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전후 영양상태 평가
Pre- 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110 - 116  

박미영 (서울아산병원 혈액내과병동) ,  박정윤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for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SCT.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이식 전후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이식 전후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추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영양을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PG-SGA 도구, 신체 계측, 생화학적 지표를 사용하였다.
  • 이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이식 전후 영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 전후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자 함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방법이란? 조혈모세포 이식은 혈액질환, 고형암, 자가 면역질환 치료에 시행되며, 손상된 조혈모세포를 정상 기능의 조혈모세포로 대치하는 치료과정으로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나눈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미리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동결보존하여 고용량의 항암치료 후 이식하는 방법이며,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조직적합성 항원이 일치하는 형제나 타인으로부터 골수나 말초조혈모세포를 채집하여 고용량의 항암치료 후 이식하는방법이다.1,2)
조혈모세포 이식이란? 조혈모세포 이식은 혈액질환, 고형암, 자가 면역질환 치료에 시행되며, 손상된 조혈모세포를 정상 기능의 조혈모세포로 대치하는 치료과정으로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나눈다.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미리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여 동결보존하여 고용량의 항암치료 후 이식하는 방법이며,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조직적합성 항원이 일치하는 형제나 타인으로부터 골수나 말초조혈모세포를 채집하여 고용량의 항암치료 후 이식하는방법이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조사를 받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는 위장 문제를 겪는데 이로 인한 문제점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는 이식 전 악성 종양 제거와 면역억제를 위해 고용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조사를 받게 됨에 따라 구강, 모발 세포, 골수 및 생식기계 세포 등에 손상을 받고, 식도 및 위장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오심, 구토, 식욕부진과 같은 독성작용으로 고통을 받는다.3) 이러한 위장관계의 독성작용은 음식 섭취와 영양 흡수 장애와 같은 심각한 영양불량을 초래하게 되어,4,5) 동종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영양결핍가능성은더욱높아지게된다.6,7)암 환자의 영양 결핍은 질병의 경과와 치료 과정에 의해 다른 질환을가진환자들보다높고,8)암의진행,성별,연령,암발생부위,치료유형에 따라 영양 결핍의 정도는 다양하며,9) 이들 연구결과에서 암환자의 약 40-80% 정도가 영양 불량 상태라고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ang YA, Lee MS. Ethnography on isolation unit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 Korean Oncol Nurs 2008;9:31-42. 

  2. Bensiner WI, Martin PJ, Storer B, Clift R, Forman SJ, Negrin R, et al.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 as compared with peripheral-blood cells from HLA-identical relative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s. NEJM 2001;344:175-81. 

  3. Yang YH, Kwon SJ, Kim CI.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during the chemotherapies. J Korean Acad Nurs 2001;31:978-87. 

  4. Dreizen S, McCredie KB, Keating MJ, Andersson BS. Nutritional deficiencies in patients receiving cancer chemotherapy. Postgrad Med J 1990;33:330-5. 

  5. Min HS, Hwang WH.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nausea and vomiting, anorexia, food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GI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10;20:38-47. 

  6. Monica MS, Raquel DP, Miguel AC, Alfonso M, Fernando HN. Nutritional recommendations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Nutrition 2008;24:769-75. 

  7. So EJ, Kim JY, Jung SJ, Park S. Analysis of the factor relating nutritional status in discharging of leukemia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 Nutr 2010;43:26-33. 

  8. Middleton MH, Nazarenko G, Nivison-Smith I, Smerdely P.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12-month incidence of mortality in two Sydney teaching hospitals. Intern Med J 2001;31:455-61. 

  9. So HS. Assessment of appetite and nutritional statu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 prospective study. J Korean Acad Nurs 1999;29:1179-91. 

  10. Barrera R. Nutrition support in cancer patients.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02;26:63-71. 

  11. Kim HM. Management of chemotherapy-related toxicity: Nutrition support during chemotherapy. Korean Soc Clin Oncol 2005;4:23-33. 

  12. Bechard LJ, Guinan EC, Feldman HA, Tang V, Duggan C. Prognostic factors in the resumption of oral dietary intake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n children.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07;31:295-301. 

  13. Wedrychowicz A, Spodaryk M, Krasowska A, Gozdzik J.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reated with high-dose chemotherapy followed by autologous haematopoietic transplants. Br J Nutr 2010;103:899-906. 

  14. Forchielli ML, Azzi N, Cadranel S, Paolucci G.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 bone marrow transplant: What is the appropriate energy level? Oncology 2003;64:7-13. 

  15. Maurizio M, Gabriella G, Saveria C, Anna PI, Fillippo RF. Nutritional metabolic support in patients undergoing bone marow transplantation. Am J Clin Nutr 2002;75:183-90. 

  16. Rzepecki P, Barzal J, Sarosiek T, Szczylik C. Biochem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re they worth using? A single center experience. Bone Marrow Transplant 2007;40:567-72. 

  17. Bae JH, Kim SK. The effect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on hospitalized patients according to nutritional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574-83. 

  18. Takatwuka H, Takemoth Y, Iwata N, Suehiro A, Hamano T, Okamoto T, et al. Oral eicosapentaenoic acid for complications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 2001;28:760-74. 

  19. Arfons LM, Lazarus HM. Total parenteral nutrition an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 2005;36:281-8. 

  20. Lynne D. Good nutrition for good surgery: clinical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Australian Prescriber 2003;26:136-40. 

  21. Yang YH, Choi SM, Kim EK.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of general medical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J Korean Clin Nurs Res 1997; 27:49-60. 

  22. Hadjibabaie M, Iravani M, Taghizadeh M, Ataie-Jafari A, Shamshiri SA, Mousavi SA,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CT. Bone Marrow Transplant 2008;42:469-73. 

  23. Ottery FD.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996;12:15-9. 

  24. Curtas S, Champman G, Meguid MM.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Nurs Clin North Am 1998;24:301-13. 

  25. Frisancho AR. New norms of upper limb fat and muscle areas for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m J Clin Nutr 1981;34:2540-5. 

  26. Donoghue M, Nunnally C, Yasko JM. Nutrit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Nurs Clin North Am 1982;16:295-302. 

  27. Park HJ. Nutritional Assessment for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dissertation]. Seoul:Catholic Univ.;2000. 

  28. Michele L, Kuszajewski LM. Prealbumin is best for nutritional monitoring in hospital. Nursing 2005;35:7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