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 유형에 따른 얼굴색 분석
Analysis of Facial Co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ersonal Color Syst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2, 2012년, pp.144 - 153  

이은영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박길순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a simultaneous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measurement, targeting 136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the Dae-Jeon region. the study measured participants'facial colo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available light between 11 AM and 3 PM from Spring (May) to Autumn (Octo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개인의 이미지 형성에 있어 의복을 포함한 신체적 외모는 비언어적 단서로서, 지각자의 즉각적인 판단을 이끌어 내어 그 사람의 인상과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고 개성을 표출하기 위하여 의복, 액세서리, 화장 등의 외적인 표현 수단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이런 외적인 표현수단들은 자신의 신체와 조화를 이룰 때 상승효과를 얻게 되는데, 특히 얼굴은 신체의 어느 부위보다도 개인의 가장 특징적인 부위로 의복과 화장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부위라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얼굴을 중심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얼굴색 유형을 분류하고, 더 나아가 얼굴 부위별로 측색평가를 실시하여 얼굴색 유형 분류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즉,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채는 신체 색과 조화로운 배색이 이루어져 이미지를 향상시켜 주는 반면, 어울리지 않는 색의 선택은 신체 색과의 부조화로 인해 이미지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의복색이나 화장 색을 선택할 때 신체 색과 조화로운 배색을 통해 이미지를 향상하고자 노력한다. 이와 같이 신체 색을 기준으로 어울리는 색상을 제안하기 위해 Personal Color System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개인에게 어울리는 색상 제시를 위한 유형 분류를 하기 위해 화장색, 의복색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얼굴을 기준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측색평가를 실시하여 얼굴의 부위별 색상분석을 통해 유형별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즉, 뺨의 황색도가 유형분류에 있어 가장 영향력이 큰 색상변수임을 의미한다. 또한 판별식에 사용되는 뺨의 적색도(a) 와 황색도(b)의 상수는 모두 양의 값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뺨의 적색도(a)값이 증가할수록, 황색도(b)값이 증가할수록 따뜻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짐을 뜻한다. 즉, 뺨의 색상이 노란색을 띨수록 따뜻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고, 붉은 색을 띨수록 따뜻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rsonal color는 무엇인가? Personal color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신체 색을 말하며, 피부색, 헤어 색, 눈동자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여 비슷한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에 어울리는 색채를 제안하는 체계를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라고 한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란? Personal color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신체 색을 말하며, 피부색, 헤어 색, 눈동자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여 비슷한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에 어울리는 색채를 제안하는 체계를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라고 한다.
퍼스널 컬러 진단을 일관적인 평가를 이끌어내기 위해 어떻게 했는가? 하지만 퍼스널 컬러 진단의 객관적인 근거가 통일되지 않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일관적인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퍼스널 컬러 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 얼굴의 뺨 색상이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곳임을 밝히고, 뺨 색상을 통해 유형을 분류하는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퍼스널 컬러 유형 진단에 대한 일관적인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onna, F.(1995). Color with style (Yeoum, K.S.) Busan: Graphic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2. Han, M. S.(2002). A study on the personal color selectio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Centered on the colors for hair and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4(4), 369-375. 

  3. Hong, M. S.(2005). Study on personal color of Korea: Focused on the age of twen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ingik University, Jochiwon, Korea. 

  4. Carole, J.(1980). Color me beautiful. New York: The Radom House. 

  5. Kim, K. J.(2006). Favorable color on the facial color type of Korean adult femal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6), 971-980. 

  6. Kim, M. R.(2005).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SCOTE-based personal color system t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Korea. 

  7. Renae, K.(1985). Beyond the color explosion. Washington: Rainy Day. 

  8.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and Technology(KRISS), Pacific Research Institute (PRI).(1999). Development personal color design system based on color emotion usabilit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9. Lee, J. O., Kyun, M. J., & Park, Y. S.(1995). A study on coordination image of Korean city woman's face color(5YR 7/3) and clothes col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2), 167-180. 

  10. Lee, S. N., Park, Y. S., & Lee, H. E.(1985). A study on the seasonal and topographic variations of the skin color of young women. The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3(2), 133-137. 

  11. Lee, W. J., Shim, K. N., & Park, H. R.(1997). Diffusion of skin color, cosmetic color, face color according to age and reg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9, 37-47. 

  12. Moon, W. M.(2005). Study on the best colors of Korean woman in their 20s to 3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Jochiwon, Korea. 

  13. Park, H. S.(2000). The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olors and the evaluation of the images of clothing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gu, Korea. 

  14. Park, H. S.(2001). Personal color types classified by skin and hair colors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and Kyu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3), 516-524. 

  15. Park, M. H., & Kim, K. S.(2004). Topographic variations of the seasonal skin color: A study for the map of the skin col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7), 79-90. 

  16. Park, Y. S.(2007). Color. Seoul: Ye-lim. 

  17. Shin, H. S.(2002). The distribution of personal color types and color-diagnosis variable factor: The color of makeup, hair and d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8. Woo, Y. J.(1998). A study on the skin color, facial color and makeup color of Korean women: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to 5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