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Exploring the Creativity of the Scientific Gifted from Analyzing Descriptive Experiment-Desig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1, 2012년, pp.129 - 145  

김세미 (이화여자대학교) ,  조미영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요소들을 탐색하고, 각 요소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과학 영재들이 실험을 설계할 때 나타나는 창의성의 특징을 귀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서술적 실험설계 과정에서 영재들의 창의성 요소를 탐색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2011년 한국 물리올림피아드 일반물리 통신교육에 지원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자기소개서의 일부분으로 제시하였다. 실험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은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상호작용이라는 조작적 정의 하에 총 513명의 자기소개서에 포함된 실험설계 과정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설정단계에서 나타난 창의성 요소 중 발산적 유형 의 요소는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이었고, 수렴적 유형의 요소는 정합성, 정교성으로 나타났다. (2) 가설 검증단계에서는 창의성 요소 중 발산적 유형의 요소인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과 수렴적 유형의 요소인 정합성, 단순성, 신뢰성, 적절성, 명료성, 정합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3) 가설설정단계나 검증단계에서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적 요소가 함께 발현되어야 창의적 실험설계라는 정의 하에 과학영재들의 창의적 실험설계 유형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다. a) 첫 번째 유형의 특징은 가설설정단계에서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성을 모두 보이고, 가설검증 단계에서는 수렴적인 창의성만 보인 경우이다. b)두 번째 유형은 가설설정단계에 서 발산적 창의성이, 검증 단계에서는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성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c)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유형은 가설설정단계에서 수렴적 창의성을, 가설검증단계에서 발산적 수렴적 창의성을 모두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of creativity and interaction between factors that are revealed when gifted students designed scientific experiments. For this, we firstly developed items which required the written process of designing experiments to explore creativity factors. Then, we used these 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는 누구로부터 시작 되었는가? 창의성이란 어떤 문제나 상황을 민감하게 지각하고 기존의 관계 양식이나 해결 방법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롭고 독특한 관계 양식이나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김혜순, 강기숙, 2007).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는 Guilford(1956)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인간의 사고형태를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로 구분하였고, 창의성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확산적 사고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을 제시하였다(심재영, 김종득, 김언주, 2005).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창의성이란 어떤 문제나 상황을 민감하게 지각하고 기존의 관계 양식이나 해결 방법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롭고 독특한 관계 양식이나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김혜순, 강기숙, 2007).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는 Guilford(1956)로부터 시작되었다.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요소들을 탐색하고, 각 요소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과학 영재들이 실험을 설계할 때 나타나는 창의성의 특징을 귀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실험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은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상호작용이라는 조작적 정의 하에 총 513명의 자기소개서에 포함된 실험설계 과정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설정단계에서 나타난 창의성 요소 중 발산적 유형 의 요소는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이었고, 수렴적 유형의 요소는 정합성, 정교성으로 나타났다. (2) 가설 검증단계에서는 창의성 요소 중 발산적 유형의 요소인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과 수렴적 유형의 요소인 정합성, 단순성, 신뢰성, 적절성, 명료성, 정합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3) 가설설정단계나 검증단계에서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적 요소가 함께 발현되어야 창의적 실험설계라는 정의 하에 과학영재들의 창의적 실험설계 유형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다. a) 첫 번째 유형의 특징은 가설설정단계에서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성을 모두 보이고, 가설검증 단계에서는 수렴적인 창의성만 보인 경우이다. b)두 번째 유형은 가설설정단계에 서 발산적 창의성이, 검증 단계에서는 발산적이고 수렴적인 창의성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c)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유형은 가설설정단계에서 수렴적 창의성을, 가설검증단계에서 발산적 수렴적 창의성을 모두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2. 구인선, 이종원, 강대호 (2004). 제7차의 탐구요소들에 의한 중학교 과학 3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화학 분야에 대하여-. 대한화학회지, 48(4), 414-426. 

  3.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단원 개발 및 평가. 교육과정연구, 18(2), 17-45. 

  4. 김선자, 최병순 (2005).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11-121. 

  5. 김은주, 이효녕, 윤일희, 강천덕 (2008). 창의적 사고 계발을 위한 고등학교 학습 프로그램 개발: 태양계 축소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3), 290-304. 

  6. 김혜순, 강기숙 (2007). 아동의 과학 적성, 창의성,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간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26(1), 32-40. 

  7. 박남이, 임낙룡, 박경화 (2005).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물 I [자극과 반응] 단원의 탐구활동에 대한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70-81. 

  8. 박인숙, 강순희 (2011).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314-327. 

  9.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8. 

  10.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11. 송윤미, 양일호, 김주연, 최현동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88-800. 

  12. 심재영, 김종득, 김언주 (2005).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집단 간의 창의성 비교 연구. 교육심리연구, 19(3), 563-576. 

  13. 양일호, 류설진, 임성만 (2009). 생물학자와 과학 영재의 실험설계활동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 및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271-299. 

  14. 이윤하, 강순희 (2011). 변인 통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대한화학회지, 55(3), 519-528. 

  15. 전영석, 박종찬(2006).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물리 분야 개방적 탐구과제 수행 준비도 분석. 새물리, 52(4). 345-355. 

  16.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1998).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17. 조연순, 최경희(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18. 조연실, 주희영,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8).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진화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1-10. 

  19. 최지은, 전은주 (2009).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를 위한 교육 내용 선정 방안. 새국어교육, 82, 439-363. 

  20. 한국교육개발원 (1999).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 99-20-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홍순원, 이용섭 (2008).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7(3), 233-243. 

  2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Barker, L. M., & Dunbar, K.(2000). Experimental design heuristics for scientific discovery: The use of "baseline and known standard"control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3, 335-349. 

  24.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25. Bauer, H.H. (1994). Scientific literacy and the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 Champaign,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6. Chin, C., & Malhotra, B.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27. Cropley, A. J., & Urban, K. K. (2002).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 K. A. Heller, F.J. Monks, F. J. Sternberg, and R. F.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Oxford: Elsevier Science Ltd. 

  28. Feyerabend, P. (1993). Against method. New York: Verso. 

  29. Gagne, F. (1991) Toward a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30. Germann, P. J., Haskins, S., & P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31. Guilford, J. P. (1956).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53, 267-293. 

  32. Isaksen, S. G., & Treffinger, D. J. (1991). Creativ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A. L. Costa(Ed.), Developing minds: Programs for teaching think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33.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CA. 

  34. Krajcik,. J., Blumenfeld, P., Marx, R., Bass, K., & Fredricks, J. (1998).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s: Initial attempts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7(3), 313-350. 

  35.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3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38. Norris, S.P. & Phillips, L.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39. Osborne, J.F. (2002). Science without literacy: A ship without a sai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 203-215. 

  40. Phillips, D. C. (1995).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The many faces of constructivism. Educational Researcher, 24(7), 5-12. 

  41. Pine, A. L., & West, L. H. T. (1986).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ce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in a sources-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5), 583-604. 

  42. Shapin, S. (1996). The scientific revolu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3. Tamir, P., & Lunetta, V.N. (1981). Inquiry-related tasks in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handbooks. Science Education, 65, 477-484. 

  44. Torrance, E. P. (1984). Teaching gifted and creative learners. In M.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Chicago: Rand-Mcnally. 

  45. Treffinger, D. J. & Isaksen, S. G. (2005). Development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History,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and Talent. Gifted Child Quarterly, 49(4), 342-353. 

  46. Van Jooligen, W.R., & De Jong, T. (1991). Supporting hypothesis generation by learners exploring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Instructional Science, 20, 389-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