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ngle-cathode와 Dual-cathode로 구성된 미생물연료전지에서 전류발생 향상을 위한 전자수용체로서의 Nitrate와 Ferric ion의 이용
Use of Nitrate and Ferric Ion as Electron Acceptors in Cathodes to Improve Current Generation in Single-cathode and Dual-cathode Microbial Fuel Cell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0 no.4, 2012년, pp.414 - 418  

장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유영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종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강연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이은영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생물연료전지 운전을 할 때, 전압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해질과 저가의 금속이온을 전자수용체로 이용하여 전류발생을 확인하였다. 전해질로 phosphate buffer를 사용한 경우, 공기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향상되었으며, 공기의 공급이 없이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수용체로 질산염(nitrate)을 사용하였을 때 산소를 공급하지 않았을 때보다 높은 전류발생을 보였으나 공기포화 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류발생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질산염을 양극부에 적용시에는 음극부와 양극부 모두 폐수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운전한다면 전류발생은 낮으나 서로 다른 폐수를 처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3가지 방법 중에서 3가 철이온을 사용하였을 때 전류 발생이 가장 높았으며, 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전류 발생이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생물연료전지의 규모를 증대시킬 때 폭기가 필요 없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3가 철이온은 지구상에 가장 많은 금속 이온 중 하나로 용해도가 낮으나 저가의 3가 철이온을 잘 이용한다면 양극부 반응속도를 효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ntity of research on microbial fuel cell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Microbial fuel cells are unique in their ability to utilize microorganisms and to generate electricity from sewage, pig excrement, and other wastewaters which include organic matter. This system can directly produce electr...

주제어

참고문헌 (16)

  1. Gil, G. C., I. S. Chang, B. H. Kim, M. Kim, J. K. Jang, H. S. Park, and H. J. Kim. 2003.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18: 327-324. 

  2. Heijne, A. T., H. V. M. Hamelers, V. D. Wilde, R. A. Rozendal, and C. J. N. Buisman. 2006. A bipolar membrane combined with ferric iron reduction as an efficient cathode system in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40: 5200-5205. 

  3. Jang, J. K., T. H. Pham, I. S. Chang, K. H. Kang, H. Moon, K. S. Cho, and B. H. Kim. 2004.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ess Biochem. 39: 1007-1012. 

  4. Jang, J. K., E. Y. Lee, Y. S. Ryou, S. H. Lee, J. Hwang, H. M. Lee, J. G. Kim, Y. K. Kang, and Y. H. Kim. 2011. Electricity production performance of single- and dualcathode microbial fuel cells coupled to carbon source and nitrat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382-386. 

  5. Jang, J. K., J. E. Choi, Y. S. Ryou, S. H. Lee, and E. Y. Lee. 2012. Effect of ammonium and nitrate on current generation using dual-cathode microbial fue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22: 270-273. 

  6. Jang, J. K., I. S. Chang, H. Y. Hwang, Y. F. Choo, J. Lee, K. S. Cho, B. H. Kim, and K. H. Nealson. 2010. Electricity generation coupled to oxidation of propionate in a microbial fuel cell. Biotechnol. Lett. 32: 79-85. 

  7. Liu, H. and B. E. Logan. 2004.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an air-cathode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Environ. Sci. Technol. 38: 4040-4046. 

  8. Logan, B. E., B. Hamelers, R. Rozendal, U. Schroder, J. Keller, S. Freguia, P. Aelterman, and K. Rabaey. 2006.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 Sci. Technol. 40: 5181-5192. 

  9. Logan, B. E., C. Murano, K. Scott, N. D. Gray, and I. M. Head. 2005. Electricity generation from cysteine in a microbial fuel cell. Water Res. 39: 942-952. 

  10. Logan, B. E. and J. M. Regan. 2006. Microbial fuel cellschallenges and applications. Environ. Sci. Technol. 40: 5172- 5180. 

  11. Oh, S. and B. E. Logan. 2006.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electrode surface areas as factors that affect power generation in microbial fuel cells. Appl. Microbiol. Biotechnol. 70: 162-169. 

  12. Pham, T. H., J. K. Jang, I. S. Chang, and B. H. Kim. 2004. Improvement of cathode reaction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J. Microbiol. Biotechnol. 14: 324-329. 

  13. Rismani-Yazdi, H., S. M. Carver, A. D. Christy, and O. H. Tuovinen. 2008. Cathodic limitation in microbial fuel cells: An overview. J. Power Sources. 180: 683-694 

  14. You, S., Q. Zhao, J. Zhang, J. Jiang, and S. Zhao. 2006. A microbial fuel cell using permanganate as the cathodic electron acceptor. J. Power Sources. 162: 1409-1415. 

  15. Zhao, F., F. Harnisch, U. Schroder, F. Scholz, P. Bogdanoff, and I. Herrmann. 2005. Application of pyrolysed iron(II) phthalocyanine and CoTMPP based oxygen reduction catalysts as cathode materials in microbial fuel cells. Electrochem. Commun. 7: 1405-1410. 

  16. Zhao, F., F. Harnisch, U. Schroder, F. Scholz, P. Bogdanoff, and I. Herrmann. 2006. Challenges and constraints of using oxygen cathodes in microbial fuel cells. Environ. Sci. Technol. 40: 5193-5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