 

  23. Seigers R, Fardell JE. Neurobiological basis of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impairment: a review of rodent research. Neurosci Biobehav Rev 2011;35:729-41. 

  24. Schagen SB, Muller MJ, Boogerd W, Mellenbergh GJ, van Dam FS.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after chemotherapy: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in breast cancer patients. J Natl Cancer Inst 2006;98:1742-5. 

  25. Ahles TA, Saykin AJ. Breast cancer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Clin Breast Cancer 2002;3 Suppl 3:84-90. 

  26. Debess J, Riis Jo, Engebjerg MC, Ewertz M.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vant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0;121(1):91-100. 

  27. Phillips KA, Aldridge J, Ribi K, Sun Z, Thompson A, Harvey V, et al. Cognitive function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one year after completing adjuvant endocrine therapy with letrozole and/or tamoxifen in the BIG 1-98 trial. Breast Cancer Res Treat 2011;126:221-6. 

  28. Hermelink K, Kuchenhoff H, Untch M, Bauerfeind I, Lux MP, Buhner M, et al. Two different sides of 'chemobrain': determinants and non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cognitive dysfunction in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Psychooncology 2010;19:1321-8. 

  29. Bender CM. Chemotherapy may have small to moderate nega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ing. Cancer Treat Rev 2006;32:31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